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교소멸론
종교소멸론 宗敎消滅論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종교가 하나님의 구원섭리에 있어서 방편으로서의 역할을 다한 후 자연스럽게 소멸된다는 이론. [내용] 구원섭리가 완성되어 하나님의 창조이상세계가 이 땅에 실현되면, 종교는 자연스럽게 소멸된다는 주장이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인류 역사상에 다양한 종교가 나타나게 된 근본원인을 인간시조의 타락에서 찾는다. 인간이 선악과의 과실을 따먹지 말라는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자신의 인격을 스스로 완성했더라, 우리에게 종교적 삶은 요청되지 않는다. 개성을 완성한 인간은 기도나 신앙생활 혹은 종교의 가르침이 없어도 하나님과 심정적으로 일체된 가운데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사랑과 선한 생활을 영위해 나가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소망과 달리 인간은 성장 기간에서 자기를 중심한 이기적인 사랑이 동기가 되어 타락한 결과로 하나님과 심정적 인연이 끊어져 하나님의 실존과 뜻 그리고 영적인 세계에 관한 깊은 무지의 상태에 빠지고 말았다. 이에 부모이신 하나님은 그 시대의 문화와 풍습 및 환경에 적합한 여러 종교를 세워 타락한 인간의 심령을 부활시켜 하나님의 참사랑과 진리를 찾아 나오도록 이끌었다. 인류 구원섭리가 참부모 메시아에 의해 완결되어 본연의 이상세계가 회복되면, 구원의 방편인 종교는 그 사명을 다하고 자연스럽게 소멸된다. 그런 관점에서 볼 때 하나님의 섭리에 따라 인류의 영성을 깨우쳐 나온 종교가 지향하는 최종적인 목표는 종교가 사라지는 시대를 맞이하는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천지창조 당시에 하나님이 이상했던 목적이 온전히 실현되어 종교 자체가 필요 없는 새로운 미래를 열어 나가는 것이 인류 구원의 방편으로서 종교가 추구해야 할 궁극적 이상이다.
-
종교시장이론
종교시장이론 宗敎市場理論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종교현상을 수요와 공급이라는 시장적 상황요인으로 설명하려는 종교 경제학적 접근방법. [내용] 종교를 시장이론으로 이해하고 해석하는 합리적 선택이론이다. 여기서 시장의 개념은 순수하게 경제학적인 개념이므로 수요이론과 공급이론 모두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따라서 여러 종교가 난립한 상황을 일컫는 ‘종교시장’ 또는 ‘종교백화점’이라는 의미에서의 종교시장과는 다른 개념이다. 종교를 정의하기 어려운 것은 종교가 정형화된 사실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의미가 사회 속에서 매 순간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종교적 행위나 경제적 행위도 이와 같다. 처음부터 종교와 경제의 영역이 구분되어 존재했던 것이 아닌 것처럼 종교적 현상과 경제적 현상의 뒤섞임과 혼합은 자연스러운 인간성의 한 표현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종교시장이론은 종교정책이 단지 문화재정책의 일환이나 종교적 차별방지, 종교법인법과 같은 제도적이고 단편적인 정책 목표의 차원에서만 논의될 것이 아니라 경제적 관점에서 모든 사회정책의 궁극적 목표인 사회 구성원들의 행복과 만족을 종교시장 상황에도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종교시장이론에 따르면, 경쟁의 효율성에 관한 애덤 스미스의 신념은 종교시장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즉 경제적 시장에서와 마찬가지로 종교적 서비스의 제공자와 소비자 모두는 자기 이익의 증대에 부합하는 행위를 선택하는 이성적 존재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예배나 미사 또는 법회를 제공하는 종교전문인들과 그런 종교적 의식에 시간과 돈을 들여 투자하면서 참여하는 신도들은 맹목적 의식화나 불안 및 공포감 때문이 아니라 각자 그 종교적 선택으로부터 기대되는 편익과 비용을 계산하고 참여하는 것이다. 무한 경쟁의 스트레스로 병든 사회에서 현대인들이 종교를 더 많이 그리고 더 깊게 소비하는 이유는 단순히 고통을 잊기 위해 아편을 찾는 맹목적 종교성이 아니라 자신의 몸에 맞는 건강한 치료제를 선택하고자 하는 합리적 종교성에서 찾아야 한다. 간단히 말하면, 종교행위의 기본은 자기 이익의 추구에 있다.
