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세군
구세군 救世軍 / Salvation army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1865년 전투적인 복음전파와 적극적인 자선 및 사회 개혁을 실천하는 군대식 교회조직으로 설립된 개신교 교파. [내용] 1865년 영국 노팅엄의 감리교 목사였던 윌리엄 부스(William Booth)와 캐서린 부스(Catherine Booth) 부부가 음지의 소외된 사람들을 더 적극적으로 돕고 기독교 복음을 전하기 위해 세운 그리스도교 선교회(Christian Mission)를 1878년 죄악과 가난 그리고 빈곤과 같은 사회악을 무찔러 ‘세상을 구원하는 군대’를 뜻하는 ‘구세군(Salvation Army)’으로 명칭을 변경한 개신교 교파이다. 1891년 공식적으로 시작한 구세군 사회복지사업의 일환으로 1896년 구세군을 대표하는 자선냄비를 시작하였다. 군대식의 훈련과 극기, 헌신과 열정적인 선교, 가난 구제, 의료사업 등 활발한 사회복지사업으로 구세군은 130여 개국에서 활동하는 국제적인 교단으로 발돋움했다. 구세군의 신앙은 전통적인 기독교 교리를 따르지만 복음의 사회적 구제 차원을 강조한다. 교단의 상징, 교회 조직과 직제의 명칭은 모두 군대식으로 되어 있다. 전 세계 구세군의 본부인 만국본영은 영국 런던에 있으며, 세계 1백 개국에 군국과 지구가 있고 그 아래 여단, 군영 등의 하부조직이 있다. 대표적인 상징은 면류관, 군세군기, 붉은 방패, 교인들의 군복 등이다. 또한 목회자를 사관, 일반 교인을 군우, 교리 학습단계의 예비신자를 ‘예비병’, 신앙을 고백하고 세례를 받은 자를 ‘병사’라고 하고, 세례식을 가리켜 ‘입대식’이라고 부른다. 구세군 대한본영(한국 구세군)은 1908년 영국 선교사 로버트 호가트(Robert Hoggard)가 이끈 사관들의 선교에 의해 시작되었다.
-
구세주
구세주 救世主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인류를 죄악의 굴레에서 구원해 주는 메시아. [내용] 구세주란 유대·기독교의 맥락에서 죄악의 굴레에 빠져 있는 인류를 구원해 줄 수 있는 인물, 즉 메시아를 의미한다. 가톨릭교나 개신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일컫는 말이다. 종교를 떠나 세상을 구원하는 자 혹은 어려움이나 괴로움에서 구해 주는 사람이라는 뜻을 지닌 보편적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에서는 메시아, 재림주, 구세주를 참부모로 이해한다. 참부모란 한 남성과 한 여성이 인류의 시조로서 하나님의 사랑을 중심으로 일체를 이루어 참사랑, 참생명, 참혈통의 실체적 뿌리가 되는 전 인류의 부모를 가리킨다. 죄악에 빠진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서는 타락한 혈통을 하나님의 혈통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다시 낳아 주는 과정, 즉 중생시키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데 인류를 다시 태어나게 하기 위해서는 한 남자 혹은 한 여자로서는 불가능하며 반드시 부모가 존재해야만 한다. 따라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인류를 구원해 줄 수 있는 부모, 즉 참부모를 구세주로 이해하며 문선명·한학자 참부모님을 구세주로 고백한다. ☞ ‘재림주’, ‘메시아’, ‘중생’, ‘참부모’ 참조
-
구약성서
구약성서 舊約聖書 / Old Testament Bible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유대교 경전을 기독교가 자체의 경전으로 인정하며 붙인 이름. [내용] 유대 민족이 사용하던 히브리 경전을 기독교가 자체의 경전으로 인정하면서 예수님 이후의 경전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 이름으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도 같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과 구약성서 하나님의 복귀섭리는 아브라함부터 예수님 때까지 유대 민족을 중심한 복귀섭리의 시대와 예수님 때부터 참부모님 때까지 기독교를 중심한 복귀섭리의 연장시대, 참부모님 이후의 복귀섭리 완성시대로 구분된다. 따라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에서 유대교의 경전 또는 구약성서와 기독교의 신약성서는 모두 그 시대 하나님의 계시와 복귀섭리의 역사를 기록한 경전으로 인정된다. 