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리스도
그리스도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하나님 구원섭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오는 구세주. [내용] 그리스도는 고대 그리스어인 ‘크리스토스(Χριστός)’에서 온 말이며, 크리스토스는 ‘기름 부음을 받은’이란 뜻을 지닌 히브리어 ‘마쉬아흐(מׇשִׁיחַ)’, 즉 ‘메시아’를 그리스어로 번역한 것이다. 고대 히브리지역에서는 제사장이나 왕과 같이 특별한 임무를 수행하게 될 사람의 머리 위에 기름을 부어 주는 전통이 있었다. 이는 하나님의 축복, 성별, 인정을 의미한 것이다. 따라서 메시아는 기름 부음을 받은 자로서 주로 왕을 의미하는 말로 쓰였다. 이스라엘 민족은 선지자들의 예언을 통해 장차 이스라엘을 구원할 구세주를 왕으로 보낸다고 한 하나님의 말씀을 굳게 믿고 있었으니, 이것이 이스라엘의 메시아사상이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비슷한 맥락에서 메시아, 즉 그리스도를 하나님 구원섭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오는 구세주로 이해한다. 다만 여기에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만의 독특한 이해가 다음과 같이 결부된다. 첫째로 기독교의 이해와는 달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메시아를 하나님 그 자체로 보지 않으며 인간으로 이해한다. 다만 창조목적을 완성한 인간으로서 하나님의 심정과 완전히 하나 되어 마음과 몸의 통일을 이루고 하나님의 뜻과 사정대로 살아가는 인간을 가리킨다. 둘째로 인류를 다시금 하나님의 혈통으로 중생하여 구원하는 메시아의 사명을 놓고 볼 때,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메시아가 반드시 참부모로 현현(顯現)해야 함을 주장한다. 즉 원죄 없는 후 아담과 후 해와로서 이 땅에 탄생하여 부부의 인연을 맺고 참부모가 되어 축복결혼을 통해 인류를 다시 낳아 주는 중생의 역사를 펼침으로 말미암아 메시아가 이루어야 할 구원의 핵심 과업을 성취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에서는 메시아를 ‘참부모 메시아’로 부르기도 한다. ☞ ‘메시아’, ‘구세주’, ‘중생’, ‘구원’, ‘참부모 메시아’ 참조
-
그리스정교회
그리스정교회 그리스正敎會 / Greek orthodox church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사도적 전승과 고대 보편공의회의 신조와 전례에 따르는 동방 기독교의 대표적 교단. [내용] 그리스 문화권에서 형성되어 선교가 시작된 기독교 3대 교단들 중 하나로 사도적 전승과 고대 보편공의회의 올바른 믿음을 계승하고자 하는 교단이다. 기독교는 크게 서방 기독교의 로마가톨릭교회와 프로테스탄트교회들 그리고 동방 기독교의 동방정교회(Eastern orthodox church)와 시리아기독교, 콥트기독교, 아르메니아기독교 등 독립 교회들로 나뉜다. 역사적으로 동·서방 교회의 분리는 로마제국이 동서로 분열된 후 로마 중심의 라틴어권 서방 교회와 콘스탄티노플을 중심한 그리스어권 동방 교회들이 서로 정통성과 우위를 주장하며 갈등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동·서방 교회는 성화상 논쟁, 테오토코스 논쟁, 성령의 발출과 관련된 필리오케(filioque) 논쟁 등 교리적 이견으로 반목하면서 독자적인 전례와 교회법을 따르다가 로마교황의 수위권에 대한 갈등으로 1054년 완전히 분리되었다. 정교회라는 호칭은 동방 기독교의 주류가 사도적 전승과 고대 보편공의회의 올바른 믿음을 계승한 교회라는 주장한 데서 기인한다. 동방 정교회는 가톨릭교회, 프로테스탄트교회와 함께 기독교의 3대 교단들 중 하나이며 그리스 문화권에서 자라나고 선교되었다는 의미에서 그리스정교회라고도 한다. 좁은 의미의 그리스정교회는 그리스지역을 관할하는 정교회를 뜻한다. 그리스정교회는 사도교회와의 연속성을 계승하고 독자적 전례를 가지며 787년 니케아공의회까지 열린 7차례 고대 보편공의회에서 정의된 신조와 예배의식을 따른다. 중앙집권적 조직의 로마가톨릭교회와 달리 지역교회의 자치와 분권을 강조하는 특징이 있다. 교리와 전례에 있어서 그리스정교회는 입체적 동상이 아닌 이콘을 성상으로 인정하고 하느님의 어머니, 즉 테오토코스(theotokos)로 성모 마리아를 호칭하며 성령의 성부 발출을 믿는 점에서 로마가톨릭교회와 다르지만 고대 교회의 공의회 전승을 인정하고 7성사를 시행하며 성상과 마리아 공경을 인정하는 점에서 프로테스탄트교회보다는 로마가톨릭교회와 더 유사성이 크다.
