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막교부
사막교부 砂漠敎父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이집트의 스케티스사막에서 생활하며 철저한 금욕주의를 실천한 수사들. [내용] 3세기 무렵 주로 이집트의 스케티스사막에서 생활한 은수자와 금욕주의자 그리고 수사들을 가리키며, 이들은 초기 기독교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270년-271년 스케티스사막으로 이주한 안토니우스가 사막교부의 시조로 알려진다. 기독교인에게 완성은 세속의 삶을 청산하고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따름으로써 성취된다는 가르침을 실천하기 위하여 안토니우스는 사막 깊숙한 곳으로 들어가 거주했으며, 356년 그의 죽음에 즈음하여 수천 명의 수사와 수녀들이 그의 본보기를 따라 살기 위하여 사막으로 모여들면서 사막교부의 전통이 시작되었다. 사막교부 전통의 시작은 콘스탄티누스 1세의 기독교 공인과 맞물려 있다. 313년 기독교가 공인되고 이집트에서 기독교가 합법화되면서 기독교인에 대한 박해가 사라지게 되자 안토니우스를 필두로 하는 여러 수사들이 스스로 사막으로 들어가서 고독과 내핍의 환경을 마련한 것이다. 이들은 사막의 고독과 내핍을 과거에 많은 기독교인들이 희생의 가장 숭고한 형태로 본 순교의 대안으로 여겼다. 따라서 이들은 모든 형태의 감각적인 쾌락과 충분한 음식, 목욕, 휴식 그리고 그들을 편안하게 하는 무엇이든 포기하는 극도의 금욕주의적인 삶을 살았다. 은수자들의 자발적이고 개별적인 모여듦으로 시작된 사막의 수도원들은 기독교 수도원의 전형이 되었다. 아토스산 동방의 수도원 전통과 서방의 성 베네딕트 규칙서는 모두 사막 수도원 전통에 큰 영향을 받았다. 헤시카즘(Hesychasm)운동을 포함하는 동방정교회 영성전통의 대부분은 사막교부들의 실천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심지어 펜실베이니아 경건주의와 독일의 복음주의, 영국에서의 감리교 부흥운동조차도 사막교부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간주된다. ☞ ‘교부’, ‘수도원’, ‘헤시카즘’ 참조
-
사모아
사모아 항목체계 해외 성격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선교국 [정의]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신아시아-태평양권역 선교국. [내용] 사모아 독립국은 오세아니아에 위치한 섬나라이며, 수도는 아피아이다. 1962년 1월 1일 뉴질랜드로부터 독립하였다. 주민의 90퍼센트 이상이 폴리네시아계의 사모아인이다. 언어는 사모아어와 영어가 공용어로 사용된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1975년에 최초의 사모아 선교사를 파송하였다. 또한 1980년 4월 뉴질랜드에서 입교한 존 본 딘클레지(John Von Dinklage)가 40일간의 수련을 받고 선교사로 파송되어 활동하였다.
-
사무엘
사무엘 Samuel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이스라엘의 사사. [내용] 이스라엘의 신앙과 생활을 지도한 경건한 지도자이자 이스라엘 최후의 사사였다. 사무엘상 2장을 보면, 사무엘은 자녀가 없는 그의 어머니 한나가 하나님에게 간절히 서원함으로써 탄생하게 되었다. 한나는 사무엘을 하나님에게 헌신하는 자, 곧 나실인으로 바칠 것을 약속하였고 이를 지키기 위하여 성막이 있던 실로의 제사장 엘리에게 어린 사무엘을 데려갔다. 사무엘은 어린 시절부터 하나님을 경외하며 성막을 지켰다. 성장한 사무엘은 이후 사사로서 이스라엘을 다스리게 되었다. 사무엘은 이스라엘의 마지막 사사로 간주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사무엘은 나이가 들어 그의 아들 요엘과 아비야를 사사로 세웠다는 내용이 사무엘상 8장에 언급되고 있다. 사무엘과 달리 두 아들은 뇌물을 받고 재판을 공정하게 하지 않는 등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였으며, 이스라엘의 장로들은 사무엘에게 이스라엘의 왕을 요청했다. 사무엘은 하나님의 지시에 따라 사울을 왕으로 세워 기름을 부었으나, 사울이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지 않음으로써 이후 다윗을 하나님의 뜻에 의하여 왕으로 세우게 되었다. 사무엘상 25장을 보면, 사무엘은 라마에 있는 자택에서 죽음을 맞이하였다. 사무엘은 『원리강론』에서 사사, 예언자, 선지자로 언급되고 있다. ☞ ‘선지자’, ‘사사’ 참조
-
사무엘상
