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급 고역
애급 고역 埃及 苦役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애급에서 이스라엘 민족이 400년간 고역을 당한 것. [내용] 아브라함의 상징 헌제 실수로 이스라엘 민족이 애급에 들어가 400년 동안 고역을 당한 것을 말한다. 창세기 15장 10-13절을 보면, 아브라함은 암소와 양 등의 제물을 둘로 쪼개서 제단의 좌우에 놓았으나 비둘기만은 쪼개지 않고 그대로 놓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솔개가 그 비둘기 위에 내려앉아 아브라함이 솔개를 쫓아 버린 사건이 있었다. 하나님은 그날 해질 때 아브라함에게 그의 자손이 이방에서 객이 되어 그들을 섬기겠고, 그들은 400년 동안 그의 자손을 괴롭게 하리라고 하였다. 즉 아브라함이 쪼개야 할 비둘기를 쪼개지 않았기 때문에 그 위에 솔개가 내렸고, 그로 인하여 아브라함의 후손인 이스라엘 민족이 이방인 애급에 들어가 400년간 고역을 하게 된다는 것이었다. 『원리강론』에 의하면 하나님은 노아 때 함의 실수로 사탄에게 내주었던 10대(代)와 40수를 동시에 탕감복귀하기 위하여 400년이란 사탄 분립 기간을 세웠고, 그 분립의 기대 위에 아브라함을 세워 상징 헌제를 하게 하였다. 그러나 아브라함이 제물로 바친 비둘기를 쪼개지 않은 실수로 인하여 그 제물은 사탄에게 바친 것이 되었다. 제물을 쪼개는 것은 사탄 주관 하에 있는 피조세계에서 선 주권의 세계를 갈라 세우는 상징적인 조건을 세우기 위함이었다. 비둘기를 쪼개지 않은 것은 사탄 주관 하에 있는 피조세계에서 하나님이 상대할 수 있는 선 주권의 세계를 분립하는 상징적인 조건을 세우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인간시조가 타락한 이후 하나님이 세우는 뜻 앞에는 사탄이 따르게 된다. 아브라함 때에도 제물에 침범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던 사탄은 비둘기를 쪼개지 않은 것을 보고 곧 그 제물에 침범하였고, 성서는 이 사실을 솔개가 비둘기 위에 내린 것으로 표상하고 있다. 아브라함의 상징 헌제 실패로 아브라함을 믿음의 조상으로 세우기 위한 탕감기간이었던 노아 이후의 400년 기간도 역시 사탄에게 내주게 되었다. 따라서 노아가 방주를 짓기 위하여 하나님의 부름을 받았던 입장을 민족적으로 탕감복귀하기 위해 이 400년이란 사탄 분립 기간을 다시 찾아 세우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스라엘 민족이 애급에서 고역한 400년 기간은 노아나 아브라함이 믿음의 조상으로 출발하려고 했던 입장을 민족적으로 탕감복귀하여 모세를 그 터전 위에 세우기 위한 기간이었다. 따라서 이 고역기간은 아브라함의 헌제 실수로 인한 벌을 받은 기간인 동시에 하나님의 새로운 섭리를 위하여 사탄 분립의 터를 닦은 기간이기도 하였다. ☞ ‘애급 고역시대’ 참조
-
애급 고역시대
애급 고역시대 埃及苦役時代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이스라엘 민족이 애급에서 400년간 고역을 치른 시대. [내용] 노아는 홍수심판 40일의 사탄 분립 기대 위에서 믿음의 기대를 조성하였으나 그의 아들 함의 실수로 인하여 노아 가정을 중심한 복귀섭리는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하나님은 다시 400년을 탕감복귀한 기대 위에 아브라함을 중심인물로 택하고, 그로 하여금 제물을 바치게 하는 상징 헌제를 드리도록 명하였다. 그러나 아브라함이 비둘기를 쪼개지 않은 헌제 실수로 인하여 그 기대는 다시 사탄의 침범을 당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되어 하나님은 사탄에게 내준 그 400년의 기대를 다시 찾아 세우기 위하여 이스라엘 민족으로 하여금 사탄을 재 분립하는 애급 고역 400년을 치르게 하였다.(창세기 15:13) 이 시대를 애급 고역시대라고 한다. 이 시대는 상징적인 동시성시대 중 아담으로부터 노아까지의 1600년을 형상적인 동시성으로 탕감복귀한 시대였다. ☞ ‘애급고역’ 참조
-
애덕
애덕 愛德 / Caritas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신애(神愛) 혹은 사랑. [내용] ‘하나님은 사랑’이라고 할 때, 여기서 ‘사랑’(agape)의 라틴어 번역이 ‘카리타스(caritas)’이다. 따라서 카리타스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계시된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 그리고 그에 응답해서 인간이 하나님과 이웃에게 보이는 사랑을 뜻한다. 믿음에서 시작되고 소망에 의해서 강해지는 하나님의 발자취는 카리타스에서 완성된다. 믿음과 소망 그리고 사랑을 ‘그리스도교의 덕’ 또는 ‘대신덕(對神德)’이라고 한다. 카리타스는 영어 채리티(charity)에 해당하는데, 오늘날 채리티는 대개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자선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채리티의 어원으로 본다면, 그것은 본래 하나님과 모든 인간을 포함하는 큰 우애를 뜻하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
