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흥종교연구모임
신흥종교연구모임 新興宗敎硏究모임 항목체계 기관기업 설립일시 1968.9.9 설립자 문선명, 한학자 [정의] 통일교회와 기독교 지도자들이 신흥종교의 연구를 위하여 만든 모임. [내용] 통일교회와 기독교 지도자들의 종교 간 대화 모임이자 신흥종교의 연구 모임이다. 1968년 9월 9일부터 10일까지 서울 우이동 소재 크리스천아카데미하우스에서 통일교회 지도자와 기성 기독교계 지도자 및 학계 권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신흥종교연구모임이 개최되었다. 주최자인 아카데미 원장 강원용 박사를 비롯하여 김재준 한국신학대학 명예학장, 홍현설 감리교신학대학장, 안병무 중앙신학대 학장 등 학계 권위자 40명과 참아버님을 비롯한 유효원, 김영휘, 이재석, 김원필 등 10명의 통일교회 측 인사, 그리고 10여 명의 기자 등 모두 70여 명이 참가하였다. 모임은 강원용 박사의 인사와 자기소개, 참아버님의 인사, 유효원 통일교회 협회장의 통일원리 소개로 진행되었다. 신흥종교연구모임은 통일교와 기독교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중요한 대화 모임으로 초종교운동의 기반이 되었다.
-
실낙원
실낙원 失樂園 / Paradise Lost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영국의 시인 존 밀턴이 쓴 서사시. [내용] 존 밀턴이 쓴 서사시로서 인간의 타락과 그로 말미암은 메시아의 구원을 다루고 있다. 작자의 실명 후 구술로 완성한 작품이다. 구약성서를 소재로 아담과 하와의 타락과 낙원 추방을 묘사하여 인간의 원죄를 주제로 하고 있다. 1, 2권에서는 신에 반역하여 지옥에 떨어져 낙원에 사는 아담과 하와를 유혹하여 복수하려는 사탄을 그렸고, 3권에서는 천상의 소식, 4권에서는 에덴 낙원의 축복을 노래했다. 5-8권에서는 천사 라파엘이 아담에게 사탄의 반역과 천지창조의 전말을 이야기하여 경고하지만, 9권에서 하와는 뱀으로 변신한 사탄의 유혹에 넘어가고 만다. 10권에서는 죄를 지은 후에 찾아오는 재화(災禍), 11-12권에서는 인류의 역사와 구원의 예언이 묘사되며, 아담과 하와는 신의 섭리를 믿으며 낙원을 떠난다. 존 밀턴은 이 작품으로 셰익스피어 다음가는 대시인이라는 지위를 얻었으며, 이 작품에 이어 『복낙원』(Paradise Regained)을 썼다.
-
실용주의
실용주의 實用主義 / Pragmatism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현실 생활에 대한 유용성을 가치판단의 기준으로 중시하는 철학. [내용] 20세기 초 미국을 중심으로 발달하였으며, 프래그머티즘(Pragmatism)이라고도 한다. 듀이(John Dewey, 1859-1952)에 의해 대표되는 프래그머티즘은 현실 생활에 대한 유용성을 가치판단의 기준으로 삼았다. 따라서 진, 선, 미와 같은 가치 개념도 사물을 유효하게 처리하기 위한 수단이요, 도구에 불과하다고 주장하였다. 즉 도덕이나 윤리도 변화하고 성장하며, 불변의 고정적이며 절대적인 가치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무엇이 가치 있는 것인가는 사람에 따라 다르며, 비록 동일 인물에 있어서도 때에 따라 달라진다고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듀이의 입장을 가리켜 상대적인 가치다원론이라고 한다. 실용주의는 『통일사상요강』의 가치론과 윤리론에서 다루어진다. ☞ ‘프래그머티즘’ 참조
-
실재론
실재론 實在論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인식론에서 인식 대상이 인식 주체의 의식이나 주관과 독립하여 객관적으로 존재한다는 입장. [내용] 관념론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인식의 대상이 인식 주체의 인식 작용에서 벗어나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주장이다. 실재론은 인식의 대상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서 다양한 입장이 존재한다. 『통일사상요강』은 실재론을 소박실재론, 과학적 실재론, 관념적 실재론, 변증법적 유물론으로 구별하고 있다. 소박실재론은 자연적 실재론이라고도 하며 물질로 되어 있는 대상이 주관에 대하여 독립해 있다는 입장으로서 우리의 눈에 보이는 그대로 사물이 존재한다는 상식적인 견해를 말한다. 과학적 실재론은 대상이 주관과 독립하여 존재하고 있는데 감각적 인식 그대로는 객관적 인식이 될 수 없으며, 감각을 초월한 오성(悟性)의 작용에 의해 대상으로부터 얻은 경험적 사실에 과학적인 반성을 가함으로써 실재를 바르게 알 수 있다는 견해이다. 예를 들어 시각상의 번갯불과 청각상의 천둥이 과학적으로는 공중에서 일어나는 방전현상에 불과하다. 