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산교
증산교 甑山敎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강일순(姜一淳)의 가르침을 따르는 사람들이 세운 한국의 신종교. [내용] 증산 강일순의 가르침을 따르던 사람들이 세운 한국의 신종교를 일컫는다. 1894년(고종 31) 동학농민운동이 실패로 끝난 뒤 강일순은 구세제민에 뜻을 두고 전국을 떠돌던 중 1901년 김제 모악산 대원사에서 깨달음을 얻고 후천개벽(後天開闢)과 후천선경(後天仙境)의 도래를 선포하였다. 동시에 해원(解寃), 상생(相生), 보은(報恩), 원시반본(原始返本, 인간과 사회의 원래 모습으로 돌아감) 등의 이념을 바탕으로 후천세계의 건설을 위한 종교의식인 천지공사(天地公事)를 집행하였다. 강일순이 1909년 39살의 나이로 죽은 뒤에는 그를 따르던 사람들도 점차 흩어지기 시작하였다. 이에 그의 부인 고판례(高判禮)가 1911년 흩어진 교인들을 모아 정읍 대흥리에서 다시 조직한 교단이 일명 선도교, 태을교, 훔치교 등으로 불리는 증산교 최초의 공식적 교단이었다. 그 뒤 증산교는 보천교, 미륵불교, 모악교, 증산대도교, 제화교, 태을교, 도리원파 교단, 문공신과 김병선의 교단 등으로 분열되었다. 또한 조철제의 무극대도교나 이상호의 동화교 등 강일순으로부터 직접 가르침을 받지 않은 사람들에 의해서도 여러 교단들이 생겨났다. 그러나 일제의 심한 탄압과 1936년의 유사종교 해산령으로 인해 모두 해산되고, 그 가운데 일부가 지하로 들어가 활동하면서 오늘날의 증산교단을 형성한 모태가 되었다. 대표적인 교단으로는 증산도, 대순진리회, 태극도 등이 있다. 증산교에서 신앙의 대상은 옥황상제 또는 미륵불로서의 증산 강일순이다. 『대순전경(大巡典經)』에 따르면, 강일순은 원래 하늘나라를 다스리고 있었던 옥황상제였다고 한다. 신도들은 강일순을 천지를 주재하는 신성을 지니고 있는 최고의 절대적인 유일신으로 믿는다. 교리에는 우리 민족 고유의 민간신앙과 무교, 유불선 삼교, 그리고 기독교적 요소까지 포함되어 있다.
-
증언
증언 證言 항목체계 문헌 성격 국판 발행/간행시기 1982년 [정의] 참부모님을 따라서 통일교회의 시대를 이끌었던 신앙 1세들의 간증 모음. [내용] 온갖 고난과 박해를 무릅쓰고 참부모님을 절대적으로 믿고 따르며 신앙생활을 했던 신앙 1세들의 간증을 수기형식으로 담아서 출판한 책이다. 1982년에 처음 출판되어 2012년까지 총 143명의 간증을 실었다. 제1집은 20명의 간증을 381쪽 분량으로 담아 1982년에 출판되었다. 이들은 그야말로 고난과 박해를 받던 시기에 통일교회를 꿋꿋이 지킨 주인공들이었다. 특히 이들은 하나님의 계시를 받으면서 고난을 극복한 특별한 사건들을 많이 체험하면서 신앙생활을 하였다. 제2집은 18명의 간증을 348쪽 분량으로 담아 1984년에 출판되었고, 제3집은 17명의 간증을 349쪽 분량으로 담아 1986년에 출판되었다. 특히 제3집에는 일본 초대협회장을 역임한 구보키 오사미의 간증이 실렸다. 제4집은 17명의 간증을 312쪽 분량으로 담아 1989년에 출판되었고, 제5집은 10명의 간증을 293쪽 분량으로 담아 2001년에 출판되었다. 이어서 제6집은 9명의 간증을 322쪽 분량, 제7집은 8명의 간증을 234쪽 분량으로 담아 2007년에 출판되었다. 또한 제8집은 12명의 간증을 355쪽 분량, 제9집은 12명의 간증을 333쪽 분량으로 담아 2010년에 출판되었다. 제10집은 10명의 간증을 343쪽 분량으로 담아 2011년에 출판되었고, 제11집은 10명의 간증을 371쪽 분량으로 담아 2012년에 출판되었다.