애승일
애승일 愛勝日 항목체계 역사사건 [정의] 참부모님이 차남 문흥진의 성화를 기념하며 선포한 기념일. [내용] 참부모님이 차남 문흥진의 성화를 기념하며 선포한 기념일로서 참사랑으로 사망을 이겨 승리하였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문흥진이 1월 2일 성화한 다음날 참부모님이 애승일을 선포하였다. 문흥진은 참부모님이 한국에서 전국 승공궐기 대회 마지막 광주 강연을 하던 1983년 12월 22일 미국에서 불의의 교통사고를 당했다. 당시에 문흥진은 2명의 2세 친구들을 차에 태우고 운전하고 있었는데, 마주 달려오던 차에 자신이 희생하는 방향으로 운전대를 돌려 동석한 2세들을 구했다. 참부모님은 대회를 마치고 미국으로 가 병원에서 문흥진을 가운데 두고 통일식을 거행하였다. 참부모님은 아브라함이 이삭, 하나님이 예수 그리스도를 제물로 내주었듯이 하늘 앞에 문흥진을 제물로 내줄 것을 결심했다. 이 통일식을 통해 참부모님은 ‘아버지와 너는 하나이다. 유대교, 기독교, 통일교회는 하나이다’라는 의미의 새로운 전환의 역사시대를 열었다. 나아가 문흥진의 성화 이후에는 참사랑으로 사망을 이겨 승리한 것을 기념하는 날로서 애승일을 선포하였다. 참부모님은 타락세계에서는 죽음이 가장 무서운 것이지만, 창조본연의 세계에서는 죽음이 박차고 비약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씀하였다. 애승일 이후 참부모님은 문흥진에게 축복과 양자를 약속하였으며, 이 기반 위에 영계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영계로 보냈다. 애승일은 1987년부터 1월 2일에 기념하고 있으며, 2011년부터는 천력 1월 2일에 기념하고 있다. ☞ ‘문흥진’, ‘통일식’ 참조
-
애원
애원 愛苑 항목체계 문헌 발행/간행시기 자원봉사 애원 / 1995.8.15 [정의] 자원봉사 애원에서 발간한 정기간행물. [내용] (사)자원봉사 애원에서 1995년부터 2003년까지 발간한 정기간행물이다. 1994년 3월 25일 자원봉사 애원은행(愛苑銀行)이 창설된 후 활동을 공유하고 자원봉사의 흐름을 알기 위해 1995년 8월 15일 격월간지로 창간되었다. 격월간지로 발행되다가 계간지로 발행되었으며, 2004년부터 「꿈씨오쟁이」로 제호를 바꾸어 현재까지 발행되고 있다.
-
애원섭리시대 선포
애원섭리시대 선포 愛援攝理時代 항목체계 역사사건 [정의] 하나님이 사랑으로 세상을 직접 주권하는 시대가 도래하였음을 공표한 선포식. [내용] 1989년 8월 20일 오후 6시 미국 벨베디아수련소에서 지도자와 식구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된 선포식이다. 참부모님은 댄버리 출감 4주년 기념식에서 애원섭리시대를 선포하였다. 이날 참아버님은 ‘구원섭리의 완결과 애원섭리’라는 제목의 말씀을 통해 타락한 인간을 탕감복귀하는 하나님의 구원섭리가 완결되어 하나님이 사랑으로 세상을 직접 주관하는 사랑의 섭리시대가 도래하였음을 선포하였다. 애원섭리는 본연의 사랑시대로 돌아가게 하는 섭리이며, 하나님이 직접 주관하는 시대라고 말씀하였다.
-
애적 인간
애적 인간 愛的 人間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통일사상의 인간관으로서 인간의 본질이 심정 또는 사랑임을 뜻함. [내용] 『통일사상요강』은 철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대표적인 인간관으로 이성을 인간의 본성으로 보는 지성인(Homo Sapience),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을 인간의 본성으로 이해하는 공작인(Homo Faber) 등을 언급하고 있다. 전자에 속하는 인간관이 그리스철학이나 근대 합리주의 철학이며, 후자에 속하는 인간관이 마르크스주의나 프래그머티즘이다. 이에 대하여 통일사상은 인간의 본질이 심정 또는 사랑이라는 뜻의 애적 인간(Homo Amans)을 대표적인 인간관으로 제시한다. 즉 인간은 하나님의 신성을 닮은 심정적 존재이며, 사랑을 실천하는 인격적 존재라는 통일사상의 인간 본성 이해가 애적 인간이란 표현을 통해서 강조되고 있다. ☞ ‘심정’ 참조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