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조선 신앙
남조선 신앙 南朝鮮 信仰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조선 후기 민간에 널리 퍼졌던 신앙으로 이상향이 조선의 남쪽에 존재한다는 관념. [내용] 조선 후기 조선의 남쪽에서 진인이 나타나 이상향으로 인도할 것이라는 대망신앙이었다. 조선 후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 외침의 피해, 위정자의 무능과 폭정, 당쟁(黨爭), 관리들의 부패와 수탈 등으로 사회적 혼란과 가혹한 현실에 대한 불만이 커졌다. 그러한 가운데 현실에서 소외되거나 불만을 가진 이들에 의해 미륵이나 진인과 같은 초월적 존재에 의한 사회변혁과 미래 이상향에 대한 대망신앙이 민간에 널리 퍼지게 되었는데, 대표적인 것이 남조선 신앙이었다. 남조선 신앙은 조선의 남쪽 혹은 남해(南海)에 있는 남조선에 그러한 이상향이 있으며, 때가 되면 진인이 나타나 그곳으로 인도할 것이라는 희구와 염원이 표현된 신앙 관념이었다.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예언서인 『정감록(鄭鑑錄)』과 같은 예언서, 홍경래의 난이나 조선 후기의 비밀결사들도 남방을 이상화하는 남조선 신앙의 영향을 보인다. ‘남조선 신앙’은 최남선 저서인 『조선의 상식문답』에 처음으로 거론되면서 하나의 개념으로 일반화됐었지만, 문헌상으로 인조 연간 이후 ‘南’ 혹은 ‘南海’라는 문구가 자주 등장하며, 조선 후기 농민반란과 거사 주모자를 문초한 공초 기록인 ‘추안급국안(推案給鞫案)’에도 남조선 내지 남해를 선망하는 관념이 보인다. 동양의 광명사상, 중국의 남방선호사상, 한반도의 풍수지리적 조건에 의해 형성된 전통적 남방선호사상이 남조선 신앙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본다.
-
남존여비
남존여비 男尊女卑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동아시아 유교 문화권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우월하다는 의미로 사용된 용어. [내용] 동아시아 유교 문화권에서 남자가 높고 귀하며, 여자는 낮고 천하다는 의미로 남녀에 대한 차별적 인식을 표현한 용어이다. 여성을 열등하고 예속된 존재로 본 것은 동양이나 서양이나 전근대 가부장제 사회에 일반적인 현상이며 다양한 개념으로 표현되었다. ‘남자는 높고 귀하고, 여자는 낮고 천하다’는 뜻의 남존여비(男尊女卑)는 동아시아 유교 문화권에서 ‘음양’ 개념을 사회경제적, 지적, 도덕적으로 남녀를 서열화하는 개념으로 바꿔 남성중심 가부장제 사회의 불평등한 구조와 질서를 합리화하고 유지하는 데 사용된 용어다. ‘음양(陰陽)’은 고대의 한자 문화권에서 만물의 존재와 생성의 근본으로 여겨진 두 원리(요소)인데, 뒤에 점차 『주역』의 “건도(乾道)는 남자를 만들고, 곤도(坤道)는 여자를 만든다.”는 궤사와 결합하고 하늘(건, 乾)과 양(陽)과 남성은 높고, 땅(곤, 坤)과 음(陰)과 여성은 낮다는 식으로 차원이 다른 개념이 묶이면서 사회적 차이를 자연적 원리로 합리화하는 논리가 만들어진 것이다. 유교가 통치이념이던 조선시대에 남존여비는 정치나 사회생활, 나아가 친족관계와 일상생활에서도 ‘남수여종(男帥女從)’, ‘삼종지도(三從之道)’, ‘여필종부(女必從夫)’ 남아선호 등의 가부장적 윤리덕목과 관습으로 통용되며 남녀차별적이고 여성억압적인 문화를 낳았다. 여성은 순종과 겸양을 최고 덕목으로 삼아 훈육되었고, 관직에 나아가는 공적 활동이 금지되었으며 가족 및 친족 내 법적 권리도 제한되었다. 