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시환
오시환 吳始煥 항목체계 인물 출신지 연해주 성별 남 생년월일 1914년 [정의] 김포교회를 세우고 교회 기반 마련에 헌신한 원로. [내용] 1914년 연해주에서 태어나 경기도 광주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동국무선고등학교를 다니면서 전공 기술을 연마한 뒤 한국전력공사에 취업하여 만 55세로 정년퇴직하고 흥일전기공사를 설립하여 대표로 취임하였다. 1956년 5월 사촌누이 오영숙의 인도로 입교한 후 참부모님의 명을 받고 김포에 20여 평의 집을 사서 교회를 세우고 30여 명을 전도하였다. 또한 초창기 교회의 사업기반을 마련하는 데 헌금을 하고 땅을 기부하기도 했다. 1976년에 30여 명을 전도하여 특별전도상을 받기도 했다. 부인 이순동과 기성축복을 받았다. ☞ ‘오영숙’ 참조
-
오영춘
오영춘 吳永春 항목체계 인물 출신지 평안남도 평원군 검산면 송양리 성별 여 생년월일 1914년 [정의] 1951년 부산에서 입교한 뒤 참어머님을 위해 정성을 많이 들인 원로. [내용] 1914년 평안남도 평원의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났다. 18세에 안주의 장리욱 박사 집안으로 시집을 가서 18년 동안 6남매를 낳아 키웠다. 친정 부모님은 이용도 목사를 중심한 새 예수교를 시작으로 성주교, 복중교 신앙을 하였다. 친정어머니와 조원모 할머니가 친구 사이어서 대모님과 어린 시절부터 알면서 지냈다. 신앙의 자유를 찾아 1948년 남하하였으나 1950년 한국동란이 발발하여 부산을 거쳐 제주도까지 피난하였다. 제주도에서 이요한 목사를 만나 말씀을 듣고 감동을 받았다. 1951년 부산으로 와서 12월 참아버님을 뵙고 입교하였다. 참어머님을 찾는 것이 자신의 사명임을 느끼고 7년 동안 기도하였다. 1959년 계시를 받고 참어머님을 제일 먼저 모시기 시작하였다. 참부모님을 모시는 생활을 하다가 1972년 도미하였다. ☞ ‘성주교’, ‘복중교’ 참조
-
오웬
오웬 Robert Owen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영국의 사회주의 운동가. [내용] 영국의 공상적 사회주의자이며 조합운동의 선구자이다. 오웬(1771-1858)은 영국의 산업혁명 시기에 공장을 경영하면서 산업자본가로서 성공하였다. 노동자의 생활과 노동조건의 개선이 능력과 의욕의 향상 그리고 이윤의 증대를 가져온다고 보았으며, 이를 위하여 노동시간 단축을 비롯한 노동조건의 개선을 시도하였을 뿐만 아니라 교육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유아원도 세웠다. 그는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환경 개선운동을 전개하였다. 인간은 환경의 산물이므로 환경을 좋게 하면 인간의 성격이 선량하게 되고, 행복한 사회가 실현된다고 생각하였다. 사회 환경의 개선을 위해 각종 입법의 제정 또는 사업의 개발을 정부에 제안하고 노동자의 협동조합 제도의 설립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건의가 정부에 수용되지 않았다. 그는 결국 그 이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미국의 인디애나주에 뉴하모니(New Harmony)공동체를 건설하였다. 그러나 그의 노력은 동료들 간의 내부 분열에 의해 실패하고 말았다. 이러한 그를 공상적사회주의자라고도 한다. 『원리강론』에서 오웬의 사상은 누구에게나 균등한 환경과 평등한 생활 조건을 제공하고자 하는 인도주의에 입각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
오크 힐
오크 힐 Oak Hill 항목체계 해외 [정의] 미국 오레곤주 유진시에 위치한 시골마을로 김영운 선교사가 미국 선교를 시작한 곳. [내용] 미국으로 파송된 김영운 선교사는 1959년 1월 4일 오레곤주 유진시 동쪽 시골의 오크힐이라 불리는 조그만 마을의 빈집에서 개척을 시작하였다. 김영운 선교사는 오레곤 주립 대학교 학생 신분으로 미국에 왔으나 학교를 그만두고 전도 대상자인 도리스 왈더 안테로크, 파울린 필립 셔먼, 패티 펌프레이와 더욱 가깝게 지내기 위해 오크 힐로 거처를 옮겼다. 1960년 말 겔런 펄프레이와 조지 노턴이 합류한 오크 힐 그룹은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영어 원리 교재를 집필하고 교육 센터로 사용할 3층짜리 건물을 사들여 전도에 힘썼다. 1962년 7월에는 베이(Bay)지역 주변까지 전도 영역을 넓혔고, 같은 해 말에는 전도 구역을 로스앤젤레스와 새크라멘토까지 확장하였다.