-
종교신문
종교신문 宗敎新聞 항목체계 문헌 성격 3952센티미터 / 신문 발행/간행시기 한국종교협의회(1971.7.4) 「종교신문」 (1989.8.6) [정의] 한국종교협의회에서 종교 간의 화해와 연합을 위해 발행하는 정기간행물. [내용] 한국종교협의회에서 「주간종교」에 이어 1989년부터 현재까지 발행하고 있는 정기간행물이다. 참부모님은 한국의 종교연합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범종교 신문으로 1971년 「주간종교」의 발행을 말씀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종교협의회는 1971년 6월 2일 문화공보부에 정기간행물 등록을 확정하고, 6월 16일 서울 종로구 연지동 136-46 기독교회관 205호실에서 시무식을 가졌다. 이어 7월 4일 창간호를 발행하면서 「주간종교」의 3대 사시(社是)를 ‘정신혁명의 기수, 종교연합의 구현, 복지사회의 건설’로 밝혔다. 「주간종교」는 교파나 종파를 초월한 취재, 범종교적인 논설, 해외 종교의 광범위하고도 포괄적인 소개 및 해외 종교와 관련된 학술 소개, 종교 간의 대화 추진, 종교연합의 방향 제시, 복지사회건설을 위한 정신계도 등을 보도의 방향으로 잡고 초종파적인 기사를 보도하였다. 이후 1970년대 일본과 친선교류가 빈번해지자 「주간종교」를 일본어로 번역하여 1만 부를 제작해 비행기로 수송하여 일본 종교계에 보급하기도 했다. 일본어판은 1972년 11월 1일 최초 제작되었는데, 한국 정부의 허가를 받아 한국 신문이 일본어로 번역되어 일본 현지에 보급된 것은 처음 있는 일이었다. 양측의 문화교류는 물론 종교인의 교류와 친선을 도모하는 일에도 기여했다. 국내 최초의 범종교지로 출발한 「주간종교」는 국내외 종교계 소통의 장으로 역할을 하다가 1989년 8월 6일 「종교신문」으로 제호를 변경하였다. 이후 인터넷시대를 맞이하여 종이신문과 인터넷신문을 병행 제작하며 매체 형식의 변화를 꾀하였다. 2009년 10월에는 운영사정이 어려워 휴간을 하였으나, 2014년 5월 다시 복간하면서 온라인으로 제작하는 데 중점을 두며 종교화합을 위한 언론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
종교신문
종교신문 宗敎新聞 항목체계 기관기업 설립일시 1971.6.2 문공부 등록, 1971.7.4 창간 설립자 문선명, 한학자 [정의] 국내외 종교계의 소식과 종교연합운동의 방향 제시를 위하여 창간한 범종교 신문. [내용] 국내외 종교계의 소식과 종교연합운동의 방향 제시를 위하여 창간한 범종교 신문이다. 창간 당시 「주간종교(週刊宗敎)」라는 이름이었다가 1989년 8월 16일에 현재의 제호로 변경되었다. 정신혁명의 기수, 종교연합의 구현, 복지사회의 건설을 사시(社是)로 해외와 국내 종교계의 소식 보도와 종교연합운동의 방향을 제시해 왔다. 참부모님은 각 종교의 종단 신문이 있으나 범종교적인 신문이 없는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하여 통일교회 기관지가 아닌 종교 신문을 발행하도록 지시하였다. 이에 따라 초종파적인 종교보도를 통해 종교 간 이해와 협력을 도모하는 매개체로서 종교신문이 창간되었다. 참부모님은 “「주간종교」는 통일교회 주간지를 만들기 위해 세운 것이 아니라 종교주간지를 만들기 위해서 세웠습니다. 지금 종교계는 서로가 자기 종파를 중심삼고 있습니다. 자기 종파가 아니면 안 된다고 독불장군 놀음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공산주의와 대치하고 있는 우리의 현 상황에서 우선은 종교인들끼리 합심하여 나라 안에 있는 원수보다 더 큰 원수인 공산주의와 대결하는 합동작전을 펴야 합니다. 합동작전을 하는데, 누군가 그러한 풍토를 만들어야 합니다.”라고 창간의 목적을 피력하였다.
-
종교신문
종교신문 宗教新聞 항목체계 문헌 성격 일본 종교신문 발행/간행시기 1979.12.1 / 매월 10일 발행 [정의] 일본에서 매월 10일에 발행되는 종교신문. [내용] 일본 종교계의 소식과 종교연합운동의 방향 제시를 위하여 창간한 신문이다. 1979년 12월 1일 마쓰시타 마사토시 전 릿쿄대학 총장을 사주로 하고, 마유즈미 토오루(黛亨)를 편집장으로 하여 창간되었다. 「종교신문」은 첫째 정신혁명의 기수, 둘째 종교연합의 구현, 셋째 지상천국 건설을 사시(社是)로 정하고 월 2회 신문을 발행하면서 일본 종교계 관련 소식과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였다. 특히 히가시혼간지(東本願寺), 큐세이쿄(救世教), 오코토쿄(大本教) 등 교단 분쟁의 배후에 공산주의의 계략이 있다는 것을 폭로하는 연재기사를 보도하여 교단분쟁의 해결에 큰 위력을 발휘했다. 또한 일본 기독교단의 좌익지배에 관해 연재한 ‘납치된 기독교단’은 교단 정상화의 길을 열도록 만들었다. 현재 종교신문은 월 1회, 매월 10일에 발행된다.