-
지
지 知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인간의 인식능력으로 감성, 오성, 이성을 의미. [내용] 보통 인간의 인식능력을 가리킨다. 사물을 개념에 의하여 사고하거나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판정하는 능력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통일사상요강』에서 지는 인간의 성상 안에 있는 지적 기능을 일컬으며 이는 인식의 능력으로 감성, 오성, 이성 등의 능력을 뜻한다. 여기서 감성이란 오관에 비치는 대로 아는 능력, 즉 직관적으로 인식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오성이란 논리적으로 원인이나 이유를 따져서 아는 능력을 말한다. 이성은 보편적인 진리를 구하는 능력 또는 개념화의 능력을 가리킨다. 통일사상은 지적 기능을 뉴턴이 만유인력을 발견한 과정을 예로 들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뉴턴은 사과가 낙하하던 것을 사실 그대로 인식하고,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생각하여 대지와 사과가 서로 인력을 갖고 있음을 깨달았다. 이후 여러 연구를 통해 사과뿐만 아니라 질량을 갖고 있는 모든 물체가 인력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 경우 사과가 낙하하는 것을 본 처음 단계의 인식이 감성, 두 번째 단계가 오성, 세 번째 단계가 이성적 인식에 해당한다. ☞ ‘감성’, ‘오성’, ‘이성’ 참조
-
지귀도
지귀도 地歸島 항목체계 성지 소재지 제주도 서귀포시 [정의] 제주도 서귀포시 남원읍 해안에 있는 참부모님이 구입한 섬. [내용] 제주도 서귀포시 남원읍 해안에 있는 섬으로 참부모님의 지시로 구입했다. 참부모님은 한국 해양의 관문으로서 동해와 동중국해 그리고 태평양까지 연결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제주도를 해양사업의 요충지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특히 서귀포 앞바다에 있는 지귀도는 해양섭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 구입하고 낚시사업을 계획하였다. 일반적으로 지귀도를 ‘직구섬’ 또는 ‘지꾸섬’ 등으로 부른다. 한자로는 ‘지귀도(地歸島)’로 표기하고 있다. 한자를 풀어보면, 땅이 바다로 들어가 섬이 된다는 뜻이다. 지귀도는 서귀포시 일대의 다른 섬들과는 달리 완만한 침강해안으로 이루어져 수심이 얕고, 섬 주변을 자유로이 왕래할 수 있어 갯바위 낚시에 적합하다. 암초대로 형성된 지귀도 해안은 해조류가 밀생하고 패류와 갑각류를 비롯한 각종 해산물이 풍부하여 갯바위 낚시터로도 유명하다. 현재는 관광 유어장(遊漁場, 어촌 공동어장)으로 지정되어 체험 다이빙을 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
지능
지능 知能 / Intelligence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내적 진리인 종교와 외적 진리인 과학을 통해 깨닫는 지능. [내용] 일반적으로 지식을 쌓거나 사물을 인식하고 비판하는 지적인 능력을 가리킨다. 학습능력이나 추상적 사고능력, 또는 환경에의 적응능력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지능이 무엇이고, 어떠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견해가 상이하다. 미국의 심리학자 로버트 스턴버그(Robert J. Sternberg)는 지능이 분석적인 지능, 창의적인 지능, 실용적인 지능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지능 삼원론을 주장했고, 하버드대학교 심리학 교수인 하워드 가드너(Howard E. Gardner)는 지능이 서로 다른 특징을 지닌 여러 유형의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다중 지능론을 제시하였다. 인간의 지능이 발달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부모로부터 전해지는 유전적 요인과 교육이나 학습 환경에 따른 환경적 요인이 있다. 『원리강론』은 인간의 지능을 진리와 연관을 지어 설명한다. 타락으로 인하여 내외 양면의 무지에 빠진 인간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내적, 외적 진리를 찾아 나왔다. 