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크교
시크교 시크敎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힌두교와 이슬람 신앙이 융합되어 탄생한 인도의 종교. [내용] 15세기 인도에서 힌두교의 박티(bhakti, 信愛) 신앙과 이슬람교의 신비 사상이 융합되어 생겨난 종교다. 창시자는 구루 나나크(Guru Nanak Dev, 1469-1538)이다. 나나크는 현재 파키스탄 영토인 라호르(Lahor)지역의 공무원 집안에서 출생했으며, 우연한 기회에 집을 떠나 성자들을 만나게 되었는데 30세에 깨달음을 얻은 것으로 전해진다. 시크(sikkh)라는 말은 산스크리트어 시슈야(sisya)에서 유래한 말로서 제자를 의미한다. 시크교도들은 나나크를 비롯한 구루(guru, 스승. 특히 시크교의 경우에는 法主)들의 충실한 제자라고 믿는다. 구루는 역사상의 인물로서는 제10대까지 계속된다. 시크교는 현재 인도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지닌 주요 종교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2천3백만 명에 이르는 신도를 지닌 세계 5대 종교 중의 하나이다. 대부분의 신도들은 인도 북서부의 펀자브지방에 거주한다. 시크교 교리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힌두교와 이슬람을 비판적으로 통합했다는 점이다. 나나크는 스스로를 “힌두도 아니고 무슬림도 아니다”라고 했으며, 또한 “힌두의 구루이며, 무슬림의 피르(道師)이다”라고 했다. 시크교는 힌두교의 박티 신앙과 이슬람교의 수피즘이 지니는 장점을 비판적으로 수용한 종교로 볼 수 있다. 교리적으로 힌두교의 윤회설을 받아들였지만, 시크교도들의 삶은 오히려 무슬림에 가까운 편이다. 힌두교의 카스트제도를 부정하고 인간의 절대 평등을 주장하였다. 나나크가 구도 여행 중에 만났던 라비다스(Ravidas)와 카비르(Kabir)의 가르침은 시크교 교리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시크교에서 믿는 바히구루(Bahigru)라는 신은 무형으로 영원하며 눈으로 볼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 따라서 구원을 위해서는 오직 신에게 다가가는 수행의 길뿐임을 강조한다. 나나크는 수행을 통하여 영적 교감이 뛰어난 사람은 신을 직접 볼 수 있다고 했다. 시크교도들은 다섯 가지 성물인 케쉬(Kesh, 깎지 않은 머리카락과 수염), 캉가(Kangha, 나무 빗), 키르판(Kirpan, 단검), 카라(Kara, 쇠팔찌), 그리고 카체라(Kachera, 속바지) 등을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닌다. 이 다섯 가지는 모두 ‘K’로 시작하므로 흔히 ‘Five Ks’로 통칭된다. 이 다섯 가지 성물은 시크교도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종교적인 의미도 지닌다. 자르지 않은 수염과 머리카락은 신이 인간에게 준 것을 훼손하지 않고 그대로 간직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나무 빗 캉가는 긴 머리카락과 수염이 헝클어지지 않게 유지하는 도구로서 내적으로는 신체적 청결과 함께 정돈되고 질서 잡힌 삶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크교도들은 하루에 두 번씩 캉가로 수염과 머리카락을 빗질한다. 단검 키르판은 용기와 약자에 대한 보호를, 그리고 쇠팔찌 카라는 그들이 신에게 영원히 귀속되어 있음을 뜻한다. 무릎 위까지 올라오는 짧은 속바지 카체라의 의미에 대해서는 다양한 설이 있다. 대개는 카체라를 착용한 사람에게 겸손과 정결함을 상기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해된다.
-
시편
시편 詩篇 / The book of Psalms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구약성서의 열아홉 번째에 수록된 책. [내용] 구약성서의 대표적인 시가서이다. 시편은 구약성서와 신약성서를 통틀어 가장 내용이 긴 책이다. 총 150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약성서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다. 종교시의 성격을 지닌 시편은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수집되어 완성되었다. 시편의 저자는 다수로 추정되며, 150편 가운데 78편의 저자는 다윗으로 기록되어 있다. 시편은 인간이 경험하는 고통과 좌절, 탄원과 하나님의 구원에 대한 찬양과 감사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러한 시편은 기독교에서 찬송가로 불리기도 한다. 『원리강론』에는 시편 78편 69절 ‘그 성소를 산의 높음같이 영원히 두신 땅같이 지으셨다’는 내용이 대표적으로 인용되고 있다.