-
오클랜드 가정교회
오클랜드 가정교회 오클랜드 家庭敎會 항목체계 해외 [정의] 최봉춘 선교사가 미국 오클랜드에서 개척한 가정교회. [내용] 오클랜드 가정교회는 최봉춘 선교사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선교를 시작할 때 개척한 교회이자 미국 선교의 모델이다. 캘리포니아주 멘도시노카운티 분빌마을에 위치한 600에이커 크기의 양 목장을 개조하여 예배와 수련, 공동생활이 가능한 가정교회를 만들어 1970년대 미국 선교의 구심점 역할을 하였다. 최봉춘 선교사는 일본의 선교 기반을 만든 중심적인 선교사 몇 명과 같이 1965년 미국 선교를 위해 이동하였다. 오클랜드 가정교회를 만들고 당시 가치관을 잃고 방황하던 젊은이들에게 올바른 가치관을 교육하는 인격교육을 실시하였다. ‘원리’ 강의를 통해 삶의 목적과 방향을 설정하게 하고 공동생활을 하면서 인격적인 변화를 실천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오클랜드교회 지도자들과 모세 더스트 박사(Dr. Mose Durst)와 그의 아내 수림 언니 더스트(Soo Lim Onni Drust)가 부모와 같은 마음으로 청년 식구들에게 사랑을 주었기 때문에 따뜻하고 가족적인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매일 저녁 가정교회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최되었으며, 언제나 화기애애한 만찬이 열렸다. 매주 300명 이상의 새로운 청년들이 주말 수련회에 참석하였고, 더 깊이 원리를 알고 싶어 하는 사람들을 위한 7일 수련회도 성황을 이루었다. 보다 실천적으로 인격 변화를 경험하고 싶은 사람들은 가정교회에 입주하여 실천적인 행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오클랜드 가정교회의 선교 시스템은 1980년 더스트 박사가 미국협회장에 취임하면서 미국 교회 전체의 모델로 발전하였다.
-
오행
오행 五行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우주 구성의 다섯 가지 요소로 여겨지는 금(金)·목(木)·수(水)·화(火)·토(土)와 이들의 순환. [내용] 우주 만물을 이루는 다섯 가지 요소를 의미한다. 수는 물을 의미하며, 아래로 흐른다. 화는 불을 의미하며, 물과 달리 타오르며 위로 올라간다. 목은 나무를 의미하며 휘거나 위로 자라나고, 열매를 맺는다. 금은 쇠를 의미하며 녹아서 다양하게 변형된다. 토는 흙을 의미하며 씨앗이 뿌려져 수확을 가능케 한다. 동양철학에서 이러한 오행은 음양과 결합하여 음양오행설로 설명되기도 한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원리강론』에서 우주의 근본은 태극이며 그 태극에서 음양, 음양에서 오행, 그리고 오행에서 만물이 생성되었다고 하는 역학을 언급하고 있다. ☞ ‘역학’ 참조
-
옥세현
옥세현 玉世賢 항목체계 인물 이칭/별칭 옥씨모친 출신지 평안남도 성천 성별 여 생년월일 1898.10 [정의] 평양에서 참아버님을 모시며 충정을 다한 원로. [내용] 1898년 평안남도 성천에서 태어나 기독교 신앙을 하던 모친의 슬하에서 성장하였다. 19세에 공무원인 남편과 결혼하여 함께 신앙생활을 하며 2남 4녀를 두었다. 남편은 군수까지 지낸 뒤에 회사를 경영하며 지역사회의 유지이자 평양 신창리 장로교회의 장로로 명망이 높았다. 집안 살림을 하면서 집사로서 신앙생활을 하던 중 영적으로 큰 은사를 받았다. 이후 1946년 11월 7일 언니의 인도로 평양에서 참아버님을 뵙고 모시게 되었다. 이후 참아버님의 수난에 동참하며 변함없는 모심의 생활을 하였다. 흥남감옥 수난 중 머리카락으로 버선을 만들어 드렸는데 피난과정에서 분실했다가 다시 만들어 드릴 정도로 충심을 다하였다. 부산으로 피난을 와서도 범냇골 토담집을 짓는 일부터 식사와 빨래 등을 도우며 모심의 생활을 하였다. 1966년 2월 전국 순회사로 임명을 받고 활동하였다. 평양에서부터 참부모님을 모신 공로로 1996년 12월 9일 참부모님이 세계일보 국제연수원에서 백수연을 열어 주었다. 1999년 1월 3일 성화하였고, 참부모님으로부터 ‘선모(先母)’라는 휘호를 하사받았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