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한일서
요한일서 요한1書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신약성서의 스물세 번째에 수록된 책. [내용] 사도 요한의 첫 번째 서신이다. 서신의 수신자가 누구인지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는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며, 그리스도임을 부정하는 자는 적그리스도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예수님은 영원한 생명을 약속하였음을 말한다.(2:18-29) 행함과 진실함으로 서로 사랑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3:13-24) 예수님은 육체로 왔음을 확실히 할뿐만 아니라 하나님은 사랑이고, 이러한 사랑의 실천이 재차 강조되고 있다.(7:1-21) 5장 13절에 “내가 하나님의 아들의 이름을 믿는 너희에게 이것을 쓰는 것은 너희로 하여금 너희에게 영생이 있음을 알게 하려 함이라”고 서신의 목적을 밝히고 있다. 『원리강론』은 타락으로 초래된 죽음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하여 요한1서 3장 14절에 사랑치 아니하는 자는 사망에 거한다는 내용의 성구를 인용하고 있다. ☞ ‘요한2서’ 참조
-
욕망
욕망 欲望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무엇을 바라고 원하는 마음. [내용] 하나님으로부터 부여된 창조본성 중 하나로 무엇을 바라고 원하는 마음을 뜻한다. 『원리강론』은 욕망이 선보다도 악으로 나아가기 쉬운 생활환경 가운데 인간이 살고 있으므로 욕망에 대한 본의(本意)를 흐려서 생각하기 쉽다고 지적한다. 인간의 본심은 불의를 맺는 욕망이 자신을 불행으로 이끌어 간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악을 지향하는 욕망을 물리치고 선을 추구하는 욕망을 따라 본심이 기뻐하는 행복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우리가 죄라고 생각하는 욕망은 하나님으로부터 부여된 창조본성이다. 하나님의 창조목적은 기쁨에 있고, 기쁨은 욕망을 채울 때 느껴지는 것이기 때문에 만일 인간에게 욕망이 없다면, 동시에 기쁨도 있을 수 없다. 그리고 욕망이 없다면 하나님의 사랑을 받고자 하는 욕망도, 살고자 하는 욕망도, 선을 행하고자 하는 욕망도, 발전하고자 하는 욕망도 없을 것이기 때문에 하나님의 창조목적과 타락한 인간을 구원하기 위한 하나님의 복귀섭리가 인간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없으며 인간 사회의 유지와 발전도 있을 수 없다. 따라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에서는 인간이 지닌 욕망이 하나님의 뜻을 목적으로 세우고 결과를 맺으면 선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된다. ☞ ‘창조본성’ 참조
-
욥
욥 Job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구약성서 욥기에 등장하는 주인공. [내용] 구약성서 욥기에 나오는 중심인물로 가혹한 시련을 이겨내고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굳게 지킨 의인으로 이해된다. 그는 온전하고 정직하여 하나님을 경외하며 악에서 떠난 사람으로 기록되어 있다.(욥기 1:1) 에스겔 14장 14절을 보면, 구약시대의 노아 및 다니엘과 함께 의인으로 간주된다. 또한 야고보서 5장 11절에는 욥의 인내에 관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욥은 자녀와 재산을 잃고, 몸에 종기가 생기는 시련과 고통 속에서도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지키며, 불신하지 않고 인내의 미덕으로 신앙을 지킨 의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원리강론』은 욥이 아담처럼 자신의 죄악을 품에 숨겨 허물을 가리지 않았다는 성구(욥기 31:33-34)를 인용하면서 아담이 타락한 후 그의 하체를 가렸던 것은 그의 하체가 허물이었음을 의미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욥기’ 참조
-
욥기
욥기 Book of Job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구약성서의 열여덟 번째에 수록된 책. [내용] 욥기는 시문체로 된 시가서로 분류되며, 총 4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련 속에서도 하나님에 대한 신앙을 잃지 않는 욥이라는 인물에 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욥은 아내를 비롯해 7명의 아들과 3명의 딸이 있었으며 부유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자식들과 재산을 잃고 몸에 종기까지 얻은 시련과 고통을 겪었다.(1-2:7) 그의 아내는 이러한 상황에 놓인 욥에게 하나님을 불신하라고 했지만, 욥은 끝까지 하나님을 불신하지 않았다. 또한 욥은 그를 위로하기 위해 찾아온 세 명의 친구들과 그가 겪고 있는 고통의 원인에 관한 대화 속에서 자신이 고난을 받을 이유를 깨닫지 못했다.(3장-31장) 마침내 하나님이 나타나서 욥과 대화를 나누며 그의 한계와 죄성을 깨닫고 회개하도록 하였다. 결국 하나님은 욥이 겪고 있던 병을 낫게 하였고, 이전보다 더 많은 재산을 갖게 하였으며, 7명의 아들과 3명의 딸을 다시 낳고 140세까지 살게 하였다.(38장-42장) 『원리강론』은 아담과 해와가 하체로 범죄하게 되었음을 설명하기 위하여 욥기 31장 33-34절 죄악을 숨겨 허물을 가리게 되는 내용의 성구를 인용하고 있다. ☞ ‘욥’ 참조
