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선
위선 僞善 / Hypocrisy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겉치레로 보이는 선행. [내용] 겉으로는 착한 체, 경건한 체 하지만 그 속은 악과 불의가 가득한 것, 또는 겉치레로 보이는 선행(善行)을 말한다. 본래 hypocrisy는 ‘-인 체하다’라는 문자적인 의미를 지니며 가면을 쓰고 자기가 아닌 다른 사람의 모습으로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사람, 즉 ‘연극배우’를 가리키는 말이다. 기독교 성서에서는 남에게 보이기 위해 거짓으로 행동하는 것, 곧 종교적 가식(假飾)이나 위선(僞善)을 뜻하는 말로 사용된다. 신약성서에는 예수 그리스도가 위선적인 사람들을 책망하는 장면이 여러 번 나오는데 금식, 기도, 부모 공경, 하나님을 섬김 등에서 그들의 표리부동함을 지적하였다. 이처럼 위선하는 사람들은 그 하는 일에 이미 상을 받았기 때문에 천국에서 상을 기대할 수 없다고 했다. 위선을 피하기 위해서는 무슨 일을 하든지 은밀히 살피는 하나님 앞에서 행한다는 마음가짐으로 해야 한다.
-
위클리프
위클리프 John Wycliffe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영국의 신학자이자 종교개혁의 선구자. [내용] 교황권(敎皇權)으로부터 영국의 정치적·종교적 독립을 표방하며 반교황 정책을 취하는 등 교회의 개혁운동에 앞장선 인물이다. 위클리프는 옥스퍼드대학의 신학 교수를 거쳐 에드워드 3세의 궁정 사제로 서임되었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만이 신앙의 척도이자 생활의 유일한 표준이라고 강조하며 부패한 로마가톨릭 체제와 교황권에 정면으로 도전하였다. 위클리프는 반정부적 고위 성직자를 비판하고 로마교황의 권위와 권력을 부정, 교회 재산의 국고 몰수를 주장하였다. 이에 교황 그레고리우스 11세로부터 단죄되었으나 그를 지지하는 왕자 랭커스터 공작의 보호로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다. 이후 그의 반로마 투쟁은 성찬의식에 있어서 화체설(化體設) 부정, 민중을 위한 성경 영어 번역, 청빈 설교자단의 파견 등으로 이어졌다. 그의 사후 콘스탄츠공회의로부터 이단자라는 선고를 받았지만 위클리프의 사상은 그의 신봉자들인 롤러드파에게 계승되었으며, 그의 저서는 체코의 개혁자 얀 후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위클리프를 부패한 교황 정치에 반대하며 중세사회를 초대기독교 정신으로 회복시키기 위해 노력한 인물로 평가한다. 교황은 재림 메시아를 맞이하기 위한 영적인 기대를 조성해야 할 섭리적 사명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중세사회에서 믿음의 기대를 복귀해야 할 교황은 도덕적 부패와 교만에 빠져 하늘의 뜻을 저버렸고, 그 결과 히브리 사상을 중심한 중세적 지도 정신은 힘을 잃고 말았다. 『원리강론』은 위클리프가 교황 정치에 반발하여 순수한 기독교 정신을 회복하기 위한 다양한 개혁운동을 펼쳤고, 이러한 그의 활동은 이후 루터의 종교개혁운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한다.
-
위타주의
위타주의 爲他主義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상대를 무한히 위하고자 하는 참사랑의 이념. [내용] 상대를 위해주고도 또 위해주고 싶은 참사랑의 이념을 일컫는 말이다. 하나님의 창조는 상대를 조건 없이 절대적으로 사랑하고픈 심정에서 비롯되었다. 사랑의 이상은 반드시 상대와의 관계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랑의 실체대상으로 자신을 닮아난 아들딸을 세워 무한한 사랑을 실현하려 했던 것이 하나님 창조의 동기였다. 이처럼 사랑은 상대를 통해 오는 것이므로 먼저 상대를 위하는 것이 원칙이다. 즉 참사랑의 본질은 위타(爲他)에 있다. 하나님 사랑의 대상으로 창조된 모든 인간의 마음속에는 위타적 사랑을 실천할 수 있는 심정이 각인되어 있다. 이러한 심정은 가정에서 자녀 사랑, 제자매 사랑, 부부 사랑, 부모 사랑을 차례로 경험하면서 비로소 꽃피게 된다. 인간은 가정에서의 4대 사랑을 통해 인격적으로 점점 성숙하여 사랑의 마음을 가진 애적(愛的) 존재가 된다. 이런 참사랑의 인간은 부모인 하나님이 자녀인 인간을 위하여 존재하는 것처럼 하나님을 닮아 상대를 무한히 위하면서 존재하고자 한다. 먼저 부모인 하나님에게 기쁨을 드리고자 하는 효정의 마음으로 하나님을 한없이 위하는 올리사랑을 실천하고, 형제자매인 이웃을 아끼고 돌보는 횡적 사랑을 실천한다. 또한 만물의 주관주로서 창조성을 토대로 하나님이 지은 모든 만물에 지극한 관심을 쏟으며 참사랑으로 보살펴 나간다. 그 결과 투입하고 잊어버리고 또 투입하는 위타적 사랑의 관계가 무한히 순환되면서 하나님과 인간, 만물이 사랑으로 공명하며 유기적으로 살아가는 사랑의 이상세계가 완성된다. 이처럼 위타주의는 존재의 목적을 자신이 아닌 상대로부터 찾음으로써 위하는 참사랑을 삶 속에서 실천해 나가는 하나님의 참사랑주의이다.
