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정통주의
신정통주의 新正統主義 / Neo-orthodoxy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19세기 자유주의신학에 대한 반동으로 칼 바르트에 의하여 주창된 신학 사상. [내용] 19세기의 자유주의신학에 대한 반동으로 제1차 세계대전 직후 스위스 신학자인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년)가 주창한 신학 사상이다. 성서, 신조, 신학에서 전통적인 용어를 사용하며 신학적 모티브가 종교개혁의 원리들에서 나왔기 때문에 신정통주의라고 하였다. 19세기 자유주의신학은 과학적인 발명과 가설을 수용했는데, 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과학적인 문화에 대한 신뢰가 쇠퇴하면서 자유주의신학에 대한 반동이 일어났다. 신정통주의는 자유주의신학의 내재성을 비판하고 초월성을 강조하기는 하지만, 과학적 탐구와 가설을 정당화하고 성경 비평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실제로는 정통주의보다 자유주의적 성향이 강하다. 신개혁주의, 위기신학, 변증법적 신학, 말씀의 신학이라고도 한다. 에밀 브루너(Emil Brunner),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 폴 틸리히(Paul Tillich), 몰트만(Jurgen Moltmann) 등이 신정통주의를 대표한 학자들이다. 라인홀트 니버(Karl Paul Reinhold Niebuhr)와 리차드 니버(H. Richard Niebuhr) 형제에 의해 미국에 소개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30년대 초에 소개되었다.
-
신종교
신종교 新宗敎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제도 종교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성립 시가가 오래되지 않은 종교. [내용] 새로운 종교, 그 시대에 출현한 새로운 종교, 또는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제도 종교에 비하여 성립 시기가 오래 되지 않은 종교를 가리키는 말이다. 여기서 ‘새롭다’는 것은 기성종교에 비하여 새롭다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종전에는 ‘신흥종교’라고도 일컬어져 왔으나, 이 용어는 신종교가 교리·의례·조직에서 기성종교에 비해 정제되지 못하고 부족한 종교라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지니기 때문에 최근에는 보다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용어로 신종교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신종교의 출현 원인은 다양하지만 교리혼합주의(syncretism), 기존 질서에 대한 부정, 현실주의적 구원관, 임박한 종말론의 강조, 선민사상, 신자 집단 내의 강력한 연대감 등의 공통점을 지닌다. 유럽에서는 1960년대부터 확산된 종교집단을 이 명칭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한국, 미국, 일본 등에서는 19세기 초 이후에 출현한 종교집단을 신종교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의 예수 그리스도 후기성도교회, 이란의 바하이교, 한국의 천도교 등은 이러한 신종교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종교는 사회구조와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 그렇기 때문에 신종교의 발생은 사회 변동에 대한 반응이자 동시에 사회 변동의 촉발제가 되기도 한다. 신종교는 그 자체가 당대의 사회적 위기 상황이나 기성종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출현한 것이기 때문에 기성종교에 대해서 매우 비판적이며, 그 사회와 종교를 혁신하기 위한 새로운 전망을 제시한다. 이로 인하여 기성종교와 사회로부터 이단, 사이비종교, 사교(邪敎) 등으로 배척받기도 한다. 이와 같은 신종교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상당 부분 자의적인 것이거나 결과론적인 것으로 신종교가 지니는 사회고발적인 성향이나 창조성을 무시할 위험성이 있다. 세계종교사로 볼 때, 정통은 늘 이단으로 출발했다.
-
신종족적 메시아 원리본체론 30일 특별교육
신종족적 메시아 원리본체론 30일 특별교육 新宗族적 메시아 原理本體論 30日 特別敎育 항목체계 역사사건 [정의] 조국광복을 위한 신종족적 메시아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도하는 특별교육. [내용] 2012년 5월 17일부터 개최된 기원절과 조국광복을 위한 신종족메시아 원리본체론 특별교육을 의미한다. 참아버님은 천주성화 직전 축복가정의 사명 완수를 위해 신종족적 메시아로서 원리본체론 30일 특별교육을 받도록 명하였다. 이 30일 본체론 교육을 통해 하늘의 모든 것을 상속시켜 주고, 하나님의 조국을 창건해 나갈 수 있는 신종족메시아로 거듭나게 한 것이다. 이에 따라 구리 중앙수련원에서 개최된 신종족적 메시아 원리본체론 30일 특별교육에 3,600명이 참여하였다. 이후에도 8월 14일까지 3회에 걸쳐 신종족적 메시아 원리본체론 특별교육이 개최됐다. ☞ ‘본체론’ 참조
-
신주
신주 神主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조상의 신령이 깃든 것으로 믿는 상징물. [내용] 조상의 신령이 깃든 것으로 믿는 상징물(神體)이다. 『오경이의(五經異義)』에 의하면, 신주는 신상(神像)을 뜻하며 “상주가 장사를 지내고 나서 그 마음을 의탁할 곳이 없어 우제(虞祭, 매장한 후 반혼하여 처음으로 지내는 제사) 때 신주를 모신다.”고 했다. 신주는 대개 목주(木主)를 의미하는데 역사적으로 석주(石主), 속백(束帛), 복의(復衣) 등 신분에 따라서 재료별로 여러 형태의 신체가 존재했다. 나무로 된 신주는 주신(主身)과 받침대〔跗〕의 두 부분으로 되어 있다. 주신은 앞쪽과 뒤쪽으로 나뉘는데 합쳐서 이루어지며, 받침대에 끼우게 되어 있다. 주신 앞쪽에 고인의 이름과 관직 등을 기록하며 비단으로 만든 덮개(韜)및 깔개(藉)와 함께 흑칠을 한 독좌(櫝座)에 모시고 독개(櫝蓋)를 덮은 다음에 창독(窓櫝)에 넣어 사당의 감실(龕室)에 보관한다. 그리고 차례나 기제 때 신주를 내어 모시고 제사를 올린다. 신주가 우리나라에 수용된 것은 삼국시대 이후로 보인다. 신주는 4개까지 사당에 모셔졌는데, 조선 말기에 이르러 점차 사당이 사라짐에 따라 신주는 지방으로 대체되었다. 요즘에는 사진으로 신주를 대신하여 조상에 대한 예를 보이기도 한다.