-
용평리조트
용평리조트 龍坪리조트 항목체계 기관기업 설립일시 1973.3 설립, 2003.3 통일그룹 인수 설립자 문선명, 한학자 [정의] 스키장, 휴양·숙박시설을 갖춘 종합레저·스포츠 타운과 사계절 복합리조트를 운영하는 기업. [내용] 용평리조트는 2003년 3월 통일그룹에서 인수하여 운영하고 있는 종합 레저·스포츠 타운과 복합리조트 기업이다. 1973년 ㈜고원개발이 설립되어 1975년 12월 대한민국 최초의 현대식 스키장으로 용평스키장을 개장하였다. 수려한 산세를 자랑하는 해발 1,458미터 발왕산 기슭에 위치하여 당시 최고의 스키장 코스를 구현하였으며, 슬로프의 총면적은 1,131,348평방미터(약 34만 평)에 달하였다. 1999년 1월 동계아시아경기대회를 개최하였으며, 2003년 3월 용평월드컵 알파인 스키대회 등을 개최하였고, 2018 평창동계올림픽 성공 유치의 원동력이 되었다. 리조트분야는 1975년 스키장을 개장할 때 드래곤밸리호텔을 개관한 데 이어 1982년 국내 최초의 프리미엄 콘도인 용평콘도를 개관하며 콘도 분양사업에 진출했다. 호텔과 콘도를 시작으로 포레스트레지던스, 버치힐테라스레지던스, 버치힐콘도, 베르데힐콘도 등 프리미엄 콘도와 타워콘도, 빌라콘도, 그린피아콘도, 서해 무창포 비체팰리스 등 대중형 콘도를 함께 개발하여 리조트 운영업을 지속하고 있다. 용평리조트는 특2급 드래곤밸리호텔과 유스호스텔을 포함하여 총 2,578실을 갖춘 국내 단일업체 최대 규모의 리조트이다. 이와 함께 1985년 9홀 규모의 대중골프장을 시작으로 1989년 5월 18홀 규모의 용평골프장을 개장하였으며, 2002년 10월 18홀의 버치힐 골프클럽(18H)을 개장하여 총 45홀의 골프장을 운영하고 있다. 워터파크 및 부대시설로는 총 3,500명의 인원을 동시에 수용 가능한 워터파크를 비롯하여 발왕산 정상까지 운행하는 왕복 7.4킬로미터의 레인보우곤도라, 마운틴코스터, 산악자전거, 사륜오토바이 등의 시설을 갖추고 운영 중이다. 또한 5,000여 석 규모의 용평돔과 3개의 대형 그랜드볼룸, 최첨단 OA시스템을 갖춘 20여 개의 중소형 세미나실을 기반으로 국제회의 및 학술단체를 유치하고 있다. 2000년 2월 ㈜용평리조트 법인이 설립된 후 2003년 통일그룹에서 인수하여 운영하고 있다. 2007년 3년 연속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KCSI) 스키장부문 1위, 2008년 IPS(산업정책연구원) 브랜드올림픽 슈퍼브랜드 스키장부문 7년 연속 1위, 2009년 4년 연속 대한민국 퍼스트 브랜드 대상, 그리고 2011년 리조트업계 최초의 녹색기업에 선정되었다.
-
우간다
우간다 항목체계 해외 성격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선교국 [정의]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신아프리카권역 선교국. [내용] 아프리카 동부에 위치하며 적도상에 있는 국가로 풍요로운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어 ‘아프리카의 진주’로 불리고 있다. 그러나 아프리카의 검은 히틀러로 불렸던 이디 아민이 1971년부터 1978년 집권하면서 경제적으로 낙후되었으며, 1986년부터 요웨리 무세베니가 장기 독재를 하면서 이에 저항하는 기독교계 반정부군인 ‘신의 저항군(LRA)’과 내전이 현재까지 이어져 정치적 불안과 기아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선교 기반은 정착되지 못했으나, 청년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분야에서 활동 기반을 만들고 있다. 1999년 참가정세계화전진대회 세계대회가 개최되었으며, 2015년 세계평화청년연합 우간다지부의 주최로 ‘우간다 순결한 사랑 클럽’ 결성식이 우간다 평화고등학교에서 개최되기도 했다. 2016년 우간다 원리연구회 주최로 환경문제에 대처하는 리더십이라는 주제로 국제청년지도자회의가 개최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2016년 우간다 캄팔라대학교에서 원리연구회 창단식이 있었다. 같은 해 우간다 캄팔라평화대사관에서 신종족메시아 축복식이 개최되어 성직자 가정 2쌍을 포함한 6쌍이 참여하였다. 같은 해 우간다 가정연합의 주최로 순결클럽캠프가 ‘세계적인 평화와 봉사 문화를 위해 순결한 지도자 키우기’라는 주제로 개최되어 17개 학교에서 47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
우담바라
우담바라 優曇婆羅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3,000년 만에 한 번 핀다는 불교 경전 속 전설의 꽃. [내용] 불교 경전에서 여래나 전륜성왕이 나타날 때 꽃이 핀다는 식물이다. 따라서 이 꽃이 사람들의 눈에 띄면 매우 상서로운 징조로 받아들여진다. 영서화(靈瑞華) 또는 공기화(空起花)라고도 한다. 3천 년 만에 한 번 꽃이 핀다는 등 매우 드물고 희귀하다는 비유 또는 구원의 뜻으로 여러 불교 경전들에서 자주 쓰인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