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행
수행 修行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욕망을 극복하고 올바른 인격을 갖추기 위해 행하는 특별한 종교적 훈련. [내용] 수도(修道)라고도 하며, 넓은 의미에서 종교적으로 또는 윤리적으로 ‘닦는 행위’를 가리킨다. 여기서 행위에는 신체와 마음 모두를 포함한다. 신체와 마음은 서로 분리될 수 없고 존재론적 연속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다만 수행의 진전 과정에 따라서 신체 또는 마음이 강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도 요가의 수련과정에서 신체 수련은 마음 수련의 토대가 된다. 마찬가지로 고대 그리스의 오르페우스교나 그 영향을 받은 피타고라스 교단은 신체상의 엄격한 금욕을 지킴으로써 영혼이나 신과의 합일을 얻으려는 밀의종교를 발달시켰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힌두교의 명상이나 불교의 참선 또는 가톨릭의 묵상은 마음 수련에 초점을 둔다. 이에 비하여 이른바 고행 전통에서는 신체 수련이 주가 된다. 신체 수련이든 마음 수련이든 수행에서 핵심은 욕망, 특히 성욕과 식욕 및 수면욕의 극복이다. 세계의 주요 종교 전통에서 수행에 금욕, 단식, 철야 정진이 빠지지 않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욕망을 극복한다는 것은 에고나 아만(我慢) 등으로 표현되는 개별의식의 약화를 의미한다. 수행을 통하여 개별 의식이 완전히 탈각될 때 경험세계의 개아(個我)는 우주적인 대아(大我)가 된다. 그것을 열반이나 해탈 또는 구원이라고 한다.
-
순결
순결 純潔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하나님의 창조원리에 의한 성(性)의 절대적인 가치와 질서를 지키는 것. [내용]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절대성을 통하여 혼전 순결의 중요성을 말한다. 절대성은 하나님의 창조원리에 의한 성(性)의 절대적인 가치와 질서를 함의한다. 절대라는 개념은 유일하고 불변하고 영원하다는 의미도 내포하므로 절대성은 하나님의 속성인 절대, 유일, 불변, 영원성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남자와 여자의 이상적인 성적 사랑을 의미한다. 그러나 『원리강론』에 의하면, 인간시조인 아담과 해와는 이러한 성이 지닌 가치와 질서를 지키지 못함으로써 성적으로 타락하게 되었다. 즉 인간시조가 선악과를 따먹은 것은 혼전 순결을 지키지 못한 것과 연관되기 때문에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남자와 여자 모두에게 혼전 순결이 중요하다고 본다. ☞ ‘절대성’, ‘순결운동’ 참조
-
순결운동
순결운동 純潔運動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프리섹스를 철폐하고 절대성을 주창하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사회운동. [내용]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인간시조인 아담과 해와의 타락이 성적인 타락에 의한 것이라고 보며, 혼전 순결을 중요하게 여긴다. 절대성은 하나님의 창조원리에 의한 성(性)의 절대적인 가치와 질서를 함의하고 있다. 절대라는 의미는 창조주 하나님의 속성과 관련되며, 하나님의 내적인 주류 속성은 절대·유일·불변·영원이다. 이 속성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절대라는 개념은 유일하고 불변하고 영원하다는 의미도 내포한다. 성이라는 단어는 남자와 여자가 생식기를 사용하여 사랑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절대성은 하나님의 속성인 절대·유일·불변·영원성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남자와 여자의 성적인 사랑 행위를 의미한다. 즉 남자와 여자가 하나님을 중심한 부부가 되어서 나누는 성적인 사랑은 절대성, 유일성, 불변성, 영원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프리섹스와 달리 결혼 전 남자와 여자가 혼전 순결을 지키는 순결운동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 ‘순결’ 참조
-
순결참가정 실천운동 결의대회
순결참가정 실천운동 결의대회 純潔 참家庭實踐運動 決意大會 항목체계 역사사건 [정의] 1996년 7월부터 11월까지 한국 전역에서 개최된 순결참가정 실천운동 결의대회. [내용]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순결과 참사랑에 바탕을 둔 참가정 실천운동을 대사회운동으로 전개했는데, 그 시작은 1996년에 개최된 순결참가정 실천운동 결의대회였다. ☞ ‘순결운동’, ‘참가정운동’ 참조
-
순교
순교 殉敎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종교적 신앙을 지키기 위해 박해를 받아 목숨을 잃는 일. [내용] 자신의 종교적인 신앙을 지키고 관철하기 위하여 박해를 받아 목숨을 잃게 되는 것을 말한다. 과거에 그리스도교나 이슬람 같은 유일신교 전통에서 일어났으며, 또한 중요시되었다. 그리스도교 중에서도 순교를 뛰어난 덕행으로 여겨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것은 가톨릭교회이다. 개신교에서는 죄의 사면은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에 의한다고 보기 때문에 순교에는 특별한 의미를 두지 않았다. 순교의 유형에는 참수, 화형, 책형, 돌로 쳐 죽임, 맹수를 이용한 죽임 등 여러 가지가 있었다. 최초의 순교자는 돌로 쳐 죽임을 당한 성 스테파노(스테반)로 알려진다.(사도행전 7:54-60) 초대교회 때부터 순교자는 전례(典禮)나 성유물(聖遺物)을 통해서 숭경(崇敬)의 대상이었다. 순교자가 묻힌 무덤 위에는 교회당이나 예배당이 세워졌으며, 그 제단에는 순교자의 유물이 안치되었다. 로마제국의 박해시대에 사도 바울과 베드로 등 다수의 순교자들이 나왔다. 두 번 순교했다고 전해지는 성 세바스찬, 성녀 아그네스, 가에키리아, 카타콤베 성인들은 이 시기의 순교자들이었다. 순교자의 언행을 기록한 순교록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은 5-7세기 E.S.히에로니무스의 『순교록』이다. 16세기의 『로마 순교록』(1584)도 순교자들에 대한 중요한 기록이다. 우리나라 역사에서 최초의 순교자는 이례적이게도 신라의 승려 이차돈이다. 불교의 봉행을 주장하다 신라 법흥왕 14년(527년)에 일어난 그의 순교는 불교가 신라의 국교로 공인되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하였다. 이차돈의 순교는 불교 승려의 순교라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이다. 순교는 박해와 관련되는데, 불교는 그 전파 과정에서 다양성을 인정하는 특징 때문에 큰 박해가 없었던 결과로 불교 전통에는 순교자가 거의 없었다. 우리나라에서 첫 가톨릭교도 순교는 18세기에 있었다. 정조 15년(1791년) 전라도 진산(珍山, 충남 금산)의 권상연과 윤지충이 가톨릭을 신봉하여 전통적 조상 제례를 거부한다는 이유로 참형됨으로써 우리나라 가톨릭교도 최초의 순교자들이 되었다. 그 후 순조 1년(1801년)의 신유박해 때에는 1년 사이에 이승훈 등 약 300명의 가톨릭교도가 순교하였는데, 이때 청나라 신부 주문모가 외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우리나라에서 순교하였다.