-
식민주의
식민주의 植民主義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어떤 국가가 다른 민족이나 국가를 지배하는 정책이나 방식. [내용] 국가 주권을 자국 국경 바깥의 영역이나 사람들에 대해서 확대하는 정책 활동과 그것을 정당화하는 사상체계를 말한다. 식민주의(colonialism)라는 말은 고대 로마의 식민시(植民市)를 뜻하는 라틴어 ‘colonia’에서 유래했다. 이와 같이 식민주의의 역사는 매우 길다고 할 수 있지만 근대적 식민주의는 15세기 후반 포르투갈, 영국, 스페인, 네덜란드 등 유럽의 여러 나라들이 아메리카, 아프리카, 인도 등 세계의 여러 지역을 정복하여 향신료, 금, 상아, 노동력 등을 강탈했던 정치와 경제적 지배 행위를 말한다. 근대적 식민주의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그리고 중남미의 사회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문화식민주의’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오늘날에는 식민주의라는 말이 영토나 민족의 지배-피지배의 관계보다는 정치, 경제, 문화적 관계에서 지배-피지배의 관계를 의미하는 말로 널리 사용된다.
-
신 존재 증명
신 존재 증명 神 存在 證明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신의 존재를 이성적이며 학문적으로 증명하려는 방법. [내용] 신의 존재를 이성적이며 학문적으로 증명하려는 방법으로서 신학과 종교철학의 오랜 주제였다. 계시신학과 대비되는 이성적 신학에서 이론적으로 추구되는 증명이며, 신론분야에서 다루는 내용이다. 이성적 신학은 신 인식을 위해 경험적 원천을 배제하는 순수하게 이론적인 초월론적 신학과 경험적 원천을 원용하는 자연신학으로 구분된다. 나아가 초월론적 신학은 존재론적 신학과 우주론적 신학으로 나뉘며, 자연신학은 자연의 질서에 대한 목적론적 이해를 토대로 성립하는 물리신학과 최고선의 실현을 위한 목적론적 질서를 요청하는 도덕신학으로 나뉜다. 신의 존재 증명에 관해 존재론적 신학에서는 ‘가장 실재적인 존재자(ens realissimum)’의 개념에서 그 실재로 추론해 가며, 우주론적 신학에서는 ‘필연적 존재자(das notwendige Wesen)’로서 신의 존재가 탐구된다. 물리신학에서는 자연의 목적론적 질서의 창조자가 탐구되며, 도덕신학에서는 최고 선 실현의 필연성을 위해 신의 존재가 추론된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자신의 저서 『신학대전(Summa Theologiae)』에서 다섯 가지의 신 존재 증명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운동으로부터의 증명’이다. 움직이는 모든 것은 그 자신이 아닌 다른 무엇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것이다. 즉 그 자체는 움직이지 않으면서 다른 것들을 움직이게 하는 ‘부동(不動)의 동자(動者)’가 있을 것이다. 그 ‘부동의 동자’가 신이다. 두 번째는 ‘능동인(能動因)으로부터의 증명’이다. 존재하는 모든 것에는 원인이 있다. 모든 것은 그것과 구분되는 다른 어떤 것에 의하여 생겨난다. 원인의 무한소급은 있을 수 없다. 따라서 모든 것을 있도록 한 첫 번째의 능동 원인이 존재하지 않을 수 없다. 그 첫 번째의 능동 원인이 신이다. 세 번째는 ‘가능성과 필연성으로부터의 증명’이다. 관찰된 대상은 본질에 있어서 우연적이다. 우연적이라고 함은 대상이 자신의 존재를 다른 사물에 의존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대상의 존재는 그것들이 존재해 있지 않았을 수도 있기 때문에 필연성이 아닌 가능성이다. 이러한 존재의 가능성은 이외의 것에 의존하지 않는 필연적인 존재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그 필연적 존재가 신이다. 네 번째는 ‘자연의 위계에서 관찰되는 사물의 단계에 근거하는 증명’이다. 우리는 어떤 사물을 다른 사물보다 더 좋거나 나쁘다고 말한다. 이러한 비교적인 등급은 필연적으로 판단의 규정과 일치하는 절대 기준을 시사한다. 선함, 아름다움, 완전함 등의 기준은 바로 신이다. 다섯 번째는 ‘자연에서 볼 수 있는 질서와 조화에 근거하는 증명’이다. 세계의 모든 일은 알게 모르게 그 자체에 맞는 목적을 위해 봉사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질서의 조화를 운명이나 우연으로 돌리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 그것은 자신이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모든 일을 이루어 나가는 지적인 설계자가 있음을 시사한다. 그 설계자가 바로 신이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다섯 가지 신 존재 증명 중에서 앞의 세 가지는 우주론적 신 존재 증명이라고 불린다. 왜냐하면 그것은 우주 또는 세계의 몇몇 경험된 속성들에서 출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네 번째는 플라톤의 이데아론을 받아들인 것이다. 다섯 번째의 논증은 목적론적 신 존재 증명이라고 한다.
-
신격화
신격화 神格化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어떤 대상을 신으로 섬기는 일. [내용] 자연물이나 사람 등 어떤 대상을 신으로 섬기는 것을 말한다. 특히 그리스도교 전통에서는 피조물에 불과한 인간을 신으로 신성시하고 숭배하는 것을 신격화라고 하며, 그 외의 다른 대상과 관련해서는 우상숭배라고 한다. 이에 비하여 힌두교 등의 다신교에서 신격화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스승이나 성자뿐만 아니라 강이나 산이 신격화되는가 하면 살아서 움직이는 소도 신으로 숭배된다. 기독교에서 신격화는 용납될 수 없는 비신앙적 행위로 배척되지만, 힌두교에서 자연물이나 사람에 대한 신격화는 얼마든지 용납될 수 있는 일이다. 기독교에서 신격화는 유일신 개념에 의거하여 배척되지만, 힌두교에서 신격화는 다신론적인 배경에서 수용된다.