내적인 무지(無知)에서 내적인 지(知)에로 극복하기 위해 찾아 나온 내적 진리가 종교이고, 외적인 무지에서 외적인 지에로 극복하기 위해 나온 외적 진리가 과학이다. 여기서 내적 진리는 인간이 어디로부터 왔는가, 생의 목적은 무엇인가, 사후에는 어떻게 되는가 등과 같이 주로 종교의 영역에서 다뤄지는 진리를 말한다. 외적 진리는 인간의 육신을 비롯한 물질세계의 근본과 법칙에 대한 진리로서 주로 과학의 영역에서 다뤄지는 진리를 말한다. 이때 내적 진리에 의해 깨닫는 지능이 내적 지능이고, 외적 진리에 의해 깨닫는 지능이 외적 지능이다. 하나님은 타락으로 인해 무지상태에 놓인 인간을 양면의 진리를 통해 일깨워 나왔다. 따라서 복귀섭리의 시대적인 혜택으로 인간의 내적, 외적 지능도 역사가 발달함에 따라 점차 높아지게 된다. ☞ ‘내적 지능’, ‘외적인 지능’, ‘종교’, ‘과학’ 참조
-
지상생활과 영계 상·하
지상생활과 영계 상·하 地上生活과 靈界 上·下 항목체계 문헌 성격 신국판 발행/간행시기 1998.3.12 [정의] 영계와 영인체에 관한 참부모님 말씀을 모은 주제별 정선 제11권. [내용] 참부모님 말씀 중에서 영계와 영인체에 관한 중요한 말씀을 모아 2권으로 출판한 주제별 정선 제11권이다. 상권은 총 290쪽, 하권은 총 276쪽으로 되어 있다.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인생의 궤도를 알아야 하는데 어머니 복중 10개월, 지상생활 100년, 그리고 이후의 영계에서 영인체가 영원의 시간을 보내게 되므로 영계에서 보낼 영원의 시간을 준비하는 것이 육신 생활의 목표이다. 이를 위해 어떠한 생활을 해야 하는지, 영계는 어떻게 되어 있는지 등의 말씀을 모은 주제별 정선이다. 상권은 제1장 유·무형 세계에서의 인간의 존재, 제2장 죽음과 영계, 제3장 영계로 구성되었으며 하권은 제1장 천국, 제2장 메시아와 영계, 제3장 우리와 영계 입적, 제4장 우리와 영인과의 관계로 구성되었다.
-
지상지옥
지상지옥 地上地獄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타락한 인간이 번성하여 이룬 사탄 주관권에 속하는 죄악의 세계. [내용] 일반적으로 지옥은 더 없이 고통스럽고 참담한 곳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불교에서 지옥은 극락(極樂)의 반대말로 모든 중생이 윤회하는 육도 중 가장 밑바닥에 있는 최악, 극고(極苦)의 세계로 알려져 있다. 구사론(俱舍論)에 의하면, 지옥에는 근본지옥으로서 팔열(八熱) 지옥과 그 옆에 붙어 있는 극한에 시달리는 지옥인 팔한(八寒) 지옥이 있으며, 팔열지옥의 주변에는 각각 16유증(遊增) 지옥이 있다. 그리스도교에서 지옥은 하나님으로부터 떨어져 나가 큰 죄를 지은 채 죽은 사람의 영혼이 영원히 벌을 받는 장소와 상태를 지칭한다. 지옥을 뜻하는 그리스어 게헤나(Gehenna)는 동물이나 죄인의 시체를 불태우던 예루살렘 밖 남쪽의 벤 힌놈 골짜기를 뜻하는 말에서 유래되었다. 이곳은 살육과 공포, 오욕, 영원한 불길이 타오르는 극심한 고통의 장소로 비유된다. 가톨릭은 대죄를 의식적으로 범한 자가 가는 곳을 지옥으로, 대죄인 줄을 모르고 죄를 범한 자나 소죄를 범한 자들의 영혼이 그 죄를 정화하기 위해 가는 곳을 연옥으로 표현하고 있다. 연옥에서의 형벌은 죄를 정화하기 위해 가해지는 고통이지만, 지옥에서의 형벌은 죄인을 괴롭히는 외적인 고통이라는 점에서 차이를 지닌다. 이슬람교에서는 지옥을 ‘자한남(jahannam)’으로 부르며, 이곳을 최후의 심판을 받은 후 죄인들이 떨어지는 불구덩이로 묘사하고 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에서 지상지옥은 사탄의 주관권에 있는 악한 현실세계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종교가 지옥을 인간이 죽은 후 영혼이 가는 고통스러운 형벌의 장소로 이해하고 있지만,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하나님의 참사랑에 반하는 대립과 갈등 및 투쟁이 만연한 현실세계 자체를 지옥이라고 규정한다. 인간은 타락으로 개체적 사위기대를 완성한 애적(愛的) 존재가 되지 못하고 사탄과 일체를 이룸으로써 신성이 아닌 악성을 갖게 되었다. 이와 같이 악성을 가진 인간이 악의 자녀를 번식하여 악의 가정, 사회, 민족, 국가와 세계를 이루었는데 이를 가리켜 지상지옥이라고 한다. 원래 본연의 인간은 하나님의 3대 축복을 이루어 사랑의 세계인 지상천국에서 살다가 육신이 다하면, 그 영인체가 천상천국에 가서 영존하게 창조되었다. 그러나 타락으로 이 지구성은 사탄이 지배하는 지상지옥이 되었고, 영계에는 천상지옥이 생겨나고 말았다. ☞ ‘천상지옥’ 참조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