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수학
상수학 象數學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역경(易經)을 수학으로 해석한 학문. [내용] 역경을 수학으로 해석한 학문을 말한다. 상수학에서 상(象)은 상징, 즉 우주만물의 생성과 변화의 이면에 나타나는 어떤 조짐이나 낌새를 의미한다. 수(數)는 숫자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숫자는 상으로 관찰되는 형이상학적인 조짐을 사람이 인지할 수 있고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대상으로 전환시키는 매개체라고 할 수 있다. 즉 상수학은 우주만물의 구조와 작용을 숫자로 형상화하고 그 변화를 수학으로 계산하여 어떤 개체의 과거와 미래의 변화를 가늠하는 학문이다. 상과 수는 구체적인 사물로부터 귀납적으로 그 원리를 추리함으로써 자연 및 인간사를 설명하는 근거가 된다. 사람의 운명이나 길흉을 점치는 상수학에서 본래 상은 거북이 등에 나타나는 형태로 점을 치던 것이며, 수는 시초(蓍草)라는 식물의 줄기를 조작하여 수의 원리에 따라 점을 치던 방법이었다. 나중에 상수학은 괘와 효의 형태와 수리를 통하여 만물의 이치를 깨닫고 미래에 대비하는 학문으로 확립되었다. 주역은 복희씨가 처음 8괘를 그렸고, 신농씨가 이를 더 발전시켜 64괘로 나누었다. 주나라의 문왕이 괘를 풀이하여 역(易)이라는 이름이 생겼으며, 그의 아들 주공이 64괘와 384효를 해석한 괘사와 효사를 이루어서 현재까지 전해지는 학문으로 체계화되었다. 주역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역학은 이 학문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서 둘로 나뉜다. 즉 역학을 수리와 예언의 학문으로 보는 상수학파(象數學派)와 그것을 도덕과 철학의 학문으로 보는 의리학파(義理學派)로 나뉜다. 소강절은 수리를 성리학적으로 완성한 상수학의 대가로 전해진다. ☞ ‘소강절’, ‘역경’ 참조
-
상업자본가
상업자본가 商業資本家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상품을 사고파는 상업을 통하여 자본을 증식한 자본가. [내용]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가는 임금을 받는 노동자와 구분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자본가는 자본의 기능에 따라 산업자본가, 상업자본가, 대부자본가, 금융자본가로 나뉘는데 이들 중 상업자본가는 상품의 유통을 통해 자본을 증식한 자를 일컫는다. 『원리강론』의 ‘복귀섭리로 본 역사발전’에서 전제군주 사회의 경영자들이 중앙집권의 국왕과 결탁하여 봉건화한 상업자본가가 되었다는 내용이 언급되고 있다. ☞ ‘자본가’, ‘노동자’ 참조
-
상응상보 작용원리
상응상보 작용원리 相應相補 作用原理 항목체계 역사사건 [정의] 전기학원론의 상응상반 작용원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창조원리의 관점에서 새롭게 제시한 원리. [내용] 참아버님이 우주는 상응과 상반작용으로 되어 있다는 전기학이론을 비판하고 이를 창조원리의 관점에서 새롭게 제시한 원리이다. 참아버님은 일본 와세다고등공학교 재학 당시 상응상보 작용원리(相應相補 作用原理)를 주제로 학위논문을 작성하려고 하였다. 상응상보 작용원리는 양음의 전기가 서로 합했다가 완전한 상대가 결정됐을 경우 반발하는 성향을 가지는 것에 대한 원리적 견해이다. 전기학원론에서는 이 현상을 반작용으로 보고 있으나 참아버님은 절대적 상대관계의 보호작용이라고 보았다. ☞ ‘도쿄 유학시절’ 참조
-
상제
상제 上帝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동아시아 문명에서 절대적 위상을 지닌 신. [내용] 동아시아 문명에서 지고무상의 지위를 지닌 신을 이르는 말이다. 자연현상에 대한 경외심을 가졌던 고대의 사람들은 그 배후에 특별한 힘이 있다고 믿었으며 차츰 그 힘을 신격화하여 바람과 비, 천둥과 번개 등의 수많은 자연현상들을 신으로 섬겼다. 그러다가 인지의 발달과 함께 이 수많은 신들을 포괄하는 최상위의 신, 신들 중의 신 또는 신 관념을 지니면서 차츰 일신론 또는 일원론적인 사유방식이 확고해졌다. 고대 중국에서는 이러한 신 관념의 표상으로서 지고무상의 지위를 지닌 대상을 상제라고 하였다. 상제는 천계(天界)에 조정(朝廷)을 두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지상을 감시하며 만물의 생성과 변화를 관장하는 조물주였다. 