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기독교회
조선기독교회 朝鮮基督敎會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우리 민족의 주체성을 표방하며 기성교회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한 자립주의 교회. [내용] 우리 민족의 주체성과 기독교의 토착신앙화를 표방하며 기성교회에 대하여 자치를 선언하고 분립한 교회를 말한다. 여기에 속하는 교회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1918년 봉산(鳳山) 신원교회의 김장호를 중심으로 분립한 김장호계 조선기독교회를 들 수 있다. 이 교회는 선교사의 주도 아래 장로교가 고루한 보수주의 신학에 갇혀 있다고 비판하고 조선적 신학과 자유로운 신학 연구를 창도하면서 독립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의 반(反)선교사와 반교권은 그 자체로 친일의 가능성이 높았으며, 실제로 당시의 조선총독이 이 교회를 찾아와서 그들의 활동을 격려하기도 했다. 둘째는 1929년 충주에서 분립되어 나중에 김장호계 조선기독교회와 병합된 김종태계의 조선기독교회이다. 세 번째는 1935년 만주 길림성에서 한국감리교회 파송선교사로 있던 현성원이 변성옥 및 한동규 등과 함께 설립하고 감리교회에서 분립한 현성원계 조선기독교회이다. 서로 무관하게 설립된 이 세 가지 계통의 조선기독교회는 나중에 상호 합동이 모색되었다. 먼저 김종태계와 김장호계가 병합한 후 만주의 조선기독교회와 연계를 맺었으며, 교인의 상호 이명(移名, 같은 교파 내에서 교적을 옮기는 것) 및 신학생 교환에 합의했다. 현성원계의 조선기독교회는 이용도계의 조선예수교회와도 신앙의 근본주의가 같다고 하여 1936년 합동을 추진하였으나 무산되었다.
-
조식 금식
조식 금식 朝食 禁食 항목체계 의례상징 [정의] 종교적 목적 또는 계율을 위하여 밤 12시부터 낮 12시까지 음식을 먹지 않고 정성을 들이는 신앙행위. [내용] 일반적으로 금식은 종교적 계율이나 서원을 위하여 일정한 기간 동안 음식을 먹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금식은 기간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되는데, 이중 조식 금식은 밤 12시부터 낮 12시까지 12시간 동안 음식을 먹지 않고 하나님께 정성을 들이는 경건한 신앙행위를 뜻한다. ☞ ‘금식’ 참조
-
조옥순
조옥순 趙玉順 항목체계 인물 성별 여 [정의] 야목교회에서 전도된 원로. [내용] 야목교회에서 전도되어 1959년 협회 제2차 40일 전도사 수련회 등을 개최할 때 참부모님을 정성으로 모시며 봉사하였다. 김복순과 김탄실 등을 전도하였다.
-
조원모
조원모 趙元模 항목체계 인물 성별 여 [정의] 참어머님의 외조모이자 대모님의 모친. [내용] 고명딸로 태어나 체구가 작고 미인형이며 활동적인 신여성으로 살면서 재봉틀상회를 경영하였다. 재봉틀을 팔고 수금할 때 직접 고장난 재봉틀을 수리해 줄 정도로 적극적으로 경영을 하였다. 홍유일과 혼인하여 홍순애 대모님을 낳았으며 독실한 기독교 신앙을 하였다. 이러한 영향으로 대모님이 성주교와 복중교 등에서 진정한 신앙생활을 하고자 노력할 때 적극적으로 지원했으며, 참어머님의 탄생부터 성장 기간을 함께했다. 아들 홍순정을 만나기 위해 대모님과 참어머님을 대동하고 남하한 뒤 서울에서 거주하였다. 한국동란이 발발했을 때 아들 홍순정의 도움으로 대모님뿐만 아니라 참어머님과 무사히 제주도까지 가서 생식을 하며 정성을 들였다. 참어머님에게 ‘하늘아버지가 너의 아버지’라고 교육했다. 대모님이 입교할 때 함께 입교한 뒤 1960년 참어머님 성혼한 이후 성화하였다. ☞ ‘홍순정’, ‘홍순애’ 참조
-
조정희
조정희 趙貞姬 항목체계 인물 출신지 경기도 포천 성별 여 생년월일 1917.11.26(음) [정의] 1955년 입교 후 전도에 헌신한 원로. [내용] 1917년 11월 경기도 포천에서 부친 조병구와 모친 장인화의 사이에 8남매 중 일곱째 딸로 출생하였다. 18세에 결혼한 뒤 1940년 성동감리교회에 출석하였다. 1년 만에 속장이 되고 31세에 권사의 직분을 받는 등 13년 동안 감리교회에서 열성적인 신앙생활을 하며 용문산기도원, 박태선 장로 부흥집회 등을 찾아가며 진정한 신앙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같은 교회를 다니던 권사 이옥희의 인도로 1955년 12월 27일 입교하였다. 1956년 전도상을 수상했다. 1957년 7월 40일 하계 전도에 참가하여 전라남도 장성에서 개척전도를 한 것을 시작으로 1958년 9월 이리교회, 1959년 3월 광주교회, 7월 순천교회, 1960년 7월 벌교교회를 개척하며 목회를 하였다. 1961년 고흥교회에서 목회를 하다가 1962년 야목교회에서 하계 40일 전도를 하고 경기지구 순회사, 1963년 전국 부흥회 강사, 1964년 10월 전국 순회사 등을 역임하였다. 1962년 자녀의 날에 ‘하늘의 자녀 대표자’로 수상하였으며, 1968년 7년 노정을 마치며 공로상을 받았다. 1963년 차상순과 기성축복을 받았다.
-
조지 글래스
조지 글래스 George Glass 항목체계 해외 [정의] 1975년 싱가포르에 파송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선교사. [내용] 조지 글래스는 1975년 5월 참부모님이 주창한 세계적 봉사활동의 일환으로 싱가포르에 파송된 세 명 가운데 한 명이었다.
-
조지아
조지아 항목체계 해외 [정의]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신유럽권역 선교국. [내용] 미국인 조 모리스에 의해 첫 선교가 시작되었다. 이후 울라프 바코프스키(Olaf Barkvosky, 독일), 페트릭-에카트리나 놀란(Patrick and Ekaterina Nolan, 미국), 니콜라우스 비틀(Nikolaus Beult, 오스트리아), 비탈리-엘리나 막시모프(Vitaly and Elena Maksimov, 러시아)가 조지아 선교사로 활동하였다. 첫 선교활동은 1992년 세계 지도자 세미나를 통해 시작되었다. 소련 붕괴로 인한 혼란과 갈등으로 선교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일본의 선교사들이 교회 개척을 시작하였다. 1996년 국가메시아들이 파송되었고, 1997년 세계평화여성연합이 창설되어 국제교육제단과 함께 활동하였다. 1997년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창설 후 가정축제 프로그램을 통해 기성가정 성주식 및 축복식이 진행되었다. 2000년 11월 국제교육재단과 조지아 청년연합의 공동 주최로 대통령궁에서 초종교초국가연합과 비정부기구연합 창설대회가 열리기도 하였다. 2005년 10월 18일 참부모님이 120개 도시 세계 순회강연 중 조지아의 수도인 트빌리시를 방문하였다. 2007년 러시아에서 온 비탈리 막시모프 선교사가 평화연합의 이름으로 지방 자치단체와 협력하여 많은 봉사활동과 구호활동 및 교육활동을 전개하였다. 2008년 조지아와 러시아 전쟁이 발발한 이래 평화연합 주도로 첫 남코카서스 평화제의가 평화대사들을 중심으로 개최되었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