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체기대
실체기대 實體基臺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믿음의 기대 위에 타락성을 벗기 위한 탕감조건을 세우는 것. [내용] 타락한 인간이 원죄를 청산해 줄 메시아를 맞이하기 위해 세워야 할 기대 중 하나이다. 『원리강론』에 의하면, 아담이 하나님의 말씀을 믿고 순종하여 그의 성장 기간을 거침으로써 믿음의 기대를 세웠더라면 그 기대 위에서 하나님과 일체가 되어 실체기대를 조성함으로써 창조본성을 완성한 말씀의 완성 실체가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아담은 성장 기간에서 타락하여 이러한 기대를 이루지 못하고 말았다. 이에 타락한 인간은 창조목적을 완성하기 위하여 믿음의 기대를 탕감복귀한 터전 위에서 인간시조가 이루지 못하였던 완성 실체를 이루어야 한다. 그러나 타락한 인간은 메시아를 통하여 원죄를 벗지 않고서는 완성 실체가 될 수 없다. 타락한 인간이 메시아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믿음의 기대를 탕감복귀한 터전 위에서 실체기대를 세움으로써 메시아를 위한 기대를 세워야 한다. 타락한 인간은 이와 같이 메시아를 맞아 원죄를 벗고 인간시조의 타락하기 전 입장으로 복귀한 후 하나님의 심정을 중심하고 메시아와 일체가 되어 인간시조가 타락함으로써 남아진 성장 기간을 다 지나서야 완성 실체가 되는 것이다. 타락한 인간이 실체기대를 세우기 위해서는 타락성을 가지게 된 것과 반대의 경로를 취하는 탕감조건을 세워야 한다. 첫째, 천사장의 입장에 있는 가인이 아담의 입장에 있는 아벨을 사랑하여서 하나님의 입장과 같은 입장을 취해야 한다. 둘째, 천사장의 입장에 있는 가인이 아담의 입장에 있는 아벨을 중보로 세워 그를 통하여 하나님의 사랑을 받는 입장을 취함으로써 자기의 위치를 지켜야 한다. 셋째, 천사장의 입장에 있는 가인이 아담의 입장에 있는 아벨에게 순종하고 굴복하여 그의 주관을 받는 입장에 섬으로써 주관성의 법도를 바로 세워야 한다. 넷째, 천사장의 입장에 있는 가인이 자기보다도 하나님 앞에 더욱 가까이 서 있는 아벨의 상대적인 입장을 취하여 아벨로부터 선의 뜻을 전해 받음으로써 선을 번식하는 입장을 조성해야 한다. ☞ ‘믿음의 기대’ 참조
-
실체대상
실체대상 實體對象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하나님에 의해 창조된 인간을 포함한 피조물을 일컫는 용어. [내용] 하나님에 의해 변하지 않고 실존하는 개체로 창조된 대상을 말한다. 『원리강론』은 하나님의 상징적 실체대상으로 피조만물이 창조되었으며, 형상적 실체대상으로 인간이 창조되었다고 설명한다. 즉 하나님을 상징적으로 닮은 실체로 피조만물이 창조되었으며, 하나님을 형상적으로 닮은 실체로 인간이 창조되었다는 것이다. 실체대상이라는 말에는 하나님의 참사랑을 받을 수 있는 변하지 않는 실존체이자 대상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 ‘상징적 실체대상’, ‘형상적 실체대상’ 참조
-
실체말씀
실체말씀 實體말씀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하나님과 최종적 일체를 이룬 참부모 메시아의 말씀. [내용] 2010년 7월 8일 ‘천지인참부모 정착 실체말씀 선포대회’가 천정궁에서 개최되었다. 이후 본대회는 ‘천지인참부모 정착 실체말씀 선포 천주대회’라는 명칭으로 여러 차례 개최되었다. 이로 인하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에서 본격적으로 실체말씀이란 용어가 등장하게 되었다. 참부모님은 여러 차례 거듭된 본대회를 통해 최종적 일체를 이루어 복귀섭리를 완성·완결·완료하고 참부모 메시아로서의 모든 책임과 사명을 완성했음을 선포하였다. 이는 하나님이 참부모의 체를 쓰고 지상에서 말씀하고 치리하는 시대가 개막되었음을 내포한다. 따라서 실체말씀은 참부모 메시아의 말씀으로서 하나님의 말씀을 함의하기도 한다. ☞ ‘천지인참부모 정착 실체말씀 선포대회’ 참조