-
신천지
신천지 新天地 / Graph Shintenchi 항목체계 문헌 성격 1825.5센티미터 / 잡지 발행/간행시기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 신천지편집위원회 / 1970.1.1 [정의]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일본 본부에서 축복가정을 대상으로 발행한 월간지. [내용]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일본 본부에서 1970년 1월부터 축복가정을 대상으로 2009년까지 발행한 월간지이다. 참부모님의 동정과 말씀, 각종 섭리적 행사와 공지사항, 각 교회 식구들의 활동 소식 등을 담았다. 특히 세계 섭리를 위해 어머니 국가인 일본이 사명을 다할 수 있도록 축복가정들을 격려하고 활동을 공유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신앙 에세이, 자녀 교육 체험기, 뉴라이프 컬처, 건강·패션·요리 등 다양한 구성을 이루었으며 실용적인 내용도 많았다. 창간호(1970년 1월호)는 1521센티미터 크기로 발행되었는데 1974년 2월호부터 1318센티미터로 크기를 줄여서 발행했으며 개제(改題)1호, 통권21호로 발행되었다. 1985년 1월부터 1825.5센티미터 크기로 재조정되어 발행되었으며, 통권 378호인 2000년 1월호부터 2128.5센티미터의 크기로 조정되었다. 제호도 ‘신천지’에서 ‘그래프 신천지’로 바뀌고 화보 중심으로 매월 발행되었으며, 2009년까지 발행된 뒤 ‘세계가정’으로 통합되었다.
-
신플라톤주의
신플라톤주의 新플라톤主義 / Neoplatonism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로마시대 플로티누스(Plotinos)를 시작으로 플라톤의 철학을 계승한 철학사상. [내용] 3세기에서 6세기 로마제국에서 성행했던 철학사상으로 플라톤 철학의 계승과 부활을 주장하였다. 플라톤은 완전한 이데아(Idea)의 세계는 영원불변하고, 현상계의 사물들은 이데아의 불완전한 모사(模寫)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신플라톤주의는 이러한 플라톤의 이데아설에 기반을 둔 세계관을 계승하여 세분화시켰다. 신플라톤주의를 대표하는 플로티노스는 만물이 하나의 근원에서 단계적으로 유출(流出)되었다는 이론, 곧 유출설을 주장하였다. 만물의 궁극적 근원인 ‘일자(一者)’에서 지성(정신)인 누스(nous)가 유출되고, 그다음으로 영혼이 유출되며, 마지막으로 물질의 세계인 현상계가 유출된다고 보았다. 신플라톤주의는 신적 존재와 같은 ‘일자’와 그로부터의 ‘유출’이라는 개념으로 이데아계와 현상계의 관계를 이해하려고 하였으며, 인간은 만물의 근원인 일자로 돌아가고자 한다고 보았다. 『통일사상요강』은 가치론에서 헬레니즘·로마시대 가치관의 사례로 신플라톤주의를 언급하고 있다. ☞ ‘플로티노스’, ‘유출설’ 참조
-
신화
신화 神化 / Divinization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어떤 대상을 신으로 추앙하는 행위. [내용] 그리스어 아포테오시스(apotheosis)에서 유래하는 말이며, 어떤 대상을 신의 차원으로 추앙하는 행위를 뜻한다. 고대 인도의 자연신교에서처럼 처음에는 산이나 강 또는 초자연적인 현상의 배후에 있는 것으로 믿어지는 어떤 힘이 의인화되고 차츰 신격화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개 신학에서는 어떤 사람이 신격으로 떠받들어지는 것을 말한다. 전쟁 영웅이나 종교 지도자의 경우처럼 본래 역사적인 인물이 사후에 신격화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어떤 인물이 살아 있을 때보다는 사후에 신격화되기 쉬운 것은 숭배의 감정이 이질감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어떤 대상이 숭배의 대상이 되고 신격화된다는 것은 그 대상이 살아 있는 사람과는 다른 어떤 초월적인 이질감을 지녔다는 믿음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고대 신화에서 소 숭배가 드물지 않지만, 인도에서 소가 숭배되고 신격화되는 것이 다소 특별하게 보이는 것은 돌이나 쇠로 만든 소가 아니라 살아 있는 소를 숭배한다는 점 때문이다. ☞ 신격화(神格化, deification, apotheosis)참조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