구약성서란 기독교가 유대교의 경전을 자체의 관점에서 새롭게 이해하여 자체의 경전으로 규정하며 붙인 이름이다. 기독교는 이 경전을 구약성서, 곧 오래된 약속의 경전이라는 의미의 이름으로 부르며 예수님에 근거한 새로운 경전인 신약성서와 대비시킨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도 유대교와 유대 민족의 역사를 복귀섭리역사의 중심사로 이해하며, 그 핵심은 메시아의 강림에 대한 약속과 성취라고 이해하므로 유대교의 경전을 구약성서라고 부르는 것을 긍정하고 그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며 개신교가 정경으로 형성한 구약성서를 주로 사용한다. 구약성서는 하나님의 창조와 타락, 복귀기대 섭리시대와 복귀섭리시대의 내용을 보여 주는 대단히 중요한 경전이다. 통일원리는 구약성서를 사용하여 하나님의 창조목적, 3대 축복, 인간의 타락과 구원의 본질 등을 설명하며 인간시조의 타락 이후 하나님의 복귀섭리가 어떤 공식에 의해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가를 설명한다. 유대 민족의 역사는 하나님이 새로운 인간시조인 메시아 예수님을 보내기 위한 중심적인 복귀섭리의 역사이다. 구약성서가 기록하는 복귀섭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아브라함, 이삭, 야곱 가정에서 가정적인 메시아를 위한 기대를 세우는 섭리가 성공하여 하나님은 그 후손들을 이스라엘이라는 이름의 선민으로 선택하고, 이 선민을 통해 메시아를 위한 민족적인 기대를 세우고자 했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의 후손이 애급에서 탕감복귀의 노정을 걸으면서 민족을 형성한 후 모세를 세워 이 민족을 애급에서 탈출시켜 가나안에 정착하게 했다. 그리고 사사시대, 통일왕국시대, 남북 왕조 분립시대, 바빌론 포로 및 귀환 시대, 메시아 강림 준비시대를 거치며 그들에게 장차 메시아를 보낼 것을 약속하고 복귀섭리를 진행하여 나왔다. 하나님은 유대 민족의 민족적 노정을 통하여 사탄을 굴복시키는 전형노정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이 터전 위에서 메시아 예수님을 보냈다. 유대교와 유대 민족의 역사는 구약시대로서 예수님 때까지 복귀섭리역사의 중심 역사이다. 그러나 유대교와 유대 민족이 예수님을 불신함으로 인해 기독교를 중심한 신약시대, 곧 복귀섭리 연장시대가 시작되었다. 예수님 이후 재림 메시아 참부모님 때까지는 기독교 역사가 복귀섭리의 중심 역사가 되었다. 구약성경의 구성 유대교 경전은 A.D. 90년 얌니아에서 열린 유대교 종교회의에서 여러 문서들 중에 24개를 유대교의 정경(正經)으로 최종 결정하고 편찬하면서 완성되었다. 기독교는 이것을 자체의 관점으로 몇몇 문서를 추가하거나 하나의 문서를 여러 권의 문서로 나누면서 새롭게 편찬하여 구약성서라는 이름의 기독교 경전으로 확정했다. 구약성서의 구성 내용은 기독교의 큰 흐름인 가톨릭, 동방정교, 개신교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인다. 가톨릭은 유대교 경전의 내용에 유대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은 몇 개의 문서를 추가하여 모두 46권으로 구약성서를 편찬했다. 동방정교는 가톨릭의 구약성서에 몇 개의 문서를 추가하여 모두 50권으로 자체의 구약성서를 편찬했다. 개신교의 구약성서는 유대교의 경전과 그 내용이 같되 몇 문서를 나누어서 편찬하여 모두 39권이다. 개신교는 유대교의 경전에 가톨릭과 동방정교가 추가한 문서들을 외경으로 여긴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주로 개신교가 편찬한 구약성서를 사용한다. 『원리강론』에 나오는 구약성서의 문구들도 개신교가 편찬한 구약성서로부터 인용한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에서 주로 사용하는 개신교의 구약성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구약성서는 크게 율법서, 역사서, 문학서, 예언서로 나뉜다. 그 배열은 반드시 연대기의 순서로 된 것은 아니며, 그 종류에 따라서 편성된 것도 있다. 구약성서 39권의 종류별 특성과 전체 배열은 다음과 같다. ① 율법서는 모세 5경이라고도 하며 창세기, 출애급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등의 5권이다. 모세 5경이라는 것은 유대인들이 모세를 존경하여 율법과 모세를 결부시킨 이름이다. 