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징주의
상징주의 象徵主義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어떤 사상이나 개념을 직접 표현하지 않고 그것을 상기하는 구체적인 이미지나 말로 바꾸어 표현하려는 사상이나 이론. [내용] 상징이라는 말의 어원은 ‘증표’를 뜻하는 헬라어 ‘심발레인’이다. 고대사회에서 계약을 맺을 때, 계약 당사자인 두 사람이 그 증표로 하나의 물건을 쪼개어서 각각 나누어 가지는 관례가 있었다. 이런 전통이 교회 어법(語法)에도 적용되었으며, 일반적인 계약에서 나누어 가지는 물건은 언어적인 고백으로 대체되었다. 즉 상징은 상호간에 동일한 신앙을 확인하기 위한 증표로 이해되었다. 예를 들어 초대교회 당시 물고기 표시는 적대 세력이 있는 곳에서 연락을 취하기 위한 상징이었다. 대문에 그려진 물고기 표시는 그 집주인이 그리스도 교인이라는 증표인 동시에 신앙을 고백하는 상징어였다. 4세기 이후 사도신경이 상징으로 불리게 된 것은 이런 맥락에서 이해된다. 대개 상징은 그 자체보다 그 너머의 어떤 관념이나 언표 불가능의 실재를 가리키는 기능을 지닌다. 이런 의미에서 종교학에서는 종교를 ‘자기부정적 상징체계’로 정의하기도 한다.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 또는 강을 건너기 위한 뗏목의 비유에서 손가락이나 뗏목은 그 자체로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그 너머, 즉 달 또는 피안을 가리키는 상징에 불과하다. 성서의 주요 메시지는 비유와 상징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서 설명된다. 첫째, 진리는 대개 언표 불가의 역설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표현으로는 전달되기 어렵다. 둘째, 진리는 그것을 감당할 수 있는 사람에게만 전달되어야 하며, 그렇지 못한 사람에게 전달되면 오히려 화가 되고 위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징은 대개 언표 불가의 진리를 전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또한 진리를 숨기기 위해서도 사용되었다.
-
상징헌제
상징헌제 象徵獻祭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하나님의 뜻에 따라 믿음의 기대를 세우기 위한 상징적인 조건물을 바치는 것. [내용] 『원리강론』에 의하면, 인간시조는 타락하여 믿음의 기대를 세우기 위한 조건물인 하나님의 말씀을 잃어버렸다. 이에 말씀 대신의 조건물로 세운 것이 제물이었다. 상징헌제는 제물을 하나님의 뜻에 맞게 드려서 만물을 복귀하기 위한 탕감조건과 인간을 복귀하기 위한 상징적인 탕감조건을 동시에 세우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시조의 타락으로 사탄은 인간뿐만 아니라 만물까지도 주관하게 되었으므로 제물이 되는 만물로써 상징헌제를 드리는 것은 하나님의 상징적 실체대상인 만물을 복귀하기 위한 탕감조건을 세우려는 것과 인간을 하나님 앞에 복귀하기 위한 상징적인 탕감조건을 세우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모세 이전 아벨의 헌제, 노아의 방주, 아브라함의 3제물 헌제가 모두 상징헌제에 해당된다. 모세 때에는 상징헌제에 의한 하나님의 섭리가 완료된 기대 위에 섰기 때문에 하나님의 말씀을 직접 대할 수 있는 시대로 들어오게 되었다. 따라서 믿음의 기대를 세우기 위한 상징헌제는 필요 없게 되었으며, 하나님의 말씀을 중심하고 40일 사탄 분립기대를 세우면 믿음의 기대를 탕감복귀할 수 있었다. ☞ ‘제물’, ‘조건물’ 참조
-
상투메프린시페
상투메프린시페 항목체계 해외 [정의]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신아프리카권역의 선교국. [내용] 상투메프린시페는 상투메프린시페민주공화국의 약칭으로서 아프리카 기니만 동남부에 위치한 작은 섬나라이다. 상투메섬과 프린시페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선교역사에 있어서 이 나라는 ‘국가 복귀 1호’라는 특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공동 창시자인 한학자 선생은 하늘부모님이 본래 이상(理想)하였던 창조이상세계를 이루기 위해서는 국가 복귀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하였고, 국가 복귀를 위한 핵심 기준으로서 국가 정상이 참석하는 국가 단위의 축복결혼식을 제시하였다. 상투메프린시페는 이러한 국가 복귀의 기준을 만족하는 첫 번째 국가이다. 2019년 9월 5일 상투메프린시페 국회의사당에서 한학자 선생을 모시고 상투메 대통령과 국가 지도자 및 국회의장, 55명의 국회의원, 15명의 장관, 종교 지도자 200명, 해외 전·현직 대통령 등 8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아프리카 서밋 2019(Africa Summit 2019)가 개최되었다. 신(神)상투메가 되겠다는 서약서에 상투메 대통령을 포함한 모든 각료와 해외 수상 등이 사인하였으며, 이바리슈투 카르발류(Evaristo Carvalho) 상투메 대통령은 개회식 이후 ‘상투메는 천국의 모델이 될 것입니다.’라는 소감을 발표했다. 다음 날 상투메 대통령과 국가지도자 부부 1,000여 명이 참석해 국가 단위 축복식이 거행되면서 상투메프린시페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국가 복귀 기준을 이룬 첫 번째 나라가 되었다.