관념적 실재론은 객관적 관념론이라고도 한다. 대상의 본질은 인간의 의식을 초월한 정신적, 객관적인 것이라는 견해를 말한다. 즉 정신은 인간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출현하기 전부터 세계의 근원으로서 존재하였으며, 이 근원적인 정신이야말로 세계의 참된 실재로서 우주의 원형이며 만물은 그 표현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는 입장이다. 예컨대 플라톤은 사물의 본질인 이데아를 참된 실재로 생각하면서 세계는 이데아의 그림자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 헤겔은 세계를 절대정신의 자기전개라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변증법적 유물론도 대상이 의식에서 독립하여 존재하며, 그 의식에 반영된 객관적 실재라고 보기 때문에 실재론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 ‘관념론’ 참조
-
실존주의
실존주의 實存主義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실존의 구조와 내용 그리고 본질을 밝히려는 철학. [내용] 19세기 합리주의와 실증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나타난 철학사상으로서 인간의 특수한 개별적이며 주체적인 면을 다루고 있다. 인간 본래의 모습을 추구한 대표적인 철학자들이 실존주의자들이다. 이러한 실존주의자들은 신을 긍정하는 유신론적 실존주의와 신을 부정하는 무신론적 실존주의로 구별되기도 한다. 실존주의자들에 의하면, 인간은 현실 사회 속에서 본래의 모습을 잃어버리고 절망하거나 불안에 사로잡혀 있다. 그리하여 실존주의자들은 인간이 어떻게 해야 그러한 절망이나 불안에서 해방될 수 있는가를 찾고자 하였다. 『통일사상요강』에서는 대표적인 실존주의자로 키에르케고르, 니체, 야스퍼스, 하이데거, 사르트르가 소개되고 있다.
-
실천신학
실천신학 實踐神學 / Practical theology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교회 활동의 실천부분에 대해서 연구하는 신학의 한 분야. [내용] 교회 활동의 실천부분에 관한 이론을 주로 연구하는 신학의 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목회신학이 그 근저가 되는데 목회뿐만 아니라 설교, 예배, 교회법, 선교, 교회교육학 등을 망라한다. 학문다운 면모와 위치를 확립한 것은 20세기 중반 이후라고 할 수 있지만, 실천신학의 역사는 이미 신약성서에서 시작됐다. 초대교회 당시의 ‘디다케(Didache)’는 예배학, 신조학, 교리문답, 성직자론, 교회의 기능 등을 다루었다. 중세의 실천신학은 주로 예전학과 교회법에 치중했으며, 종교개혁 이후부터 목회학이 관심의 초점이 되었고, 설교가 신학적 연구의 주된 대상이 되었다. 18세기말부터 19세기 초에는 실천신학의 학문적 논의가 시작되어 ‘실천신학’이란 용어가 공식 사용되기 시작했고, 후반에는 실증적 연구가 깊어졌다. 20세기에 들어와서는 이론보다 실용주의적인 학문으로 발전하였다. 현대신학의 원조 또는 실천신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쉴라이에르마허(F. Schleiermacher, 1768-1834년)는 일찍이 이 학문을 모든 ‘신학의 왕관’이라고 표현했다. 실천신학은 다른 모든 신학의 현실적인 적용이기 때문이다.
-
실체
실체 實體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실존하며 변하지 않는 어떤 대상의 진정한 정체나 본질. [내용] 일반적으로 실존하며 변하지 않는 어떤 대상의 진정한 정체나 본질을 칭한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실존하며 변하지 않는 본질이라는 뜻으로 무형 실체세계와 유형 실체세계로 세계를 설명한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피조물에 있어서 보이지 않는 내성인 성상과 보이는 외형인 형상은 각 개체의 구성 부분이 되고 있으므로 성상이나 형상 그 자체도 또한 실체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마치 자동차도 제작물, 즉 실체이며 자동차의 구성 부분인 부품, 예를 들면 타이어나 트랜스미션 등도 제작물인 것과 같다. 따라서 인간의 성상과 형상도 각각 실체의 개념에 포함된다. 『원리강론』에는 실체기대, 실체노정, 실체대상, 실체성전, 실체세계, 실체헌제 등 실체와 관련된 용어가 자주 사용되고 있다. 『통일사상요강』에서 실체는 피조물, 개체, 육신을 쓴 인간, 물질적 존재 등의 뜻을 지닌 용어로 사용된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