-
글로리아 아로요
글로리아 아로요 Gloria Macapagal-Arroyo 항목체계 해외 [정의] 참부모님이 대담한 필리핀 제15대 대통령. [내용] 2005년 12월 1일 필리핀 마닐라 말라카낭궁전에서 참부모님이 대담한 대통령으로 필리핀 제15대 대통령이자 2번째 여자 대통령이었다. 제9대 대통령인 디오스다도 마카파갈의 딸로도 유명하며 2001년 1월 20일부터 2010년 6월 30일까지 재임하였다.
-
금강대도
금강대도 金剛大道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음양 평등의 삼위일체 미륵대불을 신봉하는 한국의 신종교. [내용] 1874년 이승여(李承如, 1874-1934)가 창도한 한국 신종교로 음양 평등의 삼위일체 미륵대불을 신봉하는 종교이다. 강원도 통천군에서 태어난 이승여는 1897년 자암(慈庵) 서의복(1884-1927)과 결혼하고 1906년 대도를 자각한 후 자신은 금강도사(金剛道師), 서의복은 연화도사(蓮華道師)라고 하면서 금강산을 중심으로 포덕을 시작했다. 1910년 계룡산 신도안으로 내려와 포덕하여 충청도 일대에서 수많은 제자들을 얻었으며, 1923년 현재 본부가 있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금천리에 삼종대성전(三宗大聖殿)을 짓고 금강대도와 연화대도 총본부로 삼아 교화에 힘썼다. 창도자 이승여가 태어난 1874년을 도기 원년으로 삼는다. 1934년 이승여가 사망한 후 1937년에 장남 이성직과 민영인 부부가 2대 도주로서 도통을 계승하여 교리 및 예법을 체계화하였으나 일제의 회유에 굴복하지 않은 민족종교로 지목되어 크게 탄압을 받았다. 해방 후 1964년 장남 이일규와 김동윤 부부가 3대 도주로서 본원 및 분원을 정비하고 전국적 조직으로 확대하였다. 음양의 대표로서 부부가 도주가 되며, 다른 한국의 민족종교들과 달리 도통이 가계 혈통으로 계승되는 것이 특징이다. 창도 후 3대까지 도주 부부를 우주의 최고신인 건곤부모의 지상화현으로 보고 3대 건부를 금강대불, 3대 건모를 연화대불이라고 하여 음양 평등의 삼위일체 미륵대불로 신봉한다. 교리는 천·지·인 삼합의 원리에 순응하며, 인간의 도덕을 수립함에 있어 유·불·선 삼도를 만법귀일(萬法歸一)의 원리로 통합하고 실천하여 심(心)·성(性)·신(身) 등 삼합의 경지를 이룬다는 것이다. 실천 체계도 ‘보고(寶誥)’ 암송, 가화(家和)·심신청결·충·효·성경(誠敬)을 위한 계율, 치성과 금기, 향, 초, 목탁, 바라의 사용 등과 같이 유·불·선의 요소들이 습합되어 있다. 경전은 『대원경(大圓經)』과 『대정경(大正經)』 그리고 『대방경(大方經)』 등이 있으며 금강도라고도 한다. 도주 부부를 건곤부모의 음양 평등 삼위일체 미륵대불로 신앙하고 있는 점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하늘부모님 및 참부모 교리와 구조적으로 유사한 측면이 있다.
