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간 뷰포인트
월간 뷰포인트 月刊ビューポイント / Monthly Viewpoint 항목체계 문헌 성격 신일본가정연합의 월간지 발행/간행시기 1987.1.20 창간 / 매월 20일 발행 [정의] 신일본가정연합의 월간지. [내용] 1987년 1월 20일부터 일간지 세카이닛포에서 인기가 많은 기획 시리즈나 기사의 요점을 총합하여 발간하는 월간지이다. 서점을 통해 전국에 유통하고 있으며 전국의 보수파 유식자, 국회의원, 지방의원들도 구독 대상으로 배송되고 있다. 「월간 뷰포인트」는 2019년 5월에 388호가 발행됐다. 일간지 세카이닛포 기사의 요약이 주된 내용이며 저명인사에 의한 논설, 사설, 대역 워싱턴타임스, 논단 시평, 상승기류(칼럼), 미디어워치, 지구 소식, 안보 분석을 전문으로 하는 미국 칼럼니스트의 ‘빌 가츠의 눈’, 월드 스코프, 오키나와 문제, 교육, 문화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컬러 사진이나 세카이닛포가 제공하는 인터넷 방송 ‘패트리어트’의 대담 요지, 구국 구세 비전 등도 함께 게재하고 있다.
-
월간 성화
월간 성화 月刊 成和 항목체계 문헌 성격 17.525센티미터 / 잡지 발행/간행시기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 성화청년회 / 1955.3.27 [정의] 1955년부터 1970년까지 발행된 정기간행물. [내용]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 한국 본부에서 초창기인 1955년부터 1970년까지 발행한 정기간행물이다. 당시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 안에 대표적인 조직이었던 성화기독학생회가 1955년 3월 성화청년회로 이름을 바꾸면서 창간호는 3월 27일 성화학생회의 이름으로 발행되었고, 4월 23일 발행된 제2호는 성화청년회의 이름으로 발행되었다. 6월 5일 발행된 제3호부터 성화기독청년회가 발행하였으며, 1956년 5월에 발행된 제6호부터 성화청년회 문화부에서 발행하는 것으로 정착되었다. 1955년 3월 27일부터 1970년 6월 30일까지 16년 동안 발행되어 초창기 통일교회의 기록이자 대표적인 사료로서 의의를 가지며, 최초의 정기간행물로 정기적인 소식과 말씀을 담아 기관지의 역할을 하였다. 제1호부터 제16호까지는 프린트 및 타자판으로 제작되었고 제17호부터 제26호까지는 인쇄판 신문, 다시 신1호부터 신56호까지는 대판 신문, 제57호부터 제93호까지는 46배판 잡지, 제94호부터 제98호까지는 국판 잡지로 발행되어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했음을 알 수 있다. 창간호의 목차에는 머리말, 설교문, 칼럼 및 기고, 성가, 학생회 소식 등이 16쪽 분량으로 실렸다. 마지막 호인 1970년 6월호는 광언록, 참부모님 말씀, 특집기사, 협회장 말씀, 지구 소개, 지역 자랑, 현대의 교회와 목회, 협회 소식, 수필, 시단 등 130여 쪽의 분량이었다.
-
월간 초교파
월간 초교파 月刊 超敎派 항목체계 역사사건 [정의] 초교파기독교협회가 1977년 3월 10일부터 발간한 초교파 월간지. [내용] 초교파기독교협회의 기관지 「초교파」는 1977년 11월 15일 한국 문화공보부에 등록되어 정식 간행물로 출간되었다. ☞ ‘초교파기독교협회’ 참조
-
월간 회보
월간 회보 月刊 會報 항목체계 문헌 성격 1826센티미터 / 회보 발행/간행시기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 / 1968.11.25 [정의] 한국 교회의 소식을 담아 발행한 월간 소식지. [내용]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 한국 본부에서 1968년부터 1986년까지 한국 교회의 소식을 공유하기 위해 발행한 월간지이다. 1968년 10월 25일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 총무부의 이름으로 제1호를 발행하면서 이전에 한 장의 소식지로 발행되던 ‘종횡 소식’을 ‘회보’로 제호를 변경하여 새롭게 발행하게 되었다고 설명하였다. 매월 25일을 기준으로 한국 교회의 여러 소식을 간추려 식구들에게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식구들을 대상으로 발행하였다. 주요 내용은 참부모님 동정, 협회 본부의 공지 및 본부교회 소식, 지방교회 소식, 헌당식 소식, 수련회 소식, 교회 주소록 변경 및 추가사항 등을 담고 있다. 「회보」는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 산하 목사 이상 공직자와 기관 공직자, 축복가정 등에 배포되었다. 1986년 12월 마지막으로 발행된 제210호는 뉴스 초점, 말씀, 월중 활동보고, 인사발령, 새 사람, 선교 후원회 소식 등을 28쪽의 분량이었다.
