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상기도
산상기도 山上祈禱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조용한 산 속에서 들어가서 하는 기도. [내용] 번잡한 일상을 떠나 깊은 산중으로 들어가서 하는 기도를 말한다. 성서에서는 기도를 진정한 생명을 얻는 영혼의 호흡이자 온 인격으로 드리는 예배(시편 119:164)라고 했다. 예부터 산은 훌륭한 기도처로 받아들여졌다. 왜냐하면 산에는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신 또는 신성한 기운과 깊은 영적 교감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산은 저절로 마음이 고요해지게 하는 힘을 지니며, 마음이 고요해질 때 진정한 생명을 얻는 영혼의 호흡이 가능해진다.
-
산상수훈
산상수훈 山上垂訓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신약성서 마태복음에 나오는 예수님의 산상설교. [내용] 신약성서 마태복음 5-7장에 나오는 예수 그리스도의 산상설교를 가리키며, 산상설교 또는 산상보훈(寶訓)이라고도 한다. 누가복음 6장 20절-49절에는 이보다 짧은 형태의 병행 기사가 소개돼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핵심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성서 중의 성서’로 일컬어진다. 산상수훈이 있었던 산의 위치는 성서에 나타나 있지 않다. 가버나움과 디베랴 사이의 한 언덕을 산상보훈의 산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갈릴리에 내려오는 한 전설에 따르면 그 산의 이름은 ‘핫틴 산’이다. 산상수훈에는 윤리적 삶에 대한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이 집약되어 있으며, 이런 점에서 그것은 초대교회의 시대부터 지금까지 그리스도 교인들의 윤리적 행위지침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자는 복이 있나니”라는 형태로 설해진 팔복(八福)으로 시작되는 산상수훈에는 사회적 의무, 자선행위, 기도, 금식, 이웃 사랑에 대한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이 담겨 있으며 참된 종교적 신앙생활의 내면적 본질에 관한 짤막한 비유로 끝난다. 그리스도 교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기도인 ‘주기도’는 산상수훈에서 연유하며, 중세 가톨릭에서는 산상수훈을 수도생활의 전형적 규범으로 해석하기도 했다.
-
산수원애국회
산수원애국회 山水苑愛國會 항목체계 기관기업 설립일시 2003.7.4 설립자 문선명, 한학자 [정의] 평화대사들의 친목도모를 위해 만든 산악회로서 봉사활동 및 평화운동도 함께 전개하고 있음. [내용] 산수원애국회는 산과 물, 들을 찾아 인격을 수양하고 나라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터전이란 뜻으로서 2002년 참부모님에 의해 창설되었다. 산수원애국회는 등산이나 하이킹, 낚시, 골프 등을 함께하며 하나님이 창조한 대자연의 아름다움을 만끽하고 회원 간의 교류를 통해 상호 간의 친목을 도모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봉사활동과 한민족의 염원인 남북평화통일운동, 평화세계의 실현을 위한 평화운동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2002년 발족한 이래 전국에 5만여 명의 회원들이 가입하여 활동 중이다. 매년 세대 소통, 지역 화합, 평화 나눔 등을 주제로 춘계·추계 등반대회를 실시하고 있으며 천주평화연합과 연대하여 대북 민간지원을 위한 ‘평화의 쌀 나눔’ 캠페인도 전개하고 있다.
-
산신
산신 山神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산을 지키고 다스리는 신. [내용] 어떤 특정한 산을 지키며, 그 산에서 일어나는 일을 관장하는 신으로 알려진다. 산신령이라고도 하며 호랑이나 신선의 모습으로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산신에 대한 믿음은 모든 자연물에 정령이 있다고 믿는 원시적인 애니미즘에 그 뿌리가 닿아 있다. 여러 자연물 중에서도 산신, 즉 산악의 정령을 믿는 산악신앙은 우리 민족의 오랜 전통이다. 국토의 70퍼센트가 산이라는 점에서 보면, 고래로 산신 신앙이 성행한 것은 오히려 당연하다. 단군신화에서 단군이 마지막에 아사달 산신으로 좌정했다고 한 것은 고조선시대에도 산신 신앙이 유행했다는 방증이다. 삼국시대에는 특히 신라에서 산신 신앙이 성행했고, 신라에서 국가적인 제사의 대부분은 산신제였다. 이것은 산신이 나라를 수호한다는 믿음에 따른 것이며, 심지어 신라 사람들은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산신이 나타나 그것을 예고한다고 믿었던 것으로 보인다. 불교 전래 이후에는 산신 신앙이 불교에 수용되었으며, 조선 후기에 산신은 사찰의 수호신으로 여겨졌다. 사찰 경내에 산신각을 지어 산신을 모시는 것은 세계의 어느 불교 전통에서도 볼 수 없는 한국 불교의 전통이다.
-
산업혁명
산업혁명 産業革命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18세기 말 영국에서 증기기관의 발명과 기계의 도입으로 인하여 수공업을 벗어나 기계화되던 산업구조의 변화를 일컫는 개념. [내용] 산업혁명은 인류 역사 속에서 과학기술의 발달을 통한 산업구조와 인간 생활환경의 변화를 초래한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된다. 증기기관의 발명과 기계 도입으로 이루어진 산업혁명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전기의 발명과 컨베이어 벨트(Conveyor Belt)에 의한 생산의 대량화가 이루어지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후로 인터넷 기술과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중심으로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고, 현재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과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이 새로운 변화의 물결을 일으키고 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이러한 과학기술의 진보를 통하여 일어나는 산업혁명을 종교와 과학을 통하여 인간의 내적인 무지와 외적인 무지를 극복하도록 이끄는 하나님의 섭리로 이해하고 있다. 『원리강론』에 의하면, 영국에서 발생한 산업혁명은 하나님 섭리의 일환으로 이상적인 사회의 생활환경을 만들기 위한 것과 연관되어 설명되고 있다. ☞ ‘제1차 산업혁명’, ‘제2차 산업혁명’, ‘제3차 산업혁명’ 참조
-
살신성인
살신성인 殺身成仁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타인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숭고한 행동. [내용] 자신을 죽여 인(仁)을 이룬다는 뜻으로서 큰 뜻이나 다른 사람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은 남을 사랑하고 어질게 행동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이와 같은 마음가짐과 행동은 당연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당장 내가 손해를 보거나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이런 행동을 하기는 쉽지 않다. 살신성인은 남을 위해 스스로를 희생하는 숭고한 정신과 행동을 이르는 말이다.
-
삼강오륜
삼강오륜 三綱五倫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유교의 윤리에서 근본이 되는 3가지 강령과 5가지 인륜. [내용] 삼강은 임금과 신하(君爲臣綱), 어버이와 자식(父爲子綱), 남편과 아내(夫爲婦綱)의 사이에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말한다. 오륜은 오상(五常) 또는 오전(五典)이라고도 하며 『맹자』에 나오는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의 5가지를 가리킨다. 즉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道)는 친애(親愛)에 있으며, 임금과 신하의 도리는 의리에 있고, 부부 사이에는 서로 침범치 못할 인륜의 구별이 있으며, 어른과 어린이의 사이에는 차례와 질서가 있어야 하며, 벗의 도리는 믿음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유교의 윤리 지침은 조선시대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크게 강조되었다. 세종시대에는 윤리적 모범이 될 만한 충신·효자·열녀의 행적을 그림과 글로 칭송하는 『삼강행실도』가 편찬되었으며, 정조시대에는 『삼강행실도』에 『이륜행실도』를 더하여 『오륜행실도』가 편찬되었다. 조선시대 이후 삼강오륜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유교적 윤리의 핵심 개념으로 자리매김했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