-
금송아지
금송아지 金송아지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소를 숭배하는 전통에서 우상으로 섬기는 소 형상의 황금 동상. [내용] 기원전 신적 존재로 숭배하던 소를 황금으로 동상을 만들어 소원을 빌었던 우상이다. 기원 전 수세기 동안 소를 숭배하던 전통은 이집트를 중심한 중동지역과 북아프리카지역, 더 나아가 동아프리카와 남아프리카까지 널리 퍼져 있었다. 다산(多産)과 힘을 상징하는 황소는 온갖 창조활동을 펼치는 신적인 존재로 우상화되었다. 구약성경 출애급기 32장을 보면, 모세가 시내산에서 40일 금식을 끝내고 십계명을 기록한 두 석판을 하나님으로부터 받아 내려오는 동안 이스라엘 민족은 아론을 시켜 금송아지를 만들어 이스라엘 민족을 애급에서 인도해 낸 신으로 섬기고 있었다. 그것을 본 모세는 대노하여 손에 들고 있던 두 석판을 산 아래로 던져 깨뜨려 버렸으며, 금송아지로 된 우상을 부수고 그 가루를 물에 타서 이스라엘 민족에게 마시게 하였다. 이는 애급 탈출 이후에도 이스라엘 민족이 애급의 전통인 소 숭배의식을 지속적으로 행하였음을 나타내며, 야훼를 유일신으로 숭배하던 히브리 전통은 이를 강하게 금하였음을 알 수 있다. 『원리강론』에 따르면 이스라엘 민족이 금송아지를 만들어 섬긴 것은 모세와 하나 되지 못했음을 나타내는 결정적 근거로 작용했으며, 이로 인해 모세를 중심으로 세우려고 했던 ‘성막을 위한 기대’는 연장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금송아지를 깨뜨려 물에 타 이스라엘 민족에게 마시게 한 것은 사탄을 괴멸하여 복귀섭리의 목적을 이루려는 하나님의 뜻을 나타낸 것이다. ☞ ‘우상’, ‘야훼’, ‘성막을 위한 기대’ 참조
-
금식
금식 禁食 항목체계 의례상징 [정의] 음식을 먹지 않으면서 일정한 종교적 목적 또는 계율을 위하여 정성을 들이는 것. [내용] 일정 시간 동안 음식을 먹지 않으면서 정성을 들이는 것을 말한다. 종교인의 수도생활에서 금식은 일상적이며 보편적으로 행해지는 의례이다. 종교인이 금식을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을 일체 금지하고 굶으면서 음식과 몸의 귀함을 인식한다. 종교들 중에서 한 달에 하루 금식을 하는 것은 불필요한 영양분을 남지 않게 하므로 건강에 좋다며 장려하는 경우가 있다. 둘째, 진리를 찾는 구도의 과정에서 오로지 구도에 전념하기 위해 금식을 한다. 셋째, 어떤 특별한 목적을 위해 정성을 모으는 것이다. 넷째, 음식비를 모아서 이웃을 위해 지원하면서 봉사하는 것이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도 참부모님의 전통을 따라서 금식을 한다. 금식을 통하여 하나님의 슬픈 심정을 상속받고 만물에 대한 고마움을 체득하며 사탄과의 관계를 분립하여 사탄 혈통의 단절도 경험할 수 있다. 금식에는 1일, 3일, 7일, 21일, 30일, 40일 금식 등이 있고 조식 금식, 점심 금식, 석식 금식을 하는 경우도 있다. 1일 금식은 개인 차원에서 무엇인가를 하늘 앞에 결단을 할 때 실시하거나 단체로서 40일 릴레이 금식을 할 때 순번을 정하여 하루씩 금식을 한다. 릴레이 금식은 직장 업무나 개인 건강의 이유 등으로 돌아가면서 하루씩 금식을 하여 40일을 채움으로써 전체 참여자가 공동의 종교적 목적을 위해 40일을 금식했다는 조건을 세우기 위해 하는 것이다. 7일 금식은 입회원서를 작성한 새 식구가 받는 수련들 중의 하나이며 축복을 받기 위한 조건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특별하고 중요한 종교적·개인적 목적을 위해 들이는 정성방식의 하나이다. 창조기간 7일을 근간으로 7일 금식을 함으로써 새 식구는 타락성을 극복한 참자녀로서 제1축복을 회복했다는 조건을 세우게 된다. 축복을 받기 전 7일 금식을 함으로써 축복 예비자는 제2축복을 받을 자격을 갖추었다는 조건을 세운다. 또한 사탄을 분립하거나 중요한 종교적·개인적 목적을 위해 7일 금식을 하는 경우도 있다. 역사적으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금식 정성을 다양한 형태로 들였다. 