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헌신
헌신 獻身 / Devotion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소명에 응답하여 몸과 마음을 다하는 것. [내용] 몸과 마음을 바쳐 있는 힘을 다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그리스도교에서는 소명에 응하여 온 몸과 마음을 바치는 것을 의미한다. ‘자극하다’, ‘자원하다’, ‘(즐거이) 드리다’는 의미의 히브리어 ‘나다브’에서 유래한 말로서 자발적인 행동이나 아낌없이 바치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손을 충만히 채우다’는 뜻의 히브리어 ‘야드 말라’(출애급기 32:29)가 ‘헌신하다’로 번역되기도 했는데, 특히 이 표현은 레위인들의 헌신(성직 수행)과 관련하여 언급됐다. 그것은 단순히 ‘자신을 바치는 행위’만이 아니라 ‘온전한 봉사’라는 의미도 함축했다. 일찍이 예수 그리스도가 헌신의 본보기를 보여 주었다. 신약성서의 복음서에는 예수 그리스도가 하느님의 부름에 순종하여 온 몸과 마음을 바치는 모습이 묘사된다. 요단강에서 세례를 받은 장면부터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사건까지의 모든 일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가 철저히 하느님께 바쳐진 것임을 보여 주는 증거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헌신은 하나님을 향한 것이었으며, 그는 세상을 구원하기 위한 하느님의 보내심에 응하여 자기 몸을 기꺼이 바친 아들이었다.
-
헌제
헌제 獻祭 / Offering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메시아를 위한 기대를 조성하기 위해 탕감조건을 세우는 것. [내용] 메시아를 위한 기대를 조성하여 하나님 앞으로 돌아가기 위해 탕감조건을 세우는 것을 헌제라고 한다. 타락한 인간이 창조본연의 인간으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메시아를 위한 기대를 완성한 기반 위에서 메시아를 맞아 원죄를 벗어야 한다. 메시아를 위한 기대를 조성하려면 먼저 중심인물이 수리적인 기간에 맞추어 조건물을 세우는 믿음의 기대를 세운 다음에 실체기대를 세워야 한다. 이러한 기대는 하나님 앞으로 돌아가기 위해 탕감조건을 세우는 헌제라고 할 수 있다. 믿음의 기대를 세우는 것을 상징헌제라고 하며, 실체기대를 세우는 것을 실체헌제라고 한다. 상징헌제는 중심인물이 만물을 제물로 바치거나 율법의 말씀 또는 그 말씀을 대신할 법례나 성전 등을 지키는 것이며, 실체헌제는 가인과 아벨의 입장에 선 인물들이 타락성을 벗기 위한 탕감조건을 세우는 것을 말한다.
-
헤게모니
헤게모니 Hegemony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정치적으로 지배하거나 주도할 수 있는 권력 또는 관계망을 가지는 것. [내용] 일반적으로 한 집단이나 국가 또는 문화가 다른 집단이나 국가 또는 문화를 지배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인체의 ‘중추’를 뜻하는 그리스어 ‘Hegemonikon’에서 유래한 말이다. 초기 스토아학파는 인간을 다섯 가지 감관과 발성기관, 생식기관, 중추 등 8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았으며 중추로부터 모든 기관들이 거미줄처럼 퍼져 있다고 했다. 오늘날 이 용어는 ‘정치적 지배’ 또는 ‘주도권’이라는 일반적인 의미를 지니지만 포스트 구조주의적 비평에서 볼 때, 이 용어는 상당히 복합적이고 전문화된 의미를 지닌다. 헤게모니의 이론적 개념이 정립된 것은 이탈리아 공산당의 창설자인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를 통해서이다. 그는 마르크스주의의 결정론적 해석과 베네데토 크로체(Benedetto Croce)의 관념철학에 반대하여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적 유물론의 통일을 주장하면서 ‘계급 간의 관계, 특히 부르주아 계급이 노동자 계급에게 행사하는 통제’라는 의미로 헤게모니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헤게모니는 단지 한 계급이 힘의 위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제도, 사회관계, 관념의 조직망 속에 동의를 이끌어냄으로써 자신의 지배를 유지하는 수단이다. 다시 말해 성공적인 헤게모니는 지배계급의 이해를 표현할 뿐만 아니라 피지배계급으로 하여금 그와 같은 통제를 자연스러운 것 또는 상식적이며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그는 헤게모니의 토대는 단지 경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회의 문화생활 속에 존재하는 통합적 관계망이라고 생각하였다.