-
유경규
유경규 柳景圭 항목체계 인물 성별 남 [정의] 연세대 재학 중 입교하여 퇴학처분을 받았던 원로. [내용]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3학년 재학 중 양윤영 선생의 소개로 1954년 10월 21일 원리를 듣고 입교하였다. 이어 황환채를 전도하였다. 1955년 3월 27일 성화기독학생회가 성화청년회로 승격되면서 전도부장을 맡았다. 같은 해 7월 7일 종교적 이유로 연세대에서 퇴학을 당하였다. 불굴의 의지로 신앙생활에 임하여 모범적인 생활을 하였으며, 1956년 6월 16일 원주교회 초대전도사로 파송 받았다. ☞ ‘양윤영’, ‘황환채’ 참조
-
유관순열사 정신선양대회
유관순열사 정신선양대회 柳寬順烈士 精神宣揚大會 항목체계 역사사건 [정의] 유관순 열사의 ‘충효와 애국의 정신’을 계승하고 선양하기 위해 개최한 대회. [내용] 3·1 독립만세운동 당시 희생당한 유관순 열사의 충효와 애국의 정신을 계승하고 선양하기 위한 대회이다. 1991년 3.1절을 기해 오사카에서 1천여 명이 한복을 입고 유관순 열사의 정신을 선양하는 가두행진을 펼쳤고, 같은 해 12월 9일에는 일본 여성 210명과 재일동포 약 3,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유관순 열사 정신선양 도쿄대회가 개최되었다. 이를 시작으로 1995년 3월 27일까지 일본 52개 장소에서 총 5만 5130명이 참가한 가운데 유관순 열사 정신선양대회가 개최되었다. 한국에서도 90여 회 이상 지역별로 유관순 열사 정신선양대회가 열렸고, 매년 3월 1일을 기해 서대문형무소에서 추모행사를 가졌다. 16세의 나이에 하나님의 조국 한국을 위해 독립운동을 전개한 유관순은 타락의 장본인인 해와 복귀의 모델과 같은 인물로 이해된다. ☞ ‘유관순’ 참조
-
유광렬
유광렬 柳光烈 항목체계 인물 출신지 강원도 춘성군 동면 평촌리 191 성별 남 생년월일 1928.7.25(음) [정의] 시인으로 협회 초대문화부장이자 역사편찬위원장을 맡아 헌신한 원로. [내용] 1928년 강원도 춘성에서 태어나 한학을 공부하였다. 1945년 해방 이후 친구의 인도로 감리교에 입교하였으며, 1946년 3월 19세의 나이로 강원일보 기자가 되었다. 이후 뒤늦게 중고등학교 과정을 다니며 춘천 기독학생회장이 되었으며, 한국동란이 발발하자 ‘진중신문’을 혼자 편집하였다. 1952년 서울대에 입학하여 학교를 다니면서 감리교 호헌파에 속해 신앙생활을 열심히 하였다. 그러던 중 황환채의 인도로 1954년 12월 40일 원리수련을 받고 입교하였다. 1955년 3월 성화청년회 초대문화부장에 선임되었으며 잡지 「성화」를 창간하고, ‘성화청년회가’를 작사하기도 하였다. 교회의 여러 행사에서 축시와 송시를 쓰는 등 시인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957년 7월 목포로 개척전도를 나갔다. 1961년 시집 『생화』, 『이야로』, 『조국』을 발간하였으며 1961년 5월 도서출판 성화사 사장이 되었다. 1968년 1월 국제승공연합 초대선전국장을 맡았고, 1968년 기성축복을 받았다. 1981년 11월 협회 편사실장, 1985년 1월 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1955년부터 26년 동안 참부모님 탄신일에 발표한 축하시를 1980년 시집으로 묶어 봉정하기도 했다. 1993년 12월 18일 ‘서울의 노래’로 한국시 대상을 수상했으며 루마니아 국가메시아로 임명받았다. 2001년 4월 30일 성화했다. 참부모님은 ‘심철광렬(心哲光烈)’의 휘호를 하사하였다. ☞ ‘황환채’ 참조
-
유구복
유구복 柳求福 항목체계 인물 [정의] 참아버님이 흑석동에서 하숙할 때 함께 지냈던 친구. [내용] 참아버님이 경성상공실무학교에 재학하던 1938년부터 1941년까지 3년 동안 흑석동에서 자취나 하숙을 할 때 함께한 친구이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