말하자면 상제는 천상의 통치자인 동시에 지상의 지배자였다. 상제는 다음 몇 가지 특징을 지닌다. 첫째로 항상 의인화된 인격신으로 나타나며, 사람과 마찬가지로 움직이고 말하고 명령하며 실제로 존재하는 거대한 사람으로 여겨졌다. 둘째로 세상 속에서 사람들과 마음으로 소통하는 내재자이지만, 또한 사람들의 마음 바깥에 존재하는 초월자였다. 셋째로 사람처럼 욕망이 있는 자였다. 따라서 사람이 그에게 현실적인 어떤 것을 바랄 때에는 제사나 희생 등을 통하여 그 대가를 바쳐야 했다. 넷째로 사람들에게 가난과 부귀 그리고 생사 등의 화와 복을 내려 주는 존재였다. 이와 같이 상제는 천상에 있으면서도 사람의 모습으로 지상에 사는 사람들의 길흉화복을 주관하는 지고무상의 신이었다. 의인화된 인격신으로 나타나고, 실제로 존재하는 거대한 사람으로 여겨졌으며, 인간세계에 내재자인 동시에 초월자라는 점에서 상제는 인도 베다 신화의 뿌루샤(Puruṣa)와 유사하다. 그러나 상제는 거래관계를 통하여 사람들에게 복을 내렸다는 점에서 스스로의 신체 일부를 희생제의 제물로 바쳐서 세계를 창조한 뿌루샤와 다르다. 일신론적인 지고무상의 신격이라는 점에서 상제와 뿌루샤는 유사하지만, 그럼에도 상제는 뿌루샤에 비하여 좀 더 현세 지향적인 측면을 지닌다. 고대 중국의 상제는 시간이 지나면서 천(天) 개념으로 대체되고, 나아가 천명(天命)사상의 근거가 되었다. 천명사상이란 하늘이 명을 내려 주는 것은 오직 사람의 도덕으로 말미암아 결정된다는 사상이다. 공자는 천명사상을 발전시켜 하늘의 뜻과 인간의 마음속에 있는 본성의 움직임을 일치시킴으로써 천인합일사상(天人合一思想)을 확립했다. 우리나라의 고대문화는 중국 고대의 상제 중심의 종교 문화와 매우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이것은 『삼국유사』의 단군에 관한 기록에서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제는 천상에서 조정 대신들을 거느리면서 지상의 만물을 감독하는 자로 묘사된다.
-
상징노정
상징노정 象徵路程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복귀섭리에서 사탄을 굴복시켜 나가는 야곱의 노정을 일컫는 개념. [내용]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야곱을 중심한 하나님의 복귀섭리는 예수님이 실체적으로 가야 할 섭리노정을 상징적으로 보여 준 것이라고 이해하며, 이러한 야곱의 노정을 상징노정으로 표현하고 있다. 즉 하나님이 예수님을 통하여 인류를 구원하는 섭리에서 야곱은 사탄을 굴복시키는 상징적인 노정을 걸은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 ‘사탄 굴복’, ‘본보기노정’, ‘전형노정’ 참조
-
상징적 개성진리체
상징적 개성진리체 象徵的 個性眞理體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하나님을 상징적으로 닮은 실체대상으로 인간을 제외한 피조물을 일컫는 개념. [내용] 개성진리체는 진리의 근원이 되는 하나님을 닮아서 분립된 실체적인 대상을 의미한다. 『원리강론』은 인간이 하나님을 형상적으로 닮아서 분립된 실체적인 대상이므로 형상적 개성진리체라고 하며, 인간 이외의 피조물은 하나님을 상징적으로 닮아서 분립된 실체적인 대상이므로 상징적 개성진리체라고 설명한다. ☞ ‘개성진리체’, ‘ 형상적 개성진리체’ 참조
-
상징적 동시성시대
상징적 동시성시대 象徵的 同時性 時代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하나님 복귀섭리의 역사에서 아담으로부터 아브라함까지의 2천 년 기간인 복귀기대 섭리시대(復歸基臺 攝理時代)를 동시성시대 관점에서 일컫는 개념. [내용] 동시성시대란 인류 역사에서 지난 어느 시대의 역사적 과정이 다음 시대에 흡사한 형으로 반복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원리강론』에 의하면, 하나님은 메시아를 위한 기대를 복귀하는 섭리역사에서 중심인물이 그 책임을 다하지 못하게 되면 다른 인물을 세워 메시아를 위한 기대를 다시 탕감복귀하는 섭리를 진행해 나왔다. 따라서 그 내용과 범위에는 차이가 있으나 전시대와 같은 노정의 역사가 반복됨으로써 섭리적인 동시성시대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섭리적 동시성시대 구분에서 아담으로부터 아브라함까지의 2천 년 기간은 메시아를 위한 기대를 복귀하는 탕감조건들을 상징적으로 세워 나온 시대였으므로 이 시대를 상징적 동시성시대라고 한다. ☞ ‘섭리적 동시성’ 참조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