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후세계
사후세계 死後世界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육신의 죽음 이후의 세계. [내용] 죽음 이후의 세계, 즉 내세를 가리키는 말이다. 명부, 음부, 유계, 타계, 황천 등으로 표현되며 ‘이승’의 상대개념으로서 ‘저승’이라는 말이 사용되기도 한다. 죽음은 삶의 끝이 아니라 삶의 연장이라는 의미를 함축하는 말이다. 그러나 사후세계 또는 내세가 반드시 전생을 전제로 하는 것은 아니다. 윤회를 믿는 불교나 힌두교에서 사후세계는 삼 세의 하나로서 전생과 현생에 이어지는 내세를 의미하지만, 기독교에서는 단지 현생에 이어지는 내세일 뿐이다. 기독교는 창조에서 종말로 이어지는 직선 사관의 입장에서 죽음과 그 이후의 세계를 말하는 데 비하여 불교와 힌두교는 순환론적 우주론의 관점에서 사후세계를 규정하기 때문이다. 기독교에서 사후세계는 죽음 이후의 영원한 세계를 뜻하며, 여기에는 성도가 장차 들어가 살게 되는 천국뿐만 아니라 불신자들이 마침내 맞이하게 되는 지옥도 포함된다. 이에 비하여 불교와 힌두교에서 사후세계는 죽음 이후의 ‘영원한 세계’가 아니라 죽음 이후에 맞이하게 되는 ‘하나의 세계’이며, 그 이후에는 또 다른 세계가 이어진다. 즉 내세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내세의 입장에서 볼 때 현세는 전세이며, 전세의 입장에서 보는 현세는 내세가 된다. ☞ ‘영계’ 참조
-
산 구상
산 구상 산 構想 / Living plan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하나님이 우주를 창조한 말씀으로서의 로고스가 생명력 있는 구상임을 의미하는 개념. [내용] 하나님이 우주를 창조한 말씀, 즉 로고스는 생명을 지니고 생동하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요한복음 1장 1-4절에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 그가 태초에 하나님과 함께 계셨고,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지은 바 되었으니 지은 것이 하나도 그가 없이는 된 것이 없느니라. 그 안에 생명이 있었으니, 이 생명은 사람들의 빛이라.”는 내용은 만물을 창조한 하나님의 말씀이 생명력을 지닌 구상, 곧 산 구상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 ‘말씀’, ‘로고스’, ‘구상’ 참조
-
산마리노
산마리노 항목체계 해외 성격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선교국 [정의]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신유럽권역 선교국. [내용] 2016년 9월 산마리노 정부와 축구협회의 주관으로 초·중·고 청소년들을 위한 훈련과 전지훈련을 지원하여 평화를 위한 축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2018년 8월 제4회 피스컵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
산상기도
산상기도 山上祈禱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조용한 산 속에서 들어가서 하는 기도. [내용] 번잡한 일상을 떠나 깊은 산중으로 들어가서 하는 기도를 말한다. 성서에서는 기도를 진정한 생명을 얻는 영혼의 호흡이자 온 인격으로 드리는 예배(시편 119:164)라고 했다. 예부터 산은 훌륭한 기도처로 받아들여졌다. 왜냐하면 산에는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신 또는 신성한 기운과 깊은 영적 교감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산은 저절로 마음이 고요해지게 하는 힘을 지니며, 마음이 고요해질 때 진정한 생명을 얻는 영혼의 호흡이 가능해진다.
-
산상수훈
산상수훈 山上垂訓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신약성서 마태복음에 나오는 예수님의 산상설교. [내용] 신약성서 마태복음 5-7장에 나오는 예수 그리스도의 산상설교를 가리키며, 산상설교 또는 산상보훈(寶訓)이라고도 한다. 누가복음 6장 20절-49절에는 이보다 짧은 형태의 병행 기사가 소개돼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핵심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성서 중의 성서’로 일컬어진다. 산상수훈이 있었던 산의 위치는 성서에 나타나 있지 않다. 가버나움과 디베랴 사이의 한 언덕을 산상보훈의 산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갈릴리에 내려오는 한 전설에 따르면 그 산의 이름은 ‘핫틴 산’이다. 산상수훈에는 윤리적 삶에 대한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이 집약되어 있으며, 이런 점에서 그것은 초대교회의 시대부터 지금까지 그리스도 교인들의 윤리적 행위지침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자는 복이 있나니”라는 형태로 설해진 팔복(八福)으로 시작되는 산상수훈에는 사회적 의무, 자선행위, 기도, 금식, 이웃 사랑에 대한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이 담겨 있으며 참된 종교적 신앙생활의 내면적 본질에 관한 짤막한 비유로 끝난다. 그리스도 교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기도인 ‘주기도’는 산상수훈에서 연유하며, 중세 가톨릭에서는 산상수훈을 수도생활의 전형적 규범으로 해석하기도 했다.
-
산수원애국회
산수원애국회 山水苑愛國會 항목체계 기관기업 설립일시 2003.7.4 설립자 문선명, 한학자 [정의] 평화대사들의 친목도모를 위해 만든 산악회로서 봉사활동 및 평화운동도 함께 전개하고 있음. [내용] 산수원애국회는 산과 물, 들을 찾아 인격을 수양하고 나라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터전이란 뜻으로서 2002년 참부모님에 의해 창설되었다. 산수원애국회는 등산이나 하이킹, 낚시, 골프 등을 함께하며 하나님이 창조한 대자연의 아름다움을 만끽하고 회원 간의 교류를 통해 상호 간의 친목을 도모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봉사활동과 한민족의 염원인 남북평화통일운동, 평화세계의 실현을 위한 평화운동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2002년 발족한 이래 전국에 5만여 명의 회원들이 가입하여 활동 중이다. 매년 세대 소통, 지역 화합, 평화 나눔 등을 주제로 춘계·추계 등반대회를 실시하고 있으며 천주평화연합과 연대하여 대북 민간지원을 위한 ‘평화의 쌀 나눔’ 캠페인도 전개하고 있다.
-
산신
산신 山神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산을 지키고 다스리는 신. [내용] 어떤 특정한 산을 지키며, 그 산에서 일어나는 일을 관장하는 신으로 알려진다. 산신령이라고도 하며 호랑이나 신선의 모습으로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산신에 대한 믿음은 모든 자연물에 정령이 있다고 믿는 원시적인 애니미즘에 그 뿌리가 닿아 있다. 여러 자연물 중에서도 산신, 즉 산악의 정령을 믿는 산악신앙은 우리 민족의 오랜 전통이다. 국토의 70퍼센트가 산이라는 점에서 보면, 고래로 산신 신앙이 성행한 것은 오히려 당연하다. 단군신화에서 단군이 마지막에 아사달 산신으로 좌정했다고 한 것은 고조선시대에도 산신 신앙이 유행했다는 방증이다. 삼국시대에는 특히 신라에서 산신 신앙이 성행했고, 신라에서 국가적인 제사의 대부분은 산신제였다. 이것은 산신이 나라를 수호한다는 믿음에 따른 것이며, 심지어 신라 사람들은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산신이 나타나 그것을 예고한다고 믿었던 것으로 보인다. 불교 전래 이후에는 산신 신앙이 불교에 수용되었으며, 조선 후기에 산신은 사찰의 수호신으로 여겨졌다. 사찰 경내에 산신각을 지어 산신을 모시는 것은 세계의 어느 불교 전통에서도 볼 수 없는 한국 불교의 전통이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