천지창조에서부터 인간의 타락과 유대 민족의 시조인 아브라함, 이삭, 야곱의 이야기, 그리고 모세를 중심으로 유대 민족이 애급을 탈출하여 가나안에 들어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또한 다양한 율법의 규례와 조항들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② 역사서는 가나안에 정착하여 바빌론 포로 이전까지의 역사를 기록한 신명기 역사서와 바빌론 포로에서 귀환한 이후의 역사까지 기록한 역대기 역사서로 나뉜다. 전자는 여호수아, 사사기, 룻기, 사무엘상, 사무엘하, 열왕기상, 열왕기하 등의 7권이다. 후자는 역대기상, 역대기하, 에스라, 느헤미야, 에스더 등의 5권이다. 신명기 역사서 7권은 이스라엘 민족이 출애급 이후에 가나안지역을 정복하고 그곳에 정착하여 형성해 온 역사들, 곧 사사(士師)를 중심한 시대 그리고 그 이후에 세워진 이스라엘 왕국의 정치사, 왕국 분열의 역사, 여러 왕들의 업적 등을 기록하고 있다. 역대기 역사서 5권은 바빌론 포로에서 귀환한 뒤에 이스라엘 역사를 재해석하고 귀환 이후 시대의 역사까지 포함하여 기록하고 있다. ③ 문학서는 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 아가 등의 5권이다. 유대 민족에 의해 만들어진 신앙적인 시가문학들과 지혜의 문학들로 구성된다. 시가문학은 여러 세기에 걸친 이스라엘의 서사시를 수집한 문헌으로서 유대교 예배에서 사용되었다. 지혜의 문학은 유일신과 인간 및 역사에 대한 심오한 통찰과 삶에 대한 조언들을 보여 준다. ④ 예언서는 그 분량에 따라 대예언서 5권과 소예언서 12권으로 나뉜다. 대예언서는 이사야, 예레미야, 애가, 에스겔, 다니엘 등의 5권이며 소예언서는 호세아, 요엘, 아모스, 오바댜, 요나, 미가, 나훔, 하바국, 스바냐, 학개, 스가랴, 말라기 등의 12권이다. 예언서는 유대 민족이 세운 이스라엘 왕국시대부터 바빌론에 의해서 멸망한 이후의 시대에 이르기까지 하나님에 의해 선택받은 예언자들의 활동과 사상을 기록하고 있다. 구약시대의 예언자들은 하나님의 지시로 앞으로의 희망도 예언했지만, 당시의 잘못된 것을 지적하는 사명도 담당했다. 특징 구약성서를 구성하는 문서의 원전은 대부분 히브리어로 기록되었고, 몇몇 문서는 아람어로 기록되었다. 또한 몇몇 문서는 그리스어로도 기록되었다. 구약성서 문서의 저자는 대부분 자신의 이름을 밝히지 않고 기록하였으므로 저자가 분명하지 않은 것이 많다. 오랫동안 다양한 사람들에 의해서 기록된 문서들이지만 하나의 주제를 일관되게 담고 있는 것은 근본적으로 유대 민족의 역사에 하나님의 일관된 복귀섭리가 반영되어 있으며, 그것에 대한 부분적인 계시에 근거하여 기록하였기 때문이다. 구약성서는 하나님이 이스라엘 민족을 선민으로 세우고 장차 그 가운데 인류를 구원할 메시아를 보낸다는 약속을 담고 있다. 메시아 강림에 대한 약속은 예수님의 출현으로 성취되었다.
-
구약시대
구약시대 舊約時代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하나님의 창조 이후 예수님이 탄생하기 이전까지의 율법시대. [내용] 율법의 완성자, 말씀의 실체 예수님이 오기 전까지 율법을 중심으로 펼쳐진 구원역사시대를 말한다. 구약(舊約)이란 말 그대로 옛 언약을 의미한다. 하나님은 인간이 책임분담을 완수할 때 비로소 완성되도록 창조하였기 때문에 인간은 하나님이 주는 약속을 잘 지키면, 즉 책임분담을 다하면 축복의 삶을 살 수 있게 된다. 하나님은 태초부터 인간시조 아담과 해와에게 ‘따먹지 말라’는 계명과 더불어 3대 축복(창세기 1:28)의 언약을 주었으며, 그들의 타락 이후에도 아브라함과 모세 등에게 축복의 언약을 내리며 복귀섭리의 역사를 이끌었다. 인간시조의 타락으로 말미암아 인간은 말씀을 잃어버렸기 때문에 말씀의 실체, 즉 메시아가 오기 전까지는 ‘율법’을 통해 의로움을 강구할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율법의 완성자, 말씀의 실체 예수님이 와서 새로운 언약, 즉 신약(新約)을 맺기 전까지 율법을 중심으로 펼쳐진 구원역사의 시대를 구약시대라고 부른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원리강론』에 따르면, 구약시대는 율법을 실천하여 의로움을 얻는 ‘행의시대(行義時代)’인 반면에 신약시대는 예수님을 영적으로 믿음으로써 의로움을 얻는 ‘신의시대(信義時代)’이다. 더 나아가 재림주를 중심으로 약속을 성취하는 ‘성약시대(成約時代)’는 재림주 참부모를 실체적으로 모심으로써 의로움을 얻는 ‘시의시대(侍義時代)’라고 한다. ☞ ‘율법’, ‘3대 축복’, ‘신약시대’, ‘행의시대’, ‘신의시대’, ‘성약시대’, ‘시의시대’ 참조
-
구원