-
실체부활의 날
실체부활의 날 實體復活의 날 항목체계 역사사건 [정의] 실체부활권의 확립을 선포한 기념일. [내용] 참부모님이 1961년 4월 17일 오후 7시 서울 동작동 산중 화장사(현 호국지장사) 뒤에서 467명이 참석한 가운데 선포한 기념일이다. 참부모님의 장녀인 문예진의 탄생 80일을 맞아 오후 7시를 기해 제1·제2·제3 이스라엘이 참부모의 심정을 통해 하나 되어 실체로 부활하는 선서식이 거행되었다. 참부모의 날과 참자녀의 날을 선포한 터전 위에 참부모님과 참부모님의 자녀가 태어남으로써 가정적인 실체부활권이 확립되었다. 이 날의 선포로 식구들은 1960년 4월 17일의 심정부활의 기대 위에 실체부활권에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 ‘심정부활의 날’ 참조
-
실체사탄 굴복의식
실체사탄 굴복의식 實體사탄 屈伏儀式 항목체계 역사사건 [정의] 실체사탄을 굴복시키기 위해 거행한 섭리적 의식. [내용] 참부모님이 1964년 6월 9일 화요일 전본부교회에서 3차에 걸쳐 진행한 섭리적 선포식이다. 참부모님은 오전 7시에 심정 심판의 조건을 세우는 제1차식을 거행하였으며, 낮 12시에 말씀 심판의 조건을 세우는 제2차식을 거행하였다. 밤 11시에는 인격 심판의 조건을 세우고 실체사탄을 굴복하는 제3차식을 거행하였다. 제3차식에서는 모세가 우상을 태워 물에 타서 먹은 것처럼 사탄을 태워 먹는 의미로 참아버님이 상징적인 물건을 태워 마시는 조건을 세웠다. 아벨이 희생당하고 고통을 당한 것을 해원하고 하나님이 선 주권을 갖고 심정을 중심으로 세계를 통치한다는 의미가 담긴 의식이었다. ☞ ‘선 주권’ 참조
-
실체성신
실체성신 實體聖神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성신의 실체로 온 참어머니. [내용]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예수님은 후 아담으로서 참아버지이며, 성신은 후 해와로서 참어머니라고 한다. 원죄를 지닌 타락한 인간은 참부모를 통하여 중생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참아버지인 예수님은 혼자 타락한 자녀들을 선의 자녀로 다시 낳아 줄 수 없으므로 참어머니인 성신과 함께 영적인 구원의 사역을 하게 된다. 성신은 여성신(女性神)으로 위로와 감동의 역사를 하며, 해와가 지은 죄를 탕감복귀하기 위하여 타락한 인간의 죄를 씻는 역사를 하게 된다. 예수님과 성신은 영적으로만 타락한 인간의 중생을 가능케 하므로 타락한 인간은 육적으로 원죄가 남아 있다. 따라서 하나님을 중심한 예수님과 성신은 타락한 인간을 영육 아울러 중생케 하는 구원의 사명을 완수하기 위하여 실체적으로 지상에 재림하여야 한다. 실체성신은 영적으로만 존재하는 성신의 실체적인 지상 현현을 함의하고 있다. ☞ ‘한학자’, ‘참어머니’ 참조
-
실체성전
실체성전 實體聖殿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하나님이 거할 수 있는 창조목적을 완성한 인간. [내용] 하나님의 형상적 실체로 창조된 인간이 창조목적을 완성하면 하나님이 거하는 실체성전이 된다. 이렇게 창조목적을 완성한 인간을 하나님의 실체성전이라고 한다. 타락으로 인해 하나님의 성전이 되지 못한 인간에게 성전이 필요하게 되었다. 성전은 예수님과 성신의 형상적 표시체로서 실체성전인 메시아가 강림할 때까지 필요한 것이었다. 예수님은 제1차 시험에 승리하여 개성을 복귀한 실체성전으로 성전의 주인공 입장을 확립하였다. 그러나 그 뜻을 이루지 못하고 십자가에 매달린 지 3일 만에 부활하게 되었다. 제자들은 부활한 예수님을 받들어 영적인 성전으로 모시게 되었는데, 예수님이 재림한 이후에야 실체성전으로 모실 수 있게 돼 있다. 따라서 재림주님은 실체성전으로 와서 만왕의 왕이 되어 왕국을 건설해야 될 형상적 노정이 남아 있었다. ☞ 성전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