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판주
심판주 審判主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성서에 언급된 심판의 주체. [내용] 선악을 판단하고 심판하는 주체로 예수 그리스도를 의미한다. 신약성서 야고보서 5장 9절을 보면, 예수님이 심판을 하는 심판주가 된다. 요한복음 5장 22절에 의하면, 예수님의 심판 권한은 하나님으로부터 위임된 것이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원리강론』에서 예수님이 심판주인 것은 사탄을 중심한 죄악의 세계를 멸하고 하나님을 중심한 이상세계를 복귀하기 위함이라고 본다. 베드로후서 3장 12절, 누가복음 12장 49절에 언급된 불 심판은 문자적인 불이 아니라 예수님의 말씀에 의한 심판을 뜻한다. ☞ ‘말씀 심판’, ‘불 심판’ 참조
-
십계명
십계명 十誡命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하나님이 모세를 통해 준 10가지의 계명. [내용] 하나님이 시내산에서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민족에게 준 10개조의 계명이다. 십계명은 구약성서 출애급기 20장과 신명기 5장에 나온다. 하나님은 시내산에서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민족이 지켜야 할 열 가지 계명을 주었다. 십계명은 하나님과 인간에 대한 계명으로 첫째로 하나님 외에 다른 신들을 섬기지 말라, 둘째로 우상을 만들지 말라, 셋째로 하나님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말라, 넷째로 안식일을 거룩히 지키라, 다섯째로 부모를 공경하라, 여섯째로 살인하지 말라, 일곱째로 간음하지 말라, 여덟째로 도둑질하지 말라, 아홉째로 이웃에 대해 거짓 증언하지 말라, 열째로 남의 것을 탐내지 말라는 가르침이다. 모세가 십계명이 새겨진 두 석판을 가지고 시내산에서 내려와 이스라엘 민족 앞으로 나아갔을 때 그들은 아론을 시켜 금송아지를 만들고, 그것이 이스라엘 민족을 애급에서 인도한 신이라며 섬기고 있었다.(출애급기 32:4) 이것을 본 모세는 대로(大怒)하여 손에 들었던 석판들을 산 아래로 던져 깨뜨려 버리고 말았다.(출애급기 32:19) 모세가 다시 40일 주야를 금식하고, 하나님은 다시 십계명을 기록하여 주었다.(출애급기 34:28) 모세가 이 석판을 가지고 다시 이스라엘 민족 앞에 나타났을 때, 비로소 그들은 모세를 받들게 되었다. 『원리강론』은 하나님이 구약시대의 구원섭리를 위한 인간책임분담의 조건으로 십계명을 준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
십보라
십보라 Zipporah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출애급기에 등장하는 모세의 아내. [내용] 미디안 제사장 이드로의 딸이자 모세의 아내이다. 출애급기 4장 24-26절을 보면 모세가 하나님의 명령을 받고 미디안에서 애급으로 들어갈 때, 하나님이 나타나서 모세를 죽이려고 하였다. 그때 십보라가 아들에게 할례를 함으로써 위기를 모면하였다. 출애급기 18장 1-7절을 보면 십보라는 모세가 애급에 있는 동안 아버지 이드로와 두 아들과 함께 있었으며, 모세가 애급에서 나온 후 르비딤에서 그와 재회하였다. 『원리강론』에는 십보라가 아들에게 행한 할례의 의미가 언급되어 있다. ☞ ‘할례’ 참조
-
십의 삼조
십의 삼조 十의 三條 항목체계 의례상징 [정의] 소득 중에서 십분의 삼을 하나님에게 기쁘게 봉헌하는 헌금. [내용] 소득 중에서 십분의 삼을 하나님에게 감사하며 기쁘게 봉헌하는 헌금을 의미한다. 참부모님은 하나는 자기 나라를 위해서, 하나는 세계를 위해서, 하나는 하나님을 위해서 바쳐야 한다고 말씀하며 모든 축복가정이 십의 삼조를 생활화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십의 삼조에는 이 땅의 모든 것이 창조주이신 하나님의 소유이며 하나님과 나, 이웃이 참사랑에 의해 만물을 공동으로 소유한다는 공생의 의미가 담겨 있다. 하나님에게 바친 십의 삼조는 사회적 약자를 돕거나 참가정운동, 국경 철폐운동, 평준화운동 등 하나님의 창조이상인 평화세계를 실현해 나가는 사회운동의 기금으로 사용된다. ☞ ‘십일조’ 참조