-
종교신학
종교신학 宗敎神學 / Theology of religions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다원주의에 부응하여 종교간 공존과 상생을 모색하는 그리스도교 신학의 한 흐름. [내용] 1960년대부터 시작된 그리스도교 신학의 한 흐름이다. 기존의 신학이 기독교 외의 다른 종교들에 대해 무관심하든지 기독교 신학적인 입장에서 판단하고 비판하는 입장에 머물렀던 것과는 달리 종교신학은 기독교와 세계의 다른 여러 종교들 간의 대화와 협력이 요청되는 현실적 요구에 부응하며 종교 간의 공존과 상생에 기여할 수 있는 기독교 신학의 새로운 방향을 정립하고자 한다. 넓은 의미로 보면 여러 종교에 대한 신학적 입장과 판단은 모두 종교신학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런 점에서 종교신학은 종교다원주의와 구별된다. 다른 종교들에 대한 종교신학의 입장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배타주의적 입장이다. 구원과 진리가 오직 하나의 종교에만 있다고 보며, 주로 기독교 근본주의에서 배타주의를 보인다. 두 번째는 포괄주의적인 입장으로서 구원과 진리가 하나 이상의 종교에 있을 수 있지만, 오직 하나의 종교에만 구원과 진리가 온전하고 충만한 형태로 있다고 본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 로마가톨릭교회와 ‘익명의 그리스도인’을 주장한 칼 라너의 종교신학이 여기에 해당한다. 세 번째는 다원주의적 입장이다. 구원과 진리가 하나 이상의 종교에 존재하는 것으로 보는 점에서 포괄주의와 공통된다. 그러나 포괄주의와는 다르게 비록 종교들 간의 우열을 인정한다고 할지라도 어느 종교도 온전하고 충만한 형태의 구원과 진리를 배타적으로 보유하고 있지는 않다고 본다. 전통적으로 기독교 신학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에게 구원이 있다’는 입장, ‘교회 바깥에는 구원이 없다’는 입장을 보인다는 점에서는 배타주의지만 하나님의 은혜와 진리 및 구원의 빛은 시대와 장소를 초월하여 보편적으로 비춰진다고 보는 점에서 포괄주의다. 또한 이러한 구원과 진리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다원주의적이다. 이와 같이 모든 신학은 이 세 가지 측면을 모두 지니지만, 다만 종교신학은 신학의 다원주의적 측면을 강조하고 부각시킨다는 점에서 다른 신학과 구별된다. ☞ ‘종교 다원주의’ 참조
-
종교예술
종교예술 宗敎美術 / Religious art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종교활동에 수반하여 이루어지는 미술의 총칭. [내용] 예배, 전례, 수신(修身), 포교 등의 종교활동에 수반하여 이루어지는 미술의 총칭이다. 선불교의 달마도처럼 때로는 종교활동 그 자체로서 예술이 행해지기도 한다. 선불교에서 달마를 그리는 것은 곧 수행이다. 종교에 따라서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르지만, 종교예술의 중심을 차지하는 것은 신 또는 신적 존재의 회화와 조각에 의한 형상화이며, 그 자체가 예배의 대상이 된다. 특히 기독교나 불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와 석가모니 부처의 언행과 행적을 기록한 경전이 중시되며, 그 내용을 도상으로 표현하는 회화와 조각이 많다. 물론 신의 거처 또는 신성한 공간으로서의 신전, 성당, 사원 등의 건축도 종교예술의 주요 내용으로 포함된다. 유대교나 이슬람교에서는 절대자 유일신을 도상으로 표현하는 것을 금했기 때문에 시나고그나 모스크 등의 건축물을 중심으로 종교미술이 전개되었다. 본래 종교와 예술은 인간이 도달할 수 없는 영역 또는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극점을 지향하기 때문에 이 둘은 상통한다. 특히 종교가 사람들의 삶을 강하게 지배하던 고대부터 중세까지 주요 미술작품의 대부분은 종교로 인해 생겨났으며, 역으로 이러한 미술작품들은 인간의 원초적인 욕망이 영적인 고양을 위한 욕망으로 승화되는 사다리가 되었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