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정국
안정국 安定國 항목체계 인물 성별 남 [정의] 입교 후 경제기반을 닦는 데 기여한 원로. [내용] 1955년 흥인동교회 시절에 입교하여 경제기반을 만드는 데 기여하였다. 1968년 1월 7일 통일산업주식회사 전무이사로 임명받았으며, 1971년 6월 5일 동아티타늄을 인수하였을 때 공동대표로 취임하였다. 1975년 7월 8일 재단 부이사장에 취임하였다.
-
안주
안주 安州 항목체계 성지 소재지 평안북도 안주군 안주읍 신의리 [정의] 참어머님의 고향. [내용] 참어머님의 고향인 평안북도 안주군 안주읍 신의리를 의미한다. 참어머님은 1943년 2월 10일(음 1.6) 평안남도 안주군 안주읍 신의리 26번지에서 부친 한승운 선생과 모친 홍순애 선생 슬하의 외동딸로 탄생하였다. 안주는 참아버님이 탄생한 평안북도 정주와 70리 정도 떨어져 있다. 평안도(平安道)는 평양과 안주를 합한 이름으로 그만큼 안주는 살기 좋은 곳으로 유명했다. 안주는 ‘편안한 고을’이란 뜻이다. 동쪽은 개천시, 서쪽은 문덕군, 남쪽은 숙천군과 순천시, 북쪽은 평안북도 박천군과 접하여 있다. 1952년 12월 행정구역 개편 시 안주군 대미면·용화면·연호면·입석면의 일부지역이 분리되어 문덕군이 신설되었으며, 나머지 안주읍·동면·운곡면·신안주면의 면 행정 단위가 폐지되고 리 단위로 분할돼 통폐합되었다. 안주시는 청천강과 그 지류들에 의하여 이루어진 충적평야와 언덕지대에 자리 잡고 있다. 마두산(536미터), 상산(530미터), 송암산(364미터) 등 낮은 산들이 솟아 있으며 지형은 동남쪽에서 서북쪽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져 청천강 연안에 안주평야가 펼쳐져 있다.
-
안주 외가 시절
안주 외가 시절 安州 外家 時節 항목체계 역사사건 [정의] 참어머님이 외가 안주에서 보낸 시절. [내용] 참어머님이 외가인 평안남도 안주군 안주읍 신의리 26번지에서 탄생하여 보낸 어린 시절을 의미한다. 1943년 2월 10일(음 1.6) 평안남도 안주에서 탄생한 참어머님은 줄곧 외가에서 자랐다. 참어머님은 외가에 대해 “아주 시골은 아니었어요. 집 뒤에는 야산이 있었고, 개울물이 흐르며 아주 포근하고 따뜻한 느낌을 주던 곳입니다. 마치 암탉이 병아리를 품듯이 말이에요. 뒤뜰에는 식구들이 먹기 위해 재배한 옥수수 밭이 있었는데, 그 옥수수가 아주 컸던 기억이 납니다.”라고 회고하였다. ☞ ‘조원모’, ‘홍순애’ 참조
-
안착시의의 날(안시일) 선포
안착시의의 날(안시일) 선포 安侍日 항목체계 역사사건 [정의] 8일마다 지켜야 하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성일을 선포한 일. [내용] 참부모님이 2004년 4월 19일 뉴요커호텔에서 제45회 참부모의 날을 맞아 8일마다 지켜야 하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성일을 선포한 기념일이다. 참아버님은 안시일은 모심으로 구원을 받는 시의시대에 하나님과 같이 생활할 수 있는 해방권과 석방권이 이루어지는 날을 의미한다고 말씀하였다. 또한 2004년 5월 5일부터 8일 간격으로 안시일을 성일로 지키며 달력을 새롭게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2004년 6월 27일 여수 청해가든에서는 안시일을 다시 천요일로 선포하였다. ☞ ‘천요일’ 참조
-
안창성
안창성 安昌成 항목체계 인물 성별 남 생년월일 1925.12.12 [정의] 1954년 입교한 후 한국의 ‘원리’ 대표 강사로 헌신한 36가정 원로. [내용] 1925년 함경남도 이원군에서 이정국과 정보금의 2남 1녀 중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1948년 서울 경복고등학교를 거쳐 1952년 3월 서울대학교 법대를 졸업한 후 1958년까지 서울 용산중고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였다. 1954년 11월 6일 처남 오승택을 따라 입교한 뒤 폐병 3기의 건강이 호전되는 기적을 경험했고, 김영운을 인도하였다. 