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생 부활섭리
소생 부활섭리 蘇生 復活攝理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아브라함 때로부터 예수님에 이르기까지 하나님의 부활섭리. [내용] ☞ ‘소생 부활’ 참조
-
소생급
소생급 蘇生級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성장 기간의 3단계 중 첫 번째 단계. [내용] 『원리강론』을 보면, 피조물은 하나님에 의하여 일정한 성장 기간을 거쳐서 완성되도록 창조되었다. 즉 육신과 영인체로 구성된 인간은 소생기, 장성기, 완성기의 질서적 3단계의 성장 기간을 거쳐서 완성하게 된다. 소생기는 이러한 성장 기간에서 첫 번째 단계를 말한다. 소생급은 소생기 성장 기간에 대한 단계적 차원이 부각된 개념이다. ☞ ‘장성급’, ‘완성급’ 참조
-
소생기
소생기 蘇生期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성장 기간의 3단계 중 첫 번째 단계. [내용] 피조물은 하나님에 의하여 일정한 성장 기간을 거쳐서 완성되도록 창조되었다. 즉 육신과 영인체로 구성된 인간은 소생기, 장성기, 완성기의 질서적 3단계의 성장 기간을 거쳐서 완성된다. 소생기는 이러한 성장 기간에서 첫 번째 단계를 말한다. 인간의 육신이 소생기, 장성기, 완성기의 성장 기간을 거쳐서 어린이, 청소년, 성인으로 성장하는 동안 영인체는 육신을 터로 하여 소생기에 해당되는 영형체, 장성기에 해당되는 생명체, 완성기에 해당되는 생령체의 모습으로 성장한다. 영인체의 성장은 육신의 성장과 같은 외적인 육체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영인체의 성숙과 인격의 향상을 뜻한다. ☞ ‘장성기’, ‘완성기’ 참조
-
소생부활 섭리시대
소생부활 섭리시대 蘇生復活 攝理時代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아브라함 때로부터 예수님에 이르기까지의 하나님의 부활섭리의 시대. [내용] ☞ ‘소생부활’ 참조
-
소수종교
소수종교 小數宗敎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신자들이 적은 종교. [내용] 상대적으로 신자가 적은 종교에 대한 통칭이다. 세계적으로 많은 신자가 있는 종교라도 어느 나라 또는 지역에서 다른 종교에 비하여 그 종교의 신자가 적으면 소수종교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도에서 힌두교는 주류 종교이지만, 우리나라에서 힌두교는 소수종교로 분류된다. ☞ ‘주류종교’ 참조
-
소외
소외 疏外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상품화나 기계화 혹은 관료제 등에 따른 비인간화의 현상을 비판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 [내용] 일반적으로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분리되어 그 관계가 멀어짐’을 의미하지만, 사회학에서는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사회현상으로서의 소외는 현대 산업사회에서 기계, 기술, 제도, 조직, 관념, 사상 등이 생명력을 지니고 있는 것처럼 그것을 만든 인간을 지배함으로써 본래의 인간성이 박탈당하고 비인간화되는 상태로 정의된다. 이런 소외 현상이 현대 산업사회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원인은 기술의 발전과 기계화, 조직의 지배, 매스커뮤니케이션 등으로 분석된다. 소외 개념은 현대사회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비판하는 데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용어들 중의 하나이다.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상품화나 기계화 혹은 관료제 등에 따른 비인간화의 현상을 비판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가 소외인 것이다. 이렇게 현대사회의 병폐를 지적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소외의 개념을 정립하고 확산시키는 데 커다란 기여를 했던 사상가는 마르크스와 엥겔스였다. 그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이 중심이 아니라 상품과 자본 그리고 기계가 중심이 되어 생산 활동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인간이 주체성과 자율성을 상실하는 문제점을 비판하기 위하여 소외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 ‘마르크스’, ‘엥겔스’ 참조
-
소우주
소우주 小宇宙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우주의 축소체로서 소우주인 인간을 의미. [내용] 대우주에 대응되는 형이상학적 개념이나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에서는 인간을 우주의 축소체인 소우주로 이해한다. 『원리강론』에 의하면, 하나님은 인간 영인체의 실체적인 전개로서 무형 세계를 창조하였기 때문에 영인체는 무형 세계를 총합한 실체상이 된다. 또한 하나님이 인간 육신의 실체적인 전개로서 유형 세계를 창조하였기 때문에 육신은 유형 세계를 총합한 실체상이 된다. 즉 인간은 영인체로 무형 세계, 육신으로 유형 세계를 주관할 수 있는 요소를 지니도록 창조되었다. 이 두 세계는 인간을 매개체로 하여 수수작용을 함으로써 하나님의 피조세계를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 창조목적을 완성한 인간은 이 두 세계를 통칭하는 천주를 총합한 실체상이 된다. 인간을 소우주라고 하는 것은 그런 이유 때문이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