-
요셉
요셉 Joseph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야곱의 아들. [내용] 야곱과 라헬 사이에 태어난 그는 야곱의 열두 명 아들들 가운데 열한 번째 아들이었다.형들은 부친 야곱의 사랑을 받는 요셉을 시기하여 그를 애급, 곧 이집트로 팔려가게 하였다. 요셉은 애급의 시위대장 보디발의 집에서 지내게 되었는데, 보디발 아내의 유혹으로 인하여 누명을 쓰고 감옥에 갇히게 되었다. 그곳에서 떡을 굽는 관원장과 술을 만드는 관원장의 꿈을 해석해 주게 되었으며, 이러한 일은 애급 바로의 꿈을 해석하는 기회로 이어지면서 왕의 신임을 얻고 애급에서 총리대신이 되었다.(창세기 40:1-41:43) 요셉은 30세에 총리대신이 된 후 제사장 보디베라의 딸 아스낫과 결혼하여 므낫세와 에브라임을 낳았다.(창세기 41:45-52) 또한 다가올 심한 기근을 미리 대비하여 애급의 백성을 먹여 살렸고, 부친 야곱과 형제들을 애급에서 맞아 그들이 기근을 면하게 하였다.(창세기 42-47장) 요셉은 애급에서 큰 민족을 이루어 나갔으며, 110세에 죽음을 맞이하였다.(창세기 50:22) 이스라엘 민족은 출애급 때 요셉의 유언에 따라 그의 유골을 가나안 세겜 땅으로 가져와 안장하였다.(출애급기 13:19, 여호수아 24:32) 『원리강론』에 의하면, 요셉은 야곱의 하늘 편 처(妻)로 세워진 라헬이 낳은 아들로서 야곱의 사탄 편 처로 세워진 레아 소생들의 동생이었으므로 요셉은 아벨의 입장, 그의 형들은 가인의 입장에 있었다. 『원리강론』은 요셉의 형들과 그의 부모가 애급으로 찾아와 굴복한 섭리노정의 터전 위에서 이스라엘의 사탄 분립을 위한 애급 고역노정이 시작되었다고 본다. 요셉의 이러한 노정은 장차 예수님이 사탄 세계에 와서 고난의 길을 통하여 30세에 만왕의 왕으로 군림한 후 전 인류를 사탄 세계로부터 분립하여 하늘 편으로 복귀시킬 것을 보여 준 것이다. 요셉의 전 생애는 예수님의 모의자(模擬者)로서의 노정으로 이해되고 있다. ☞ ‘야곱’, ‘라헬’, ‘모의자’ 참조
-
요시야
요시야 Josiah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유대의 16대 왕. [내용] 유대의 16대 왕으로 아버지 아몬 왕과 어머니 여디다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아몬 왕의 뒤를 이어 8세에 즉위하여 31년간(B.C. 640-609) 유대를 통치하였다. 열왕기하 22-23장을 보면, 그는 성전 수리공사를 하면서 대제사장 힐기야에 의해 발견된 율법서를 중심으로 하나님에 대한 신앙의 회복을 추진하였다. 바알과 아세라 등의 우상과 관련된 것을 멸하고, 유월절 절기를 지키며, 신앙개혁운동을 적극 추진하였다. 열왕기하 23장 25절에는 요시아처럼 하나님에게 돌아가 모세의 법을 온전히 지킨 왕은 이전에도 없었고, 그 뒤로도 나타나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한편 요시아는 앗수르를 돕기 위해 그의 영토에 들어와 메소포타미아로 향하고 있는 애급의 느고 왕을 맞아 므깃도에서 싸우다가 죽음을 맞이하였다. 요시아 이후 그의 아들 여호아하스가 그 뒤를 이었다. 『원리강론』에서는 요시아 왕 이후 우상숭배에 빠진 유대가 언급되고 있다. ☞ ‘유대’, ‘바알’, ‘아세라’ 참조
-
요한
요한 John the Apostle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예수님의 제자이며 신약성서 중 요한복음의 저자. [내용] 예수님의 12사도 중 한 명으로 특히 예수님의 사랑을 많이 받았다. 요한복음 1장 35-40절을 보면, 요한은 신약시대 선지자인 세례 요한의 제자였으나 예수님의 제자가 되었다. 그는 형 야고보와 아버지인 세베대와 함께 어부로 일하였다. 마가복음 14장 33절을 보면, 예수님이 겟세마네 동산에서 기도할 때 예수님의 사랑을 받았던 요한, 야고보, 베드로 세 제자들만 동행하도록 하였다. 요한은 요한복음에서 자신을 가리켜 예수님이 사랑한 제자라고 언급하며 이름을 대신하기도 하였다. 그는 예수님의 12제자 가운데 유일하게 유다에게 배반을 당한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 과정에 끝까지 함께하였다. 요한복음 19장 6-27절을 보면, 십자가에 매달린 예수님은 요한에게 그의 어머니 마리아를 돌봐달라고 부탁하였다. 요한복음 20장 4절을 보면, 요한은 예수님의 무덤이 비어 있다는 소식을 듣고 베드로보다 앞서 달려가 무덤에 먼저 도착하기도 하였다. 『원리강론』에는 요한이서 1장 7-8절 예수님이 육신으로 온 것을 부인하는 자들을 적그리스도로 규정한 내용에 사도 요한이 언급되고 있다. ☞ ‘요한복음’ 참조
-
요한 반더 스톡
요한 반더 스톡 Johan Van Der Stok 항목체계 해외 [정의] 1970년 인도네시아에 파송된 선교사. [내용] 요한은 1970년 인도네시아 첫 선교사로 파송된 네덜란드 식구이다. 그의 아내 엘케(Elke)와 이주하여 선교활동을 했다.
