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금전
오금전 吳金全 항목체계 인물 출신지 황해도 수안읍 성별 여 생년월일 1917.11.24 [정의] 초창기 참부모님 가정의 살림을 맡아 봉사했던 원로. [내용] 1917년 독실한 기독교 가정에서 무남독녀로 태어나 자랐다. 일제가 기독교 신앙을 박해하자 두메산골로 이주하여 농사를 지으며 신앙생활에 힘썼다. 15세 되던 해에 결혼을 했지만 시부모님과 남편마저 죽고 서른에 혼자가 되었다. 이후 더욱 신앙에 매진하여 계시를 받기 시작하였다. 1.4 후퇴 때 신앙의 자유를 찾아 남하하였으며, 서울에서 피난생활을 하다가 부산까지 가서 1953년 6월 부산 수정동교회에서 입교하였다. 참아버님을 뵈었을 때 ‘육신은 선생님이지만, 영은 아버지’라는 계시를 받아 1956년부터 1966년까지 전본부교회에서 참부모님을 모시는 생활을 하였다. 1966년 2월 17일 김관성과 기성가정 축복을 받았다. 2004년 8월 15일 성화하였다.
-
오다하라 다카히로
오다하라 다카히로 Odahara Takahiro 항목체계 해외 [정의] 1975년 네팔에 파송된 선교사. [내용] 오다하라 다카히로는 1975년 6월 10일 네팔에 파송된 일본인 선교사이다. 이후 1979년 신임 태국협회장으로 발령을 받아 임지를 옮겼다.
-
오리엔탈리즘
오리엔탈리즘 Orientalism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동양에 대한 서양의 왜곡된 인식과 편견. [내용] 본래 유럽의 문화와 예술에서 나타난 동방취미(東方趣味)의 경향을 일컫는 말이었지만, 오늘날에는 동양에 대한 서양의 우월성이나 동양에 대한 서양의 지배를 정당화하는 말, 동양에 대한 서구의 왜곡된 인식과 태도 등을 총체적으로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다. 1978년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Wadie Said, 1935-2003)의 저술 『오리엔탈리즘』을 계기로 오리엔탈리즘이라는 말이 ‘서양의 동양에 대한 인식’이라는 폭넓은 의미로 쓰이게 되었다. 이 책에서 사이드는 오리엔탈리즘을 ‘동양과 서양이라는 인식론적인 구별에 근거한 사고방식’이자 ‘동양을 지배하고 재구성하며 억압하기 위한 서양의 제도 및 스타일’로 정의했다. 사이드는 오리엔탈리즘을 형성해 온 것은 정확한 학문적 사실이 아니라 여행자들의 감상문, 선원들의 모험기, 또는 선교사들의 체험기 같은 것들이었는데 여기에 스며들어 있는 제국주의적 이데올로기와 당시의 학자, 문인, 지식인들의 가세로 오리엔탈리즘이라는 지식 체계가 만들어졌다고 보았다. 한편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반작용으로 동양의 관점에서 서양을 적대시하거나 비하하는 인식과 태도가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를 옥시덴탈리즘(Occidentalism)이라고 한다. ☞ ‘옥시덴탈리즘’ 참조
-
오만
오만 항목체계 해외 성격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선교국 [정의]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신유럽권역 선교국. [내용] 아라비아반도 남동부에 있는 나라로 정식 명칭은 오만 이슬람왕국(Sultnate Oman)이다. 국가메시아인 요시무라 도시아키 선교사가 여러 차례 오만에 방문하여 선교를 시도하였으나 이슬람왕국을 표방하는 국가로 새로운 사상이나 신앙을 관대하게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아니라서 선교의 기반을 형성하지 못했다. 이후 1997년 한국인 국가메시아 류종풍·김명자 부부가 오만을 방문하였으나 선교 상황이 여의치 않아 ‘원리’ 훈독과 경배 등의 조건만을 세웠다. 2007년 9월 3일부터 8일까지 유종풍 국가메시아의 사위 김준대(2세 300가정)와 전남 곡성교회 양우석 목사(1800가정)가 한국에서 흙과 성주 대신 사탕을 가지고 가서 오만의 수도 무스카트의 대사원에다 흙을 묻고, 사탕은 랍비와 신도들에게 배부했다. 분봉왕은 이상채·차은경, 국가메시아는 류종풍·김명자, 요시무라 도시아키·미치코, 도미니크 벨롯·낸시 벨롯(Dominique Belot-Nancy K. Belot)이다.
-
오멘
오멘 항목체계 해외 성격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선교국 [정의]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신유럽권역 선교국. [내용] 오멘은 중동에 위치한 오만왕국의 다른 표기이다.
-
오산 사립보통학교
오산 사립보통학교 五山 私立普通學校 항목체계 역사사건 [정의] 참아버님이 1934년 3학년 과정에 재학한 학교. [내용] 1907년 이승훈이 세운 학교로 고등보통학과(중학부)와 보통과(소학부)의 합부제 학교였다. 참아버님은 1934년 정주 갈산면 익성동 소재 오산 사립보통학교 3학년에 편입하였다. 교직원은 6명이었고, 전교생 402명 중 3학년은 71명(남 59명, 여 12명)이었다. 수속이나 학교장 구술고사 등 입학에 필요한 절차를 참아버님이 스스로 밟았다고 알려진다. 오산학교는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민족주의 교육이념을 견지한 학교였다. 신민회의 이승훈이 1907년에 정주에 설립한 학교이며 민중 계몽과 교육에 힘쓰던 학교였다. ☞ ‘이승훈’ 참조
-
오성
오성 悟性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인간이 지닌 사고 능력. [내용] 오성은 논리적인 사고, 추리 능력으로 감성에 비하면 자발적이지만, 이성에 비하면 수동적이다. 칸트는 감각적인 소재를 스스로 받아들이는 능력을 감성으로 보았으며, 이 소재에 형식을 부여하여 인식의 대상을 구성하는 능력을 오성이라고 보았다. 칸트는 대상으로부터의 감성적 내용과 오성의 선천적인 사유 형식이 결합되어 인식의 대상이 구성됨으로써 비로소 인식과 사고가 성립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오성의 작용에 다시 통일과 체계를 주는 최고의 인식능력이 이성이다. 『통일사상요강』은 인식론과 논리학에서 오성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 ‘감성’, ‘이성’ 참조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