기독교나 불교, 이슬람교 등 종교들 중에는 남녀 모두 진리를 추구하고 구원과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혁신적 평등사상을 보여 준 경우도 있지만, 여전히 남성이 여성보다 구원과 깨달음에 더 가깝다는 남녀 차별적 인식을 벗어나지 못한 경우도 빈번했다. 특히 제도화와 함께 초기의 평등주의는 더 후퇴하는 경향이 있어서 여성은 종교적 권위와 성직제도에서 배제되거나 남녀 성직자가 철저히 서열화되었다. 수녀와 비구니와 같은 여성 성직자나 신자들의 종교적 겸양은 남존여비적 여성의 자기비하와 결합되며 불평등한 종교 문화가 더 심화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이러한 남존여비의 개념을 타락의 결과 초래된 왜곡된 남녀관계에서 기인한 것으로 본다. 따라서 타락역사의 질곡에서 여성이 해방되고, 하나님의 본양성과 본음성을 실체적으로 닮은 남성과 여성이 상대적 관계를 통해 창조목적을 이루기 위해 서로 존중하고 위하며 참사랑의 완성 실체가 되는 수평적인 남녀관계를 회복하고자 한다.
-
남코카서스 평화제의
남코카서스 평화제의 南코카서스 平和提議 / South Caucasus Peace Initiative 항목체계 해외 [정의] 천주평화연합에서 남코카서스지역의 평화를 위해 만든 단체. [내용] 천주평화연합에서 2008년 남코카서스지역의 갈등 해소와 평화 증진을 위해 만든 모임이다. 남코카서스지역 내 분쟁국들인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러시아, 조지아 사이의 분쟁을 조정하여 긴장 완화와 화해에 크게 기여하고자 정기적인 모임을 개최하고 있다. 정치계, 언론계, 경제계, 학술계 등의 평화대사들이 이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매년 정기적으로 천주평화연합 주최로 이 지역 내 각계각층의 평화대사들이 다양한 현안에 대해 토의하고 논의하고 있다. 특히 2008년 12월 조지아와 러시아 간의 전쟁이 발발한 후 천주평화연합의 주도로 트빌리시에서 첫 평화제의가 평화대사들을 중심으로 개최되어 긴장 완화와 종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남평 문씨 가문
남평 문씨 가문 南平 文氏 家門 항목체계 역사사건 [정의] 참아버님 탄생의 직계 기반이 되는 혈족 가문. [내용] 참아버님의 직계 혈족 가문으로 남평 문씨(南平 文氏)의 시조는 무성공(武成公) 문다성(文多省, 472-578)이다. 무성공은 서기 472년 2월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풍림리 소재 장자연 인근의 큰 암석 위의 석함에서 탄생하였다. 그 석함에 붉은 색으로 ‘글월 문(文)’자가 새겨져 있어 문 씨가 되었다. 무성공은 문무 양면으로 출중해 6대 왕조를 거치며 병사, 정치, 예학, 도의, 육영 등 여러 분야에서 공헌을 하였다. 남평 문씨 가운데는 경절공(敬節公) 문익(文翼), 경정공(敬靖公) 문공유(文公裕), 충숙공(忠肅公) 문극겸(文克謙), 충선공(忠宣公) 문익점(文益漸) 등 충절의 표상이 되는 인물들이 많았다. 참아버님은 충선공 문익점 선생의 다섯 아들 중 3남 의안공(毅安公) 문중실(文中實)의 19세손인 문성학(文成學)의 고손이다. 참아버님의 남평 문씨 직계 조상은 증조부 문정흘, 조부 문치국, 부친 문경유이다. ☞ ‘문치국’, ‘문경유’ 참조
-
남평 문암바위