구원 救援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죄에 빠진 자를 죄가 없는 창조본연의 입장으로 복귀시키는 것. [내용] 구하여 돕는 것을 뜻하는 구원(救援)은 주로 유대·기독교의 맥락에서 죄악과 고통 그리고 죽음에 빠진 인류를 구해 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의 구원은 인간 스스로가 성취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초월적 권능과 은총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하지만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에서는 하나님의 창조이상은 하나님의 95퍼센트 책임분담과 인간의 5퍼센트 책임분담이 합쳐져 이루어진다고 보기 때문에 구원에 있어서도 인간의 책임분담을 강조한다. 전체적으로는 5퍼센트에 불과하지만 스스로의 관점에서는 1백 퍼센트이기 때문에 구원받기 위해서는 인간 스스로의 절실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원리강론』에 의하면, 구원이란 죄에 빠진 자를 죄가 없는 창조본연의 입장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타락한 인간이 창조본연의 인간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죄를 탕감할 수 있는 조건을 세우고, 그것을 완수함으로써 죄를 짓기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으면 안 된다. 인간의 탕감조건 수행은 하나님도 어찌할 수 없는 것, 즉 인간 스스로 완수해야 하는 것이므로 구원에 대한 하나님의 뜻은 절대적일지라도 그 뜻의 성사에 있어서는 인간 책임분담 수행 여부에 따라서 상대적일 수밖에 없다. 구원섭리의 역사가 인류 역사 속에서 오랜 기간 연장될 수밖에 없었던 것은 섭리의 중심인물들이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실패를 거듭했기 때문이다. 다만 타락으로 인해 사탄의 혈통을 지닌 인간이 아무리 스스로 노력한다고 해서 그 혈통에서 벗어날 수는 없기 때문에 원죄 없는 메시아를 통해 중생하지 않으면 구원에 이를 수 없다. 따라서 메시아, 즉 참부모를 이 땅위에 출현케 하는 것은 하나님의 권능이자 책임이다. 다만 여기에는 인류가 메시아를 맞을 수 있는 기대, 즉 ‘메시아를 위한 기대’를 세워야 하는 책임과 오시는 메시아를 믿고 모시며 따라야 하는 책임 그리고 인류의 참부모로서 인간으로 오는 메시아 스스로의 책임이 함께 결부돼야만 구원의 길이 열릴 수 있다. 구원의 범위에 있어서 구원이 죄를 짓기 이전의 아담과 해와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하는가, 아니면 아담과 해와를 중심한 전 세계가 완성의 상태에 이르는 것까지를 의미하는가에 대해서 여러 의견이 있을 수 있다. 『원리강론』에서 ‘창조본연의 입장’으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죄 짓기 이전의 상태보다는 창조이상의 세계를 성취하는 데까지를 구원의 범위로 보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 ‘탕감조건’, ‘책임분담’, ‘예정론’, ‘메시아를 위한 기대’ 참조
-
구원섭리
구원섭리 救援攝理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타락세계를 창조이상의 세계로 복귀하는 하나님의 섭리. [내용] 하나님이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펼쳐 온 역사 전반을 의미한다. 인간시조의 타락으로 말미암아 이 세계는 죄악으로 점철된 세계로 전락하고 말았다. 하나님의 창조이상은 절대, 유일, 불변, 영원하기 때문에 하나님은 이 죄악의 세계를 그대로 둘 수 없으며 반드시 구원하려고 한다. 여기서 구원이란 죄악 세계를 창조본연의 입장으로 복귀하는 것을 의미하고, 구원섭리는 하나님의 인류 구원을 위한 절대적인 뜻을 중심하고 하나님과 인간이 협동하여 이루어 내는 복귀역사의 전반을 가리킨다. 따라서 하나님의 구원섭리는 곧 ‘복귀섭리’라고 할 수 있다. ☞ ‘구원’, ‘복귀섭리’, ‘섭리’ 참조
-
구유터 패취터
구유터 패취터 항목체계 해외 [정의]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선교사. [내용] 1975년 5월 참부모님에 의해 싱가포르로 파송된 세 명의 선교사들 중 한 명이다. 이때에 파송된 다른 두 명의 선교사들은 미국인 조지 글래스(George Glass)와 일본인 사토 마사요시였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