-
신경
신경 信經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그리스도교 교의의 요점을 간결하게 서술한 신앙고백. [내용] 그리스도교 교의의 요점을 간결하게 표현한 신앙고백이다. 그리스어로 심벌론(symbolon), 라틴어로는 크레도(credo, 나는 믿는다)의 번역어이다. 개신교에서는 대개 ‘신앙고백’이라고 한다. 신도들이 마음에 새겨야 할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신앙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초기 그리스도교도들에게 필수적인 신경은 예수님이 주(主)라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 “네가 만일 네 입으로 예수님을 주로 시인하며, 또 하나님께서 그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것을 네 마음에 믿으면 구원을 받으리라.”(로마서 10:9)고 하였다. 로마제국 박해시대에 세례를 원하는 사람은 자신의 신앙을 간결한 형태의 문구로 공언한 후에야 비로소 세례를 받을 수 있었다. 그때 이용된 정식(定式)이 신경의 시작이며, 이를 세례용 신경이라고 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리스도교 교의가 좀 더 세밀해지고 복잡해졌으며, 그러한 내용은 신경에 반영되었다. 그리스도교 최고(最古)의 신경으로 알려지는 사도신경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나님은 아버지이자 조물주이다. 둘째,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아들로서 십자가에 처형되었다가 부활하여 승천했다. 셋째, 예수 그리스도가 현세로 돌아올 때에는 전 인류가 심판을 받게 된다. 넷째, 하나님의 권능은 성령으로 나타난다. 다섯째, 영원한 삶이 있다. 사도신경 외에도 그리스도교의 기본교리와 관련한 주요 논쟁이 있을 때에는 이에 대한 교회의 분명한 입장을 담은 신경이 만들어졌다. 그 대표적인 예가 325년 제1차 니케아공의회에서 아리우스의 가르침을 이단으로 규정한 니케아 신경이다. 그리스도교의 모든 신경은 성서에 의거하고 하나님이 성부-성자-성령으로 존재한다는 삼위일체를 받아들이며, 예수 그리스도는 신인 동시에 인간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처음에는 단순한 세례용의 편의적인 정식으로 시작된 신경이 교의의 근간을 규정하는 권위 있는 정식이 되었으며, 오늘날 신경은 전례에 도입되었다. ☞ ‘사도신경’ 참조
-
신곡
신곡 神曲 / La Divina Commedia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이탈리아의 단테가 지은 서사시. [내용] 이탈리아의 대시인 단테의 대표작이다. 1302년에 고향 피렌체에서 추방된 후부터 유랑 생활 중 1307년경부터 쓰기 시작해서 말년에 완성했다. 원제는 ‘희극(Commedia)’이며, ‘신성한(divina)’이라는 형용사는 나중에 부가된 것이다. 전 3편(지옥, 연옥, 천국), 각 편 33가(歌)에 지옥편의 서가(序歌)가 더해져서 도합 100가, 1만 4233행으로 구성된 서사시이다. 겉으로 드러난 이야기의 주제는 단테의 사후 세계 여행담이다. 단테가 33살 되던 해의 성 금요일 전날 밤 길을 잃고 어두운 숲속을 헤매며 번민의 하룻밤을 보낸 뒤 빛이 비치는 언덕 위로 다가가려 했으나 표범(육욕의 상징)과 사자(교만) 그리고 암 늑대(탐욕)가 길을 가로막아 올라갈 수가 없었다. 그때 고대 로마 서사시 ‘아이네이스(Aeneis)’의 시인인 베르길리우스(Vergilius)가 나타나 그를 구해 주고 길을 인도한다. 그는 먼저 단테를 지옥으로, 다음에는 연옥의 산으로 안내하고는 꼭대기에서 단테와 작별하고 베아트리체에게 그의 앞길을 맡긴다. 베아트리체에게 인도된 단테는 지고천(至高天)까지 이르고, 그곳에서 한순간 신의 모습을 우러러보게 된다는 것이 전체의 줄거리이다. 한편 ‘신곡’은 중세의 모습과 세계상을 보여 주는 백과사전 역할도 한다. 단테의 시는 중세의 신학과 우주에 관한 거의 모든 지식의 집대성일 뿐만 아니라 외적으로는 14세기 초의 피렌체 사회를 반영하는 시대사적인 기록인 동시에 그 시대를 살았던 한 개인의 내적인 여행기이기도 하다. ‘신곡’에 묘사된 여러 가지 체험은 파란만장한 인생 체험을 통해 단테 자신의 영혼이 성장하는 과정을 우의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이해된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