남평 문암바위 南平 文巖 항목체계 성지 건립시기 1851년 소재지 전남 나주시 남평면 풍림리 산112번지 [정의] 남평 문씨의 시조인 무성공(武成公) 문다성(文多省)이 탄생한 곳. [내용] 남평 문씨의 시조인 무성공(武成公) 문다성(文多省)이 탄생한 곳으로 알려진 바위이다. 남평 문씨의 시조인 무성공 문다성이 472년 2월에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풍림리 소재 장자연 인근의 큰 암석 위의 석함에서 탄생했는데, 그 석함에는 붉은색의 ‘글월 문(文)’ 자가 새겨져 있었다고 한다. 남평 문씨의 족보를 보면 신라시대의 자비왕이 몽시 가운데 “이 나라에 특별한 아기가 태어났으니 찾아라.”는 명을 받아서 남평에 있는 문암이라는 바위에서 울고 있던 아이를 찾아내 문 씨의 조상이 출발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정식 명칭은 ‘나주 문바위문암(羅州 文바위文巖)’이다. 흔히 ‘나주 문암(羅州文巖)’이라고도 한다. 경사지에 있는 이 바위의 크기는 앞에서 보면 높이가 6미터, 폭이 5미터에 이르며, 뒤에서 보면 1미터 정도이다. 1851년에 후손들이 바위 위에 ‘文巖(문암)’이라 새긴 높이 1미터 가량의 비를 세웠고, 1928년에는 ‘암각(巖閣)’을 지었으며, 1975년에 다시 옛 암각을 헐고 새롭게 단장하여 ‘문암각(文巖閣)’이라 명명하였다.
-
남하 노정
남하 노정 南下 路程 항목체계 역사사건 [정의] 참아버님이 흥남감옥 출감 후 부산 도착까지의 피난 노정. [내용] 참아버님이 1950년 10월 14일 흥남감옥을 출감한 이후 평양과 서울을 거쳐 1951년 1월 17일 부산에 도착할 때까지의 피난 노정을 말한다. 참아버님은 유엔군의 공습으로 1950년 10월 14일 흥남감옥에서 출감하여 자유의 몸이 되었다. 이후 흥남에서 평양까지 10일 만에 귀환하고, 평양에 40일간 체류하면서 식구 수습 노정 후 12월 4일 평양을 출발하여 서울에 도착했다. 서울 1주일 체류 후 부산까지 피난의 남하 노정을 걸었다. 평양에서부터 참아버님은 김원필과 박정화 등 두 남성 제자를 대동하였다. 남하 노정은 타락한 인류를 인도해 본연의 이상세계로 이끌어 가는 수고로운 하늘 섭리의 단면을 보여 주는 한편 메시아의 노정을 상징하여 보여 준다. 1951년 1월 27일 부산에 도착할 때까지의 참아버님 남하 노정은 동족상쟁의 비극, 피로 물든 한반도를 남하하며 민족과 인류의 구원을 위해 특별한 정성을 들인 노정이었다. ☞ ‘흥남감옥’, ‘김원필’, ‘박정화’ 참조
-
납치감금해방 프로젝트
납치감금해방 프로젝트 拉致監禁解放 프로젝트 항목체계 해외 [정의] 종교의 자유를 억압하기 위해 납치 감금하는 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활동. [내용] 2008년 2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을 믿는다는 이유만으로 반대파 목사에게 납치되어 장기간 감금된 신자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결성된 일본 본부의 활동이다. 2008년 2월 12년 5개월에 걸쳐 납치 감금의 상태에서 탈출한 고토 토오루의 증언을 통해 아직까지 수많은 일본 통일교회 식구들이 납치 감금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자 일본 가정연합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회 전체가 하나가 되어 대응할 수 있도록 선교의 자유 확보를 위한 납치감금해방 프로젝트를 가동하게 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지원으로 고토 토오루는 직업적 개종 활동가들에게 손해배상 소송에서 승소하였으며, 돗토리 교회에서 습격을 받은 여성 신자들 또한 최종 승소판정을 받았다. 납치감금해방 프로젝트는 재판대책, 교회 규정의 추진, 국제적인 법적 전문가의 협력체제 구축, 문제요소의 사전 해결 등에 중점을 두어 활동하고 있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