참아버님은 1957년 7월 1일 전 식구 7일 금식을 명한 후 7월 20일부터 7일 금식을 하면서 한국 70개 주요 도시에 40일 개척전도사를 파견하며 교회의 기반을 닦기도 하였다. 1958년 2월 24일 참아버님의 탄신일을 맞아 0시 기도와 함께 전 식구 1일 금식을 한 기록도 있다. 1961년 2월 18일 참부모님 탄신일 금식 정성으로 모은 기금으로 4명의 지구장들에게 오토바이와 36명의 지역장들에게 자전거를 사 주기도 했다. 1971년 5월 22일 제2회 아시아 도쿄승공대회를 위하여 173명의 식구들이 7일 금식을 실시하였다. 또한 1971년 10월 22-25일에는 미국 식구들이 유엔본부 앞에서 금식기도를 실시하면서 정성을 모았다. 1973년 1월에는 가이아나 식구 8명이 7일 금식을 실시하였다. 1973년 11월 30일 참부모님의 워터게이트 선언문 발표 이후 12월 1일부터 세계의 식구들이 40일 릴레이 금식기도를 하면서 미국의 위기 극복을 위해 정성을 모았다. 1974년 1월에도 가이아나 식구들이 7일간 단체금식을 실시하였고, 7월 4일부터는 오스트리아 식구 70명이 7일 금식을 실시하였다. 7월 22-24에는 미국 식구 6백여 명이 미국 국회의사당 계단에서 금식기도를 하면서 워터게이트 선언을 지지하고 닉슨 대통령의 탄핵 저지를 위해 정성을 모았다. 1975년 5월에는 오스트리아교회 식구 전체가 협회 등록 취득을 위해 3일 금식과 40일 기도의 조건을 세웠다. 이어서 같은 해 10월 24일과 11월 14일에는 한국 식구들이 국가의 장래를 위해 금식기도를 하였다. 1979년 2월에는 가이아나에서 단체로 7일 금식을 하였다. 4월 30일부터 피터 코흐 목사는 오스트리아에서 동구권으로 파송된 선교사들의 성공적인 임무수행을 위해 30일간 금식 정성을 들였다. 10월 24일과 11월 14일에는 한국 식구들이 국가의 장래를 위해 금식기도를 하였다. 1981년 6월 29일에는 한국의 전 식구가 1일 특별 금식기도를 실시하였다. 10월 22-25일에 미국 식구들이 유엔본부 앞에서 금식기도를 하였다. 1988년 10월 3일 세계통일국개천일 선포 이후 참부모님은 축복가정들에게 1일 2식의 일주일 금식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며 과거의 잘못을 반성하고 새 시대를 맞아 출발하는 정성을 들이게 하였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식구들 가운데는 40일 금식을 열두 번 실천한 인물들도 있다.
-
금욕주의
금욕주의 禁慾主義 / Asceticism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인간의 욕망을 절제하거나 억제하는 훈련을 통해 이상이나 목적에 도달하고자 하는 태도와 사상. [내용] 금욕주의는 인간의 생리적 욕구와 정신적 욕망을 의지나 이성으로 억제하고 통제함으로써 종교적, 철학적, 도덕적 이상을 구현하려는 실천적 태도와 사상을 의미한다. 금욕주의의 어원인 그리스어 ‘아스케시스’는 주로 신체적 능숙함을 위한 훈련, 수련을 뜻하였는데 점차 정신적, 도덕적, 영적 자질의 훈련까지 적용되었다. 철학, 종교상의 금욕주의는 심신 이원론의 관점에서 영혼과 육체, 정신과 물질을 대립적으로 보거나 욕망을 위계화하여 감각적이고 육체적인 쾌락을 절제함으로써 진정한 정신의 자유(영혼의 해방 혹은 상승)와 신적 합일 등의 이상을 실현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실천되었다. 육체적 욕망과 감각적 쾌락 자체를 부정하고 죄악시하는 극단적 금욕주의와 욕망의 통제나 억제와 같은 더 궁극적인 목표를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는 금욕주의가 있다. 주로 단식, 고행, 성적 금욕, 독신, 재산권의 포기, 가족 및 사회적 관계를 포기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개인의 심리적, 신체적 훈련을 강조하는 금욕주의는 역사적으로 수많은 종교와 철학에서 발견된다. 고대 스토아주의나 견유학파 혹은 신플라톤주의 등에서 보이는 철학적 금욕주의와 예수님이나 붓다의 단식과 고행, 금욕적 소종파, 수도원운동, 청교도 윤리, 힌두교나 불교의 수행전통에서 널리 보이는 종교적 금욕주의 등도 있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