-
헤겔
헤겔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변증법을 철학적 방법으로 제시하며 관념론을 집대성한 철학자. [내용] 절대적인 관념론으로 독일의 관념론 철학을 완성시키고 체계적인 형이상학을 집대성한 철학자이다. 1770년 슈투트가르트에서 태어나 1788년 튀빙겐신학교에서 2년간 철학과 고전을 배우고 1790년 졸업했다.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교수로 있다가 베를린대학교로 옮겼으며 종교철학, 역사철학에 관심을 가져 헤겔학파를 형성하였다. 그는 우주의 시원을 절대정신이라고 주장하는 일원론적 관념론을 주장하였으며, 창조를 절대정신이 자체적으로 전개된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신은 절대정신이면서 동시에 로고스이며 개념인데, 이 개념이 모순을 매개로 정-반-합의 3단계 변증법적 발전형식에 따라서 발전해 간다고 보았다. 개념은 자체적으로 발전하여 이념의 단계까지 발전한 후 그 자체를 외부로 소외시켜 자연으로 나타나고, 자연 속에서 변증법적 발전을 통해 인간으로 나타난다. 이 인간을 통하여 개념은 자체를 회복하고 여러 단계의 발전과정을 거쳐 마지막으로 절대정신으로 자체를 실현한다. 따라서 인간의 역사는 개념인 로고스의 자체 실현의 과정이기에 필연적으로 합리적인 사회가 될 것이라고 예견했다. 이러한 헤겔의 철학은 일원론적 관념론으로 아벨형 인생관으로 관념론 철학을 집대성하였으나 무신론과 유물론의 영향을 받아 헤겔좌파의 파생을 초래했다. 헤겔의 사관은 비합리적인 현실을 방관하도록 하였고, 개념 중심의 신 이해는 범신론으로 이해되었으며, 모순을 발전의 계기로 보아 투쟁이론을 발생시키는 소지를 가지고 있었다. ☞ ‘관념론’ 참조
-
헤겔 논리학
헤겔 논리학 헤겔 論理學 / Logic of Hegel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하나님의 사고가 어떠한 법칙이나 형식에 의해 발전하였는가를 연구하는 학문. [내용] 하나님의 사고가 어떤 법칙이나 형식에 의해 발전하였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피조세계 창조 이전의 하나님 사고의 전개를 다루며 영원한 본질인 하나님 속에 있는 서술이라고 할 수 있다. 논리의 세계는 참된 자체를 실현하기 위해 오히려 자체를 부정하고 자연의 영역으로 이행한다. 자연은 이념의 자체 소외, 자체 부정 또는 타재 형식에 있어서 이념이라고 하였다. 자연계가 되었던 이념은 다시 자체를 부정하여 인간이 된다. 이와 같이 인간이 되어서 자체를 회복한 이념이 정신이다. 정신은 주관적 정신, 객관적 정신, 절대정신의 3단계를 거치며 절대정신은 예술, 종교, 철학의 3단계를 거쳐 본래의 자기인 절대이념으로 복귀한다. 이러한 변증법은 모순에 의한 정-반-합의 3단계로 나타나며, 이러한 3단계 발전의 반복을 통해 높은 수준에서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는 복귀성의 운동이며 원환성의 운동이다. 또한 절대정신이 자체로 복귀를 끝내면 더 이상 발전이 없는 완결성의 특징을 가진다. 또한 모순의 법칙, 양의 질적 전환의 법칙, 부정의 부정 법칙 등을 가진다.
-
헤겔 좌파
헤겔 좌파 헤겔 左派 / School of left-wing Hegelianism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헤겔의 변증법을 변증법적 유물론으로 발전시킨 학파. [내용] 헤겔이 1831년에 타계한 뒤 약 10여 년 동안 발흥했던 과격 집단으로 헤겔의 변증법을 변증법적 유물론으로 발전시켜 청년 헤겔학파 또는 헤겔 좌파라고 부른다. 이들은 헤겔 우파가 세계를 이미 완전한 상태라고 주장하는 것을 반박하면서 프로이센의 정치 체제와 종교에 대해 급진적인 비판을 견지하였다. 이들은 헤겔의 변증법을 운동의 원리로 생각하고 헤겔주의를 혁명적인 의미로 해석하면서 변증법적 유물론을 체계화하였다. 슈트라우스(Strauss)는 성서에 나타난 기적은 후세의 날조라고 부정하였고, 포이에르바하(Feuerbach)는 사회적 또는 경제적 여건이 종교 발생의 원인이 된다고 설명하여 유물론을 뒷받침하였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변증법적 유물론을 주창하면서 무신론과 유물론을 집대성하였다.
-
헤라클레이토스
헤라클레이토스 Heraclitos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헤겔이 변증법의 창시자라고 부른 그리스의 철학자. [내용] 우주의 근원적인 물질은 불이며, 항상 변화하고 있다고 본 그리스 철학자이다. 또한 만물은 유전하며 고정되거나 부동한 것은 없고 생성과 운동 속에서 존재하며 대립과 투쟁에 의해 생성하고 변화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만물은 투쟁을 통하여 조화가 생긴다고 하였고, 생성 변화하는 만물에게도 불변하는 것을 로고스라고 하였다. 이렇게 그가 만물을 생성, 변화, 유전되고 있다고 본 것에 착안하여 헤겔은 그의 방법론을 변증법이라고 불렀다. 『통일사상요강』은 그의 방법론을 사물의 동적인 측면을 다룬 방법론이므로 운동법이라고 부를 것을 제안하고 있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