-
월드 앤 아이
월드 앤 아이 World & I 항목체계 역사사건 [정의] 워싱턴타임스에서 1985년 12월 18일 창간한 잡지. [내용] 워싱턴타임스에서 자매지로 발간한 월간지이다. 참아버님은 댄버리 옥중에서 하나님을 중심한 자유 민주주의 국가인 미국을 살리기 위해서 워싱턴타임스를 중심하고 주간지 「인사이트」와 월간지 「월드 앤 아이」의 창간을 추진하였다. 정치, 경제, 인문, 예술, 과학 등 각계의 정보를 다루는 인쇄 잡지로 출발하여 2004년까지 출판되었다. ☞ ‘워싱턴타임스’ 참조
-
웨슬레
웨슬레 John Wesley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영국의 종교 개혁가이자 메서디스트(감리교) 교회의 창시자. [내용] 영국의 종교 개혁자이자 신학자로 종교적 체험과 성결한 생활을 강조하였다. 링컨셔 출생인 존 웨슬레는 옥스퍼드의 그리스도교대학에서 수학한 뒤 1728년 사제 서품을 받은 후 동생 찰스 웨슬레와 함께 홀리 클럽(Holy Club)을 만들어 도덕적으로 문란한 사회에서 엄격한 규율을 지키는 메소디스트운동을 펼쳤다. 이후 독일 경건파인 모라비아 교도의 집회에서 죄와 사망에서 구원받았다는 확신을 갖는 뜨거운 회심을 경험하였다. 웨슬레는 자신을 변화시킨 하나님에 대해 설교하며 종교적인 체험과 성결한 생활을 강조하는 신앙운동을 전개하였다. 영국교회는 그의 복음주의운동을 반대하고 핍박하였으나 웨슬레는 거리로 나가 대중들에게 설교하면서 여러 나라로 선교여행을 떠났고, 그 노력의 결실로 1784년 감리교회가 조직되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존 웨슬레를 헤브라이즘 복고운동의 주역들 중 한 명으로 평가한다. 『원리강론』에 따르면 재림주를 맞이하기 위한 준비기간인 근세에 2단계의 헤브라이즘 복고운동이 일어났다. 헤브라이즘 복고운동은 신본주의운동, 즉 종교개혁을 의미한다. 제1차 종교개혁은 루터와 칼뱅을 중심으로 일어났고 제2차 종교개혁은 웨슬레와 폭스, 스웨덴보리를 중심으로 일어났다. 존 웨슬레는 박해 속에서도 제2차 종교개혁을 일으켜 부패한 종교를 초기의 기독교 정신으로 개혁하는 데 공헌한 인물로 평가된다. ☞ ‘제2차 종교개혁’ 참조
-
위경
위경 僞經 / Pseudepigrapha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구약의 히브리 정경이나 외경에 들지 않는 유대교 문서를 총칭해 이르는 말. [내용] ‘가짜 표제’라는 문자적인 의미를 지닌다. ‘가경(假經)’이라고도 한다. 구약의 히브리 정경이나 외경에 들지 않는 B.C. 2세기에서 A.D. 1세기경에 기록된 유대교 문서에 대한 총칭이다. 주로 유대와 알렉산드리아지방에서 히브리어, 아람어, 헬라어 등으로 집필되었다. 구약시대의 위대한 인물을 저자로 삼아 구약 정경을 흉내 낸 것이 대부분이다. 위경에는 ‘이사야 승천기’, ‘모세 승천기’, ‘에녹서’, ‘요벨서’, ‘헬라어 바룩 묵시록’, ‘아스테아스의 편지’, ‘마카베오 3·4서’, ‘솔로몬의 시편’, ‘에녹의 비밀서’, ‘시빌 신탁’, ‘수리아어 바룩 묵시록’, ‘바룩 서신’, ‘12족장의 유언’ 등이 있다. 그 진정성을 인정할 수는 없으나 신·구약 중간기의 유대교와 유대인들의 사상과 생활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한편 불교 전통에서는 인도 이외의 지역에서 제작된 경전, 석가모니 부처가 직접 설하지 않은 경전을 위경이라고 한다. 석가모니 부처가 직접 교설한 것처럼 ‘불설(佛說)’이라는 이름이 앞에 붙었지만 정전(正典)의 진실성이 인정되지 않는 거짓 경전이다. 엄밀한 의미에서 위경은 인도 및 서역에서 결집되어 번역된 것이 아니라 중국 및 동아시아에서 만들어진 경전을 가리킨다. 그러나 위경 이외에도 서역이나 남해 등에서 불교의 보급을 목적으로 토속신앙 등과 결합하여 정통 불교의 교리나 사상과는 다른 내용을 담은 의경(疑經)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위경이라는 말이 사용되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한나라와 위나라 때 인도와 서역에서 전해 온 불경의 한문 번역이 성행하면서부터 위조되거나 유사한 경론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동진(東晉) 때에는 이미 위경이 유포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 유포된 대표적인 불교 위경으로는 ‘불설대목련경(佛說大目連經)’, ‘천지팔양신주경(佛說天地八陽神呪經)’,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 등을 들 수 있다. ‘사십이장경(佛說四十二章經)’도 이 범주에 든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