-
순례
순례 巡禮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신심의 고양이나 속죄 등을 목적으로 성지나 영장을 찾아다니면서 참배하는 신앙 행위. [내용] 신앙 행위의 일환으로 성지나 영험이 있는 곳을 찾아다니면서 참배하는 것을 말한다. 순례의 대상은 대개 종교의 발상지, 본산의 소재지, 성자나 성인의 거주지나 묘, 기적이나 영험을 행하는 장소 등이다. 세계 주요 종교에서 순례의 의미와 형태는 다양하다. 순례의 목적은 신심의 고양, 소원성취 및 속죄의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고대 유대교에서는 이스라엘의 수도 예루살렘에 성전이 있어 순례자가 참배의 노래를 부르며 이곳을 순례했다. 지금도 그리스도교도에게 최대의 성지는 예루살렘이며, 그리스도 교인이라면 누구나 평생에 한 번은 예루살렘 순례를 희망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지나 처형지 외에 신약성서에 기록된 그의 활동무대였던 유적지도 그리스도교의 주요 순례지이다. 이슬람교에서는 1년에 한 번씩 아랍의 메카를 순례하는 것을 ‘하지’(대순례), 성묘(聖廟)를 찾는 것을 ‘지야라트’라고 하여 무슬림의 다섯 가지 의무 중 하나로 되어 있다. 불교 전통에서는 붓다의 생애와 관련되는 룸비니(탄생한 곳), 보드가야(정각을 얻을 곳), 쿠시나가르(열반에 든 곳), 사르나트(초전법륜지)가 4대 성지이다. 힌두교에서는 강, 특히 강물이 굽이치는 곳이나 합수하는 곳을 성스러운 곳으로 여겨서 순례의 대상이 된다. 대표적인 곳이 갠지스 강과 야무나 강이 합수하는 알라바드(Alabad)이다. 여기서 12년마다 마하쿰브멜라(mahakumbmela)가 열리며, 인도 전역으로부터 수백만 명의 순례자들이 몰려든다.
-
순석
순석 巡石 항목체계 의례상징 [정의] 참아버님이 바닷가에서 채취한 돌과 조개껍질 248점. [내용] 순석은 참아버님이 1960년 3월 9일부터 13일까지 관동지방을 순회하며 바닷가에서 채취한 돌과 조개껍질 248점을 의미한다. 1960년 3월 9일 오후 4시30분 참아버님은 교회를 출발하여 관동 순회를 목적으로 원주로 향했다. 최원복, 박보희, 송도욱, 유효민, 윤정혜, 문성균 등이 동행하였다. 10일 동해로 향하던 중 대관령 마루턱에 잠깐 차를 멈추고 참아버님은 기도를 올렸다. 이후 참아버님은 일행과 함께 강릉을 지나서 양양 낙산사를 방문하고 밤에 강릉으로 돌아와 이기석 전도사의 집에 투숙했다. 11일 아침에 출발하여 오죽헌을 방문한 다음 오후에 삼척까지 가서 김영휘를 만나 안내를 받았다. 12일은 삼척을 출발해 울진으로 향했다. 비포장도로를 달려 참아버님은 이름 없는 어느 해안에 도착한 뒤 작은 돌과 조개껍질을 주웠다. 이후 포항과 대구, 대전, 평택을 거쳐 13일 일요일 주일예배 전 전본부교회로 귀환하였다. 참아버님은 주일예배 후 오후 2시 30분쯤 협회원들만 남으라고 하여 순석을 분배하였다. 울진에서 주운 돌과 조개껍질을 하나씩 나누어 주었다. 입교 순서에 따라 12개 팀으로 나누어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그 후 일동 기립하여 참아버님의 선창으로 하늘을 대신해 선서와 송사(頌辭)를 제창하였다. 참아버님은 이날 나누어 준 돌을 순석으로 명명하였다. 순석은 참아버님과 식구들이 뜻을 중심으로 일체된 기준을 확립하는 조건물이었다. ☞ ‘순석 분배’ 참조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