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쌍합칠팔희년태평성대 하나님 평화의 왕권 억만세 및 부활 완성의 날 선포
쌍합칠팔희년태평성대 하나님 평화의 왕권 억만세 및 부활 완성의 날 선포 雙合七八稀年太平聖代 하나님 平和의 王權 億萬歲 및 復活 完成의 날 宣布 항목체계 역사사건 [정의] 참부모님이 헬기 사고에서 기적적으로 생환한 후 부활하여 승리하였음을 공표한 선포식. [내용] 참부모님이 2008년 8월 7일 천정궁에서 일본에서 온 식구 1천여 명을 포함한 2000여 명의 식구들이 참석한 가운데 선포한 기념일이다. 이 날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주요 명절인 칠팔절 12회 기념일이었다. 2008년 7월 19일 참부모님과 손자, 손녀 등 일행 14명을 태운 헬기가 천성산 중턱 천정궁 바로 아래에 추락한 뒤 폭발한 사고가 일어났다. 참부모님과 참가정은 하나님의 보호하심 속에서 기적적으로 생환하였다. 참부모님은 헬기 사고가 일어났던 당일을 중생 완성의 날, 21일이 지난 8월 7일을 부활 완성의 날, 40일째 되는 8월 27일을 영생 완성의 날로 선포하였다. 부활 완성의 날은 참부모님이 헬기 사고에서 생환한 이후 죽음에서 거듭났고 영육 아우른 완전한 실체로 부활하여 새 삶을 살게 되었음을 공표한 날이다. 이후 영생 완성의 날은 영생으로 영원한 삶을 살게 되는 과정을 완성하였음을 선포하는 의식이었다. ☞ ‘칠팔절’, ‘영생완성의 날 선포’ 참조
-
씨족사회
씨족사회 氏族社會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혈연관계의 계통을 중심으로 형성된 사회. [내용] 『원리강론』은 복귀섭리의 관점에서 역사 발전을 설명하며, 하나님이 아브라함을 부르고 그로부터 하나님의 뜻을 받을 수 있는 자녀를 번식케 함으로써 이스라엘 씨족사회를 형성하였다고 본다. 사탄을 중심하고 조성된 원시 공동사회에서 분열된 인간을 중심하고 씨족사회가 형성된 것은 하나님이 이러한 죄악 세계에서 선한 개체를 찾아 그들을 중심하고 선의 씨족사회, 나아가 선의 왕국을 건설함으로써 메시아를 맞이하기 위한 선의 판도와 주권을 수립하기 위함이었다. 사탄은 이러한 뜻을 미리 알고 그러한 형의 노정을 앞질러 걸어 나왔다. 1·A
-
아가서
아가서 雅歌 / Song of songs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구약성서의 스물두 번째 권이자 시가서 중 하나. [내용] 아가(雅歌)는 솔로몬이 술람미 여인에게 보낸 사랑의 편지이다. 헤브라이어 원제는 「노래의 노래」(Song of Songs)로서 가장 좋은 노래라는 뜻이다. 아가서로 불리기도 하며, 구약성서 중에서 성문서 또는 시가서에 포함된다. 아가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다. 기독교 진보주의에서는 아가를 남녀 간의 사랑 자체를 아름답게 묘사한 것으로 본다. 이에 비하여 복음주의나 기독교 근본주의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 사랑을 남녀의 사랑에 빗대어 표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
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만드로스 Anaximandros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고대 그리스의 유물론 철학자. [내용] 만물의 근원을 물이라고 본 탈레스의 제자로 알려져 있다. 아낙시만드로스는 모든 만물의 근원을 아페이론(apeiron)에서 찾았다. 이것은 무한한 것으로 없어지지 않는 불멸의 신적인 성질을 지닌 무한정자이며 추상적인 개념이다. 그는 아페이론으로부터 서로 성질이 대립되는 차가운 것과 따뜻한 것, 건조한 것과 습한 것이 분리되어 나온다고 보았다. 이러한 대립적인 성질이 섞이면서 만물을 형성하고, 형성된 만물이 소멸되면 다시 아페이론으로 돌아간다고 하였다. 『통일사상요강』은 가치론에서 그리스시대의 유물론적 가치관의 사례로 아낙시만드로스를 간단하게 언급하고 있다. ☞ ‘유물론’ 참조
-
아낙시메네스
아낙시메네스 Anaximenes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내용]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밀레토스학파이며, 만물의 근원을 아페이론(apeiron)으로 본 아낙시만드로스의 제자이다. 아낙시메네스는 만물의 근원을 공기라고 하였다. 그는 공기가 뭉쳐지고 흩어지는 밀도와 이에 따른 온도의 상승과 하강에 의하여 바람, 구름, 흙, 불 등이 생성된다고 보았다. 『통일사상요강』은 가치론에서 그리스시대의 유물론적 가치관의 사례로 아낙시메네스를 간단하게 언급하고 있다. ☞ ‘아낙시만드로스’ 참조
-
아넷 루
아넷 루 Annette Lu 항목체계 해외 [정의] 대만의 부총통. [내용] 대만의 부총통이다. 천주평화연합 창설 대만대회 때 환영사를 하고 참부모님과 환담을 나누었다. 2006년 6월에 개최된 제2회 아시아태평양 도서국 정상회의 때 천주평화연합 관계자들과 회담을 나누었다. 2011년 유니버설발레단 심청 공연 때 문훈숙 단장에게 꽃다발을 건네는 등 대만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에 우호적이었던 정치인이다.
-
아노미
아노미 Anomie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사회적 규범의 동요나 붕괴로 일어나는 혼돈 상태. [내용] 사회적 규범의 동요, 이완, 붕괴 등에 의하여 일어나는 혼돈 상태 또는 구성원의 욕구나 행위의 무규제 상태를 가리킨다. 현대 대중사회의 부정적 특성 중 하나로 거론된다. 무질서 상태 또는 신의(神意)나 법의 무시를 뜻하는 그리스어 ‘아노미아’(anomia)에서 유래된 말이다. 19세기 E. 뒤르켐이 『사회분업론』(1893)과 『자살론』(1897)에서 “구성원의 행위를 규제하는 공통의 가치나 도덕적 규범이 상실된 혼돈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사용함으로써 널리 알려진 용어이다. 뒤르켐은 사회적 분업의 발달이 한편으로 사회의 유기적 연대를 강화하지만, 이상(異常)상태에서는 사회의 전체적 의존관계가 교란되어 무규제의 분업이 사회적 아노미 상황의 원인이 된다고 주장했다. 사람들이 아노미 상태에 놓이게 되면, 어떤 안정된 제도에도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고 정신적인 불안으로 수동적인 행동을 하거나 극단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또한 자기 자신의 삶에서 아무런 의미도 발견하지 못하고, 주변 사람들이나 자신이 속한 집단이 자신과는 무관한 것으로 생각하게 된다. 뒤르켐 이후에도 아노미라는 말은 현대 사회학에서 사회 해체 현상을 분석하고 기술하는 유용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