참부모님이 “건강이 안 좋아서 수명이 짧은 사람이지만 하늘의 말씀을 전하면서 수명이 길어졌다.”고 말씀하실 정도로 1955년부터 1981년까지 협회의 ‘원리’ 강사로서 헌신하였다. 1961년 2월 협회 전도부장으로 시무하는 것을 시작으로 1966년 1월 협회 ‘원리’ 강사실장, 1968년 2월 협회 교육부장을 역임하였다. 1976년 세계 순회사로 임명받았으며, 1981년 3월 미국 선교사로서 40일 수련 강사로 활약했다. 1996년 6월 에콰도르 국가메시아로 임명받고 활동하다 2006년 7월 21일 성화하였다. 참부모님으로부터 ‘천의봉중자(天意奉重者)’라는 휘호를 하사받았다. 1961년 5월 최예정과 36가정으로 축복을 받은 후 4남 1녀를 두었으며 1968년 14년 노정 공로로 참부모님상, 1981년 협회장상, 1996년 선교부문 33년 공로 참부모님상, 2003년 천일국주인상을 수상하였다. ☞ ‘김영운’, ‘오승택’, ‘최예정’ 참조
-
알렉산더 5세
알렉산더 5세 알렉산더 5世 / Alexander V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1409년에 선출된 교황. [내용] 그의 본명은 베드로(1339-1410)였다. 그는 1402년 밀라노의 대주교가 되었고, 1405년 교황 인노켄티우스 7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임명되었다. 1409년 추기경들은 이탈리아 피사에서 회의를 열어 서방교회 분열을 끝내고자 교황 그레고리우스 12세와 교황 베네딕투스 13세를 폐위시키고 교황 알렉산더 5세를 선출하였다. 그러나 폐위된 두 교황이 이에 불복함으로써 3인의 교황이 정립하게 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그 후 다시 3인의 교황을 일제히 폐위시키고 마루티누스 5세를 교황으로 선출하게 되었다. 교황 알렉산더 5세의 재위 기간은 1년이 되지 못하였다. 교황 알렉산더 5세는 『원리강론』에서 섭리적 동시성의 관점으로 설명되는 ‘유대 민족 포로 및 귀환시대와 교황 포로 및 귀환시대’에서 언급되고 있다.
-
알렉산드리아
알렉산드리아 Alexandria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이집트 북부의 해안도시. [내용] 나일강 하구에 위치한 이집트의 항구도시이다. 알렉산드레이아(Alexandreia)라고도 하며 이집트어로는 알이스칸다리야(al-iskandarīyah)라고 부른다. B.C. 331년 알렉산드로스대왕의 이집트 원정 때 건설되었으며, 나중에 프톨레마이오스가(家)가 다스리던 이집트의 수도가 되어 헬레니즘 시대의 문화·경제의 중심지로 발전하였다. 알렉산드로스대왕은 자신의 제국 도처에 70여 개에 달하는 자신의 이름을 딴 도시를 건설하였는데, 그 중에서 가장 유명한 도시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였다. 처음부터 계획된 도시였으며, 왕가의 보호에 힘입어 학문과 예술이 발달하고 자연과학의 연구가 활발하였다. 기하학의 유클리드, 지리·역사·자연과학의 에라토스테네스, 지리학의 프톨레마이오스, 문헌학의 칼리마코스 등의 대학자들을 배출하였다. 히브리어로 된 구약성경을 헬라어로 번역한 70인 역이 편찬된 곳이며, 초대 기독교 성경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곳이기도 하다. 무역항으로서도 번영을 누렸으며, 인도·아라비아·아프리카의 산물과 이집트의 국내 산물을 지중해 각지에 보내던 대수출항이었다. 또한 유리공업을 비롯한 공업도 발달하였다. 3세기에는 신(新) 플라톤학파 철학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클레멘스와 오리게네스 등의 신학자들이 활동하였다. 그 후 오래도록 학문의 중심지로 그 명성을 유지하였으나 640년 이후로 아랍의 지배가 시작되면서 쇠퇴하였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