-
요한2서
요한2서 요한2書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신약성서의 스물네 번째에 수록된 책. [내용] 사도 요한의 두 번째 서신이다. 본 서신은 한 장으로 된 짧은 분량으로 수신자의 이름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택하심을 입은 부녀와 그 자녀들’이라는 특정한 이들에게 보내진 것은 분명하다.(1:1) 진리를 행하는 것과 서로 사랑할 것을 권면하는 내용이다. 또한 예수님이 육체로 재림할 것을 강조하고, 이를 부인하는 자들의 이단성을 지적하고 있다. 『원리강론』에는 요한2서 1장 7-8절 예수 그리스도가 육체로 임하는 것을 부인하는 자에 대하여 적그리스도로 규정하는 성구가 인용되고 있다. ☞ ‘요한’ 참조
-
요한계시록
요한계시록 요한啓示錄 / Revelation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27권으로 구성된 신약성서의 마지막 책. [내용] 신약성서의 마지막 책이자 예수님이 재림할 때 일어날 사건을 미리 보여 주는 신약성서 유일의 예언서이다. 요한계시록 1장 1절에 저자는 요한이라고 되어 있으며, 전통적으로 사도 요한이라고 보고 있다. 요한계시록은 묵시록이라고도 불린다. 예수님이 재림할 때 발생할 일들을 예언하고 있으며, 로마 황제 도미티아누스시대에 박해를 받은 교회와 신도들을 위로하기도 한다. 총 2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한계시록에 기록되어 있는 내용들은 의미가 모호하여 난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스도의 재림, 아마겟돈이라는 곳에서 벌어지는 최후의 결전, 어린 양의 혼인잔치, 그리스도의 천 년 왕국, 사탄의 패배, 최후의 심판, 새로운 천지의 출현을 예언하고 있다. 마지막 22장은 예수님의 재림을 요청하며, 그의 은혜가 모든 사람들에게 있기를 기도하고 있다. 『원리강론』에는 요한계시록 7장 4절의 14만 4천 무리, 12장 9절의 옛 뱀, 21장 1-7절의 새 하늘과 새 땅, 22장 14절의 생명나무로 비유된 예수님 등이 언급되고 있다.
-
요한복음
요한복음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신약성서의 네 번째에 수록된 책. [내용] 예수님의 제자 사도 요한이 저자이며, 예수님의 신성이 강조되고 있다. 요한복음은 총 2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한복음 1장은 예수님이 말씀이라고 소개되며, 태초에 하나님과 함께 존재하였고, 모든 것이 그를 통해 생겨났다는 예수님의 선재성을 말하고 있다. 즉 예수님은 영원히 존재하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규정된다. 요한복음 20장 31절은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임을 믿게 하려는 저자의 의도를 나타낸다. 전통적으로 요한이 에베소에서 요한복음을 기록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당시 영은 선하고 육은 악하다는 영지주의로 인하여 예수님의 성육신을 부인하는 배경에서 예수님의 신성과 인성을 가르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 이해된다. 요한복음에는 예수님이 가나의 혼인잔치에서 물을 포도주로 변하게 한 사건(2:2-11), 죽은 나사로를 되살린 사건(11:1-46)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다. 또한 부활한 예수님을 보기 전까지 예수님의 부활을 의심한 사도 도마(20:24-29)의 이야기도 언급되어 있다. 예수님은 요한복음에서 세상의 빛, 선한 목자, 길, 진리, 생명, 참포도나무 등으로 표현되고 있다. 요한복음에서 가장 유명한 성구는 하나님이 세상을 사랑하여 독생자를 주었고, 이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된다는 내용이 있는 3장 16절이다. 『원리강론』에는 요한복음 1장 1-3절, 3장 14절, 5장 24절, 8장 44절, 12장 31절 등이 인용되고 있다. ☞ ‘요한’ 참조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