사무엘상 사무엘上 / 1 Samuel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39권으로 구성된 구약성서의 아홉 번째에 수록된 책. [내용] 사무엘서는 사무엘상과 사무엘하로 나뉘어져 있다. 사무엘상에서 다루어지는 주요 인물들은 이스라엘의 사사인 사무엘, 이스라엘 민족의 초대 왕인 사울, 하나님의 뜻을 따르지 않은 사울 왕 이후 사무엘로부터 기름 부음을 받은 다윗이다. 사무엘상은 이들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서 이스라엘 사사시대의 말기와 왕을 중심한 이스라엘 초기의 상황을 전해 준다. 사무엘상 1-8장은 사무엘이 그의 어머니 한나의 간절한 기도에 의하여 잉태되고 출생되는 과정을 시작으로 사사로서 사무엘의 활동이 기록되어 있다. 사무엘상 9-15장에는 사울이 사무엘로부터 기름 부음을 받고 왕으로서 활약하였으나 아말렉족을 멸하고자 한 하나님의 뜻을 따르지 않아서 하나님으로부터 버림을 받은 내용이 있다. 사무엘상 16장 이하의 내용은 왕이 된 다윗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그가 이스라엘을 괴롭히는 이민족으로부터 이스라엘을 지켜나가는 활약상이 기록돼 있다. 기독교 문화권에서 유명한 다윗이 거인 골리앗을 돌 하나로 물리치는 이야기는 사무엘상 17장에 기록되어 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원리강론』에서 사울에게 아말렉족과 그에 속한 짐승들을 모두 전멸하도록 명하신 하나님의 구원섭리, 곧 복귀섭리에 관한 신앙적 의미를 설명하고자 사무엘상 15장의 내용을 인용하고 있다. ☞ ‘사무엘하’, ‘사무엘’ 참조
-
사미 / 사미니
사미 / 사미니 沙彌 / 沙彌尼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불교 교단에 처음 입문하여 수행하는 남성/여성. [내용] 불교 교단에 처음 입문하여 수행하는 남자 수행자를 사미라고 하며, 그러한 여자 수행자를 사미니라고 한다. 사미와 사미니는 각각 산스크리트어 슈라마네라(śrāmaṇera)와 슈라마네리(śrāmaṇerī)의 음역이며, 그 뜻을 새겨서 공히 행자(行者)라고도 한다. 사미 또는 사미니가 되기 위하여 지켜야 할 십계를 사미계 또는 사미니계라고 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살생하지 말라, ② 도둑질하지 말라, ③ 음행(婬行)하지 말라, ④ 거짓말하지 말라, ⑤ 술을 마시지 말라, ⑥ 꽃다발을 갖지 말고 향수를 몸에 바르지 말라, ⑦ 노래하고 춤추고 풍류재비 하지 말며 가서 보고 듣지도 말라, ⑧ 높고 넓은 큰 평상에 앉지 말라, ⑨ 때 아닌 때에 먹지 말라, ⑩ 돈과 금은 보물을 갖지 말라. 출가 후 6개월 또는 1년 동안 행자생활을 하여 승려로서의 자질을 닦고 스스로의 결심이 확고해지면 은사(恩師)를 정하고 사미계/사미니계를 받아 사미/사미니가 된다.
-
사보
사보 史報 / Journal of Unification Movement 항목체계 문헌 성격 월간지 발행/간행시기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 역사편찬위원회 / 1981.12.1 [정의] 역사편찬위원회에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사료(史料)를 모아 발간한 월간지. [내용]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역사편찬위원회에서 1981년부터 역사적 기록을 모아 발간한 월간지이다.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는 1981년 11월 1일 역사편찬위원회를 설치하고 편사실장으로 유광렬을 임명하였다. 편사실에서는 1981년 12월 1일 1925.7센티미터 크기로 11쪽 분량의 교회 역사를 담는 월간지 『사보』를 창간하였다. 제2호부터 8-12쪽 분량으로 발행하다가 역사편찬위원회의 규모가 갖추어지면서 40쪽 분량의 월간지로 1991년 8월 통권 제117호까지 꾸준히 발간하였다. 1991년 9월 통권 제118호부터 1997년까지 격월간지로 발행되었으며 1998년부터 계간지로 발행되었다. 통권 170호(2003년 12월 30일 발행)까지 창간호와 같은 크기였으나 통권 171호(2004년 4월 10일 발행)부터 크기를 17.523.8센티미터로 줄여서 편의성을 높였다. 2009년 겨울호인 제191호(2010년 2월 10일 발행)를 마지막 호로 발행하고 2010년부터 폐간되었다.
-
사본
사본 寫本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성서원본을 필사한 본문. [내용] 인쇄가 아니라 펜이나 붓을 이용하여 손으로 필사한 문서를 가리킨다. 기독교에서는 성서 원본을 필사한 본문을 뜻한다. 필사는 인쇄술이 발달하기 전 문서 기록의 수단이었는데 그 재료로는 대개 나무껍질, 가죽, 천, 점토 등이 사용되었다. 15세기 종이가 출현하기 이전까지 성서의 필사본에는 특히 파피루스(papyrus)와 양피지가 널리 사용되었다. 성서의 여러 필사본 중에서 1947년 사해 근방에서 발견된 사해 사본은 가장 오래된 구약성서의 사본으로 인정된다. 이외에도 중요한 구약성서 사본으로는 맛소라 사본과 사마리아 사본 등이 있다. 신약성서의 사본은 크게 대문자 사본(바티칸 사본, 시내 사본, 알렉산드리아 사본, 에브라임 사본 등)과 소문자 사본으로 나뉜다. 대문자 사본은 헬라어의 대문자를 단어와 단어 사이에 간격을 두지 않고 계속해서 쓴 사본이며, 소문자 사본은 현재의 헬라어 성경처럼 띄어쓰기와 구두점이 있는 사본이다. ☞ ‘사해사본’ 참조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