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기관
서기관 書記官 / Scribe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율법에 정통한 전문가. [내용] 율법학자라고도 하며, 모세의 율법에 정통한 전문가로서 신약시대에 율법을 실생활에 적용하는 의무를 수행했다. 신약성서(누가복음)에 나타난 서기관들은 대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들은 공의를 무시하고 다른 사람에게 감당할 수 없이 많은 율법의 짐을 지우면서도 그들을 돕는 일에는 무관심했다. 예수 그리스도는 이웃을 사랑하기보다는 문자적인 의미의 율법에만 집착하는 그들의 태도를 비판했다. 바리새인들과 마찬가지로 독선과 위선에 가득 차 있다고 꾸짖었다. 신약성서에서 종교적인 자유가 강조되는 것은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의 경직되고 독선적인 태도와 관련된다. 서기관들은 신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하나님과 인간의 내밀한 관계를 경직되고 형식적인 계약의 관계로 규정하려고 하였다. ☞ ‘율법’, ‘서기관’ 참조
-
서남동
서남동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민중신학의 선구자. [내용] 전남 신안 출생으로 전주 신흥학교, 일본 도시샤대학(同志社大學) 신학과를 거쳐 캐나다 토론토 임마누엘신학교에서 신학석사 과정을 마쳤다. 대구에서 목회활동을 하다가 한국신학대학과 연세대학교 교수를 지냈으며 기독교선교연구원을 운영하였다. 1975년 6월 유신체제 하에서 이른바 ‘학원사태’로 연세대학교에서 해직되었으며, 이듬해 3·1 민주구국선언에 서명하여 함석헌, 김대중 등과 함께 긴급조치 제9호 위반으로 구속되었다. 그는 기존의 신학이 지닌 상투성, 그리고 지배층과의 유착에 대하여 강하게 비판했으며, 자신의 신학을 ‘방외신학(方外神學)’이라 하였다. 종래의 그리스도론적인 신학 해석방법에 반대하고 성령론적인 해석방법을 강조하여 민중의 구원에 초점을 둔 신학을 전개했다. 독자적인 신학노선을 구축하면서 제3세계 신학의 모델로 널리 알려진 ‘민중신학’을 만들었다. 주요 저서로는 『전환시대의 신학』(1976), 『민중과 한국 신학』(1979), 『민중신학의 탐구』(1984) 등이 있으며 역서로 『기독교사상가』, 『역사와 종말론』, 『메시아 왕국』 등이 있다. 특히 서남동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기본경전인 『원리강론』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한 신학자로 유명하다. 그는 『원리강론』을 “현세의 모든 지성인들에게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위대한 환상과 지혜를 제공하는 훌륭한 신학서적”이라고 말하고, “지금까지의 한국의 신학계가 산출한 신학서 중에서 그 양에 있어서나 그 조직력에 있어서 그 상상력과 독창성에 있어서 최고의 것”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
서대문형무소
서대문형무소 西大門刑務所 항목체계 역사사건 [정의] 참아버님이 기성교단과 정치권의 핍박에 의하여 3개월간 옥고를 치른 감옥. [내용] 이대, 연대를 중심으로 대학생 전도가 활발히 일어나자 이를 저지하려는 기성교단과 정치권의 압력에 의하여 참아버님이 1955년 7월 4일부터 3개월간 옥고를 치른 감옥을 일컫는다. 서대문형무소는 1908년 일본제국에 의해 경성감옥으로 세워졌다. 이후 서대문감옥(1912년), 서대문형무소(1923년)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옥사와 사형장이 구비된 현대식 감옥으로 일제강점기 때에는 독립운동가들이 주로 투옥되어 고초를 겪었다. 해방 이후에는 서울형무소(1945년), 서울교도소(1961년), 서울구치소(1967년)로 명칭이 바뀌었다. 1987년 서울구치소가 경기도 의왕시로 이전하면서 현재는 서대문형무소역사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참아버님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퇴직, 학생 퇴학사건 당시 서대문형무소에 미결수 신분으로 수감되었다가 10월 4일 서울지방법원 결심공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고 석방되었다. ☞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퇴직사건’, ‘이화여자대학교 학생 퇴학사건’ 참조
-
서명진
서명진 徐明鎭 항목체계 인물 출신지 전라북도 전주 성별 여 생년월일 1933.2.5 [정의] 특별순회사, 페루 국가메시아로 활동한 36쌍 축복가정 원로. [내용] 1933년 2월 5일 전북 전주에서 출생하였으며, 이화여자대학교 4학년이었던 1955년 4월 7일 친구의 권유로 원리강의를 듣고 입교하였다. 통일교회에 나간다는 이유로 5월 14일 퇴학 통보를 받았으며, 1956년 9월 숙명여대 약학과에 편입하여 1959년 졸업하였다. 1957년 7월 전북 남원에서 하계 40일 전도에 참가하였으며, 1960년 7월 충남 논산에서 전도활동을 하면서 40명을 전도하는 실적을 거뒀다. 이후 1년 동안 논산군 연산면에서 전도사로 활동하던 중 1961년 5월 홍종복과 36가정 축복을 받았다. 1961년 9월 군산 지역장으로 시무했고, 대전에서 충남 지구장 사모로 있으면서 약국을 경영하였다. 1969년 서울 서대문으로 올라왔다가 1971년 3월 3년 전도에 참가하여 전라북도 정읍에서 활동하였다. 3년 전도 중에 전국 순회사로 발령을 받고 활동하다가 1974년부터 이백림과 특별순회를 시작하였다. 1972년부터 1983년까지 13년 동안 매년 여름에는 ‘한·일 합동 의료봉사단원’으로 참여였다. 페루 국가메시아로 봉직했다. 2019년 8월 25일 성화하였으며, 참부모님으로부터 ‘축 신통일한국시대개문안착 효성가정’이라는 휘호를 받았다.