-
상파울루 선언
상파울루 선언 상파울루 宣言 항목체계 역사사건 [정의]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 창립 40년의 기간을 마감하고 새로운 40년 노정을 출발하는 의미의 선포식. [내용] 참부모님이 1995년 3월 31일 제36회 참부모의 날을 맞아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 창립 이후 40년의 기간을 마감하고 새로운 40년 노정을 출발하는 의미로 선포한 특별선언이다. 1954년 5월 1일 협회 창립 이후의 40년 기간을 승리로 마감한 것을 축하하고, 1995년 3월 31일 제36회 참부모의 날을 기점으로 새로운 제2차 40년 노정을 출발하게 된 것을 하늘 앞에 선언하는 섭리적 의식이었다. 참부모님은 이날 “참부모님이 지난 40년 동안 개인에서 천주까지, 또 종의 종에서 하나님까지 단계를 높이며 희생과 참사랑으로 탕감복귀의 노정을 걸어온 것처럼 이날을 기점으로 전 세계의 식구들은 참부모님의 승리적 기대를 상속받아 제2차 40년 노정을 새롭게 출발하여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 ‘탕감복귀’, ‘책임분담’ 참조
-
새 공산주의 비판
새 공산주의 비판 새 共産主義 批判 항목체계 문헌 성격 서적 발행/간행시기 국제승공연합 / 1968.2.25 [정의] 국제승공연합에서 공산주의 사상의 한계를 비판하고 이를 극복하고자 출판한 서적. [내용] 국제승공연합에서 1968년 공산주의의 사상적 한계를 비판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사상적 지평을 제시하고자 출판한 서적이다. 하나님을 부정하는 공산주의의 한계를 체계적으로 비판하고 있으며, 모든 종교와 사상을 통합적으로 묶을 수 있는 이념으로 통일사상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초판은 1520.8센티미터의 크기로 248쪽 분량으로 출판하여 8쇄까지 발행하였고, 증보판은 보급을 위해 크기를 12.518.2센티미터로 줄이고 370쪽 분량으로 제작하였다. 증보판을 제작할 때에는 저자를 국제승공연합에서 이상헌으로 명시하여 2017년 5월 1일까지 발행하였다. 공산주의의 핵심 사상을 가치론과 유물사관, 변증법적 유물론으로 보고 이에 대해 분석하면서 대안을 제시하는 내용이 중심이며 제1장 창조원리 해설, 제2장 맑스시대의 환경과 맑스주의의 성립, 제3장 맑스의 가치론 및 그 비판과 극복, 제4장 변증법적 유물론 및 그 비판과 극복, 제5장 유물사관 및 그 비판과 극복으로 구성되어 있다.
-
새 말씀
새 말씀 New Truth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구약과 신약을 완성하는 성약의 말씀. [내용]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예수님이 구약의 말씀을 이루기 위해 신약의 말씀을 전한 것처럼 신약시대 이후 전개되는 하나님의 새로운 섭리시대인 성약시대(成約時代)에는 신약의 말씀과 구분된 새 말씀이 주어진다고 본다. 예수님은 구약의 말씀을 이루고 그 터전 위에 새 시대를 세우기 위하여 왔으므로 구약의 말씀을 되풀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신약시대를 위한 새 말씀을 주었다. 예수님의 재림 때에는 신약시대의 터전 위에서 신약의 말씀이 되풀이되지 않고 하나님의 나라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새 시대의 새 말씀이 주어진다. 『원리강론』은 예수님이 재림하여 신약의 말씀을 이루고 새 시대를 완성해 나감으로써 구약과 신약의 말씀 사명이 완결되었다고 밝힌다. 즉 재림주는 구약과 신약의 말씀을 이루기 위한 새 말씀인 성약의 말씀을 가지고 오는 분으로 이해되고 있다. ☞ ‘성약의 말씀’ 참조
-
새 소망
새 소망 새 所望 / New Hope 항목체계 문헌 성격 2738센티미터 / 신문 발행/간행시기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 / 1985.3.31 [정의]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에서 전도를 위해 발행했던 월간 신문. [내용]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에서 1985년부터 1987년까지 전도를 위해 매월 발행했던 전도용 신문이다. 이달의 말씀을 넣어 참부모님의 말씀을 일반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였으며 교회에서 전개하는 여러 활동을 소개하고 개최될 행사를 알려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원리’ 강좌와 시 등도 넣어 다채롭게 구성하였으며, 신문 크기로 4면으로 발행하였다. 또한 교회 사용란을 두어 교회마다 주소와 연락처를 넣어 대중들이 찾아오거나 연락할 수 있도록 하였다. 1985년 3월 31일 제1호를 발행하여 매월 발행하다가 제30호가 1987년 10월 18.526센티미터로 축소되어 4면으로 발행된 뒤 폐간되었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