-
십일조
십일조 十一條 항목체계 의례상징 [정의] 소득 중에서 십분의 일을 하나님에게 감사하며 드리는 헌금. [내용] 소득이나 수입 중에서 십분의 일을 하나님에게 감사하며 구별하여 드리는 헌금을 의미한다. 하나님은 피조세계의 주인이며, 인간은 하나님에게 속한 만물과 재화를 하나님의 은혜와 축복 속에 무상으로 사용하며 살아간다. 이처럼 우리 일상의 모든 재산과 소득은 창조주 하나님에게 속한 것이며, 하나님이 준 것이다. 십일조는 모든 것이 하나님으로부터 왔음을 인정하고 감사하며 우리의 전부를 하나님에게 봉헌한다는 신앙적 의미를 지닌다. 하나님은 십일조를 받고 소득의 전체를 받았다는 조건을 세운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식구들은 월별로 십일조를 드리며 신앙의 전통을 지키고 있다. ☞ ‘십의 삼조’ 참조
-
십자가
십자가 十字架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십자 모양의 사형 틀. [내용] 로마의 시대에 사형을 집행할 때 사용한 형구(刑具)이다. 십자가를 이용한 사형은 로마에 도입되어 로마 황제의 권위에 도전한 반역자나 극악한 범죄자에게 집행되었다. 그러나 기독교를 공인한 콘스탄티누스는 337년 이러한 십자가 형을 철폐하였다. 십자가는 역사 속에서 여러 형태가 있었으나 수직막대의 윗부분에 가로막대가 약간 아래에 있는 라틴 십자가(Latin Cross)라고 불리는 자형이 대표적이다. 마태복음 27장 37절 보면, 예수님이 죽음을 맞이한 십자가 윗부분에 ‘유대인의 왕 예수님’이라는 죄패가 있었다. 기독교의 신앙에서 예수님이 죽임을 당한 십자가는 대속과 구원의 상징이 되고 있다. 따라서 십자가는 보편적으로 기독교를 상징하기도 한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기독교와 달리 십자가를 타락한 인간을 위한 완전한 구원의 상징으로 여기지 않는다. 왜냐하면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은 타락한 인간의 구원을 위하여 필연적으로 예정된 것은 아니며 예수님을 메시아로 믿지 못한 유대인의 불신과 무지에 의하여 초래된 결과라고 보기 때문이다. 예수님의 재림이 약속된 것은 십자가 죽음이 영육 아우른 완전한 구원이 아닌 영적 구원, 곧 영적 중생만을 가능케 하였기 때문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
십자가 내리기 운동
십자가 내리기 운동 Putting down the Cross Movement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예수님의 죽음을 의미하는 십자가를 내리는 운동. [내용]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에 대한 원리적 해석을 바탕으로 십자가를 내리자는 신앙운동이다. 2003년 4월 18일 그리스도로 고백되는 예수님의 수난과 십자가 죽음을 기념하는 고난의 주일에 미국 전역 123개 교회에서 십자가를 내리는 의식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십자가 내리기 운동은 2002년 5월 21일 워싱턴타임스 창간 20주년 기념 만찬회에서 십자가는 하나님의 승리가 아닌 사탄의 승리라는 참부모님의 말씀에 감명을 받은 기독교 목사들을 주축으로 시작되었다. 이들은 미국성직지도자회의(ACLC)를 중심으로 십자가를 왕관으로 바꾸자고 호소하며 이 운동을 적극 추진하였다. 2003년 5월 12일에는 미국에서 십자가를 내리는 의식을 실시한 목사들을 포함한 총 132명이 참석한 가운데 중동지역의 평화를 기원하는 예루살렘 평화대행진이 개최되기도 하였다. ☞ ‘십자가’ 참조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