-
서방교회
서방교회 西方敎會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라틴 전례를 사용하는 로마가톨릭교회. [내용] 로마가톨릭교회를 동방교회와 대비하여 부르는 이름이다. 라틴 전례를 사용하기 때문에 라틴교회라고도 하며, 로마가톨릭교회와 여기서 분파된 성공회, 루터교, 장로교 등의 개신교를 총칭하는 말이다. 위치로 볼 때 비잔틴 전례를 사용하는 동방정교회의 서쪽에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서방교회의 라틴 전례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284-305년) 때 라틴 신학자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암브로시우스(Ambrosius of Milan), 어거스틴(Augustine), 베네딕투스(Benedictus), 키프리아누스(Cyprian) 등은 4-5세기의 대표적인 라틴 신학자들이다. ☞ ‘동방교회’ 참조
-
서방정토
서방정토 西方淨土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불교에서 서쪽에 있다고 믿는 극락 내지 이상향. [내용] 불교에서 멀리 서쪽에 있다고 믿는 이상향을 이르는 말이다. 법장보살이 48원(願)을 달성하여 아미타불이 된 후 건설했다는 아미타불의 정토이며, 극락정토라고도 한다. 서쪽으로 10만억 불국토를 지나서 극락이 있다는 『아미타경』의 언급에서 비롯된 말이다. 아미타불이 주재하는 서방정토는 어떤 번뇌도 괴로움도 없이 평안하고 청정한 낙원이다. 부처와 중생이 함께 사는 곳이라는 의미에서 서방정토를 동거토(同居土)라고도 한다.
-
서아프리카대륙 섭리
서아프리카대륙 섭리 항목체계 해외 [정의]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신아프리카권역 서아프리카대륙을 선의 주권으로 복귀하기 위한 하나님의 구원섭리. [내용] 서아프리카대륙은 신아프리카권역 5개 지구의 체제 전에 구분하였던 행정구역이다. 2019년 6월 기준으로 신아프리카권역은 1지구 북서아프리카 10개국(코트디부아르, 말리, 부르키나파소, 세네갈, 모리타니, 니제르, 기니, 차드, 카보베르데, 기니비사우), 2지구 남서아프리카 8개국(나이지리아, 베냉, 토고, 적도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가나, 감비아), 3지구 중앙아프리카 7개국(DR콩고, 카메룬, 가봉,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상투메프린시페, 앙골라, 콩고), 4지구 남아프리카 10개국(잠비아, 짐바브웨, 나미비아, 보츠와나, 남아프리카공화국, 모잠비크, 레소토, 스와질란드, 모리셔스, 말라위), 5지구 동아프리카 14개국(케냐, 우간다, 르완다, 부룬디, 수단, 남수단, 세이셸, 에리트레아,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탄자니아, 마다가스카르, 지부티)이다. 책임자들로서는 북서아프리카의 필버트 세카 1지구장, 남서아프리카의 조지 오구리 2지구장, 중앙아프리카의 미쉘 푸틸라 3지구장, 남아프리카의 모루티 레드와바 4지구장, 동아프리카의 엠마누엘 타누이 5지구장이 공직을 맡고 있다. ☞ ‘동아프리카대륙 섭리’ 참조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