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교
이교 異敎 / Paganism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자기가 믿는 종교 이외의 종교. [내용] 자신이 믿는 종교 이외의 종교를 일컫는 말이다. 특히 계시종교인 그리스도교적 관점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고백하지 않는 종교, 그리스도교 이외의 모든 종교인 비기독교를 가리키는 말로 흔히 사용된다. 신학적으로는 계시종교와 달리 인간의 측면에서 신을 구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교’로 번역된 파가니즘(paganism)이 본래 ‘시골뜨기‘를 의미하는 ‘파가누스(paganus)’라는 말에서 유래한 것처럼 이교라는 말 속에는 종교에 대한 무시와 경멸의 다른 뜻이 함축되어 있다. 오늘날에는 이교라는 말 대신에 타종교 또는 이웃종교라는 말이 널리 사용된다.
-
이기론
이기론 理氣論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우주와 인간의 생성근원을 이(理)와 기(氣)의 두 원리로 설명한 성리학의 이론. [내용] 중국 남송대의 학자 주희에 의해 완성된 성리학은 우주 속에 있는 모든 유형적 존재는 이와 기로 구성되며, 이와 기에 의해 생성되고 변화된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이는 사물의 존재 및 생성과 관련된 근본법칙 또는 이치로서 모든 사물은 이의 법칙성에 의해 지배를 받는다. 이는 무형, 무위로 직접 감각할 수 없는 특성을 지닌다. 기는 구체적 사물의 존재와 생성에 관련된 질료(質料) 내지 형질(形質)을 의미한다. 기는 모든 사물을 이루는 데 있어서 필요한 현상적 요소로 직접 감각하고 경험하거나 변화할 수 있는 유형, 유위(有爲)의 특성을 갖는다. 성리학은 모든 사물을 지배하는 불변의 원리인 이와 사물의 현상적 요소인 기는 각기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결코 떼어낼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갖는다고 본다. 이기(理氣)는 상호 역할 관계를 구별한 것에 불과하며 양자는 이기불상리(理氣不相離)의 관계에 있다. 『통일사상요강』은 이기론을 현상의 배후에 있는 무형의 본체인 이와 질료인 기를 우주의 근본원리로 여기는 사상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이기론은 현실세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패한 이론이라고 지적하며, 그 이유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제시한다. 첫 번째는 이기에서 왜 만물이 생기게 되었는가 하는 그 동기와 목적을 분명하게 밝히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우주창조의 목적과 방향이 모호하기 때문에 현실의 도덕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치의 절대적 기준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를 지닌다. 두 번째로 이기론은 사회변혁의 중요성을 간과하였다. 이기론은 천지의 법칙에 따르는 조화의 유지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며, 윤리에 입각한 사회의 질서유지를 강조하였다. 그 결과 모든 것을 법칙에 맡긴 나머지 자연 및 사회의 변화나 혼란에 대해서는 방관적인 태도를 취하였고, 보수주의로 흘러 사회를 발전시키려는 창조적이고 능동적인 개혁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말았다.
-
이기봉
이기봉 李奇峰 항목체계 인물 출신지 평양시 신양리 성별 여 생년월일 1905년 [정의] 참아버님이 경성상공실무학교에 다닐 때 지냈던 하숙집 주인. [내용] 1905년 아버지 이승기와 어머니 강숙경의 차녀로 탄생하였다. 어머니 강숙경은 평양의 새예수교회 중앙선도원과 인연이 되어 서울 내자동에서 새예수교회를 운영하게 되었다. 이기봉은 출가하여 황해도 남천에서 살다가 1936년 서울로 이사해 와 어머니와 함께 살면서 새예수교회와 인연이 되었다. 1937년 흑석2동에 하숙집을 짓고 이사하여 1938년부터 흑석동 오순절교회를 나갔는데, 그곳에서 참아버님을 만났다. 이러한 인연으로 참아버님이 경성상공실무학교에 재학하는 동안 하숙을 하였다. 어머니, 언니 이기완 등과 함께 참아버님을 존경하고 따랐으며 마음속으로 사윗감으로 뜻을 두기도 하였다. 참아버님과 모자관계처럼 가깝게 지내며 모셨으나 입교하지 못하고 1973년 세상을 떠났다.
-
이기석
이기석 李起錫 항목체계 인물 성별 남 [정의] 협회 초대전도부장을 맡아 헌신한 36가정 원로. [내용] 1955년 흥인동교회에 입교하여 7·4 수난이 일어났을 때 교회를 지켰으며, 1958년 인광중학교 인수 당시 교무주임을 맡았고, 후에 조양중고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기도 하였다. 1959년부터 강릉 지역장을 맡아 목회활동을 시작하였으며, 1960년 지생련과 36가정 축복을 받았다. 1961년 강원 지구장으로 시무하면서 승공교육을 하며 전도활동을 하였다. 1965년 9월 전국 순회사로 발령받았다. 이후 협회 전도부장으로 임명되었으며 총무부장까지 겸직하게 되었다. 1971년 8월 갑자기 각혈을 하여 입원한 뒤 9월 13일 성화하였다. ☞ ‘지생련’ 참조
-
이기완
이기완 李奇完 항목체계 인물 성별 여 생년월일 1903년 [정의] 참아버님이 경성상공실무학교에 다닐 때 만나 모셨던 초창기 원로. [내용] 1903년 아버지 이승기와 어머니 강숙경의 장녀로 탄생하였다. 어머니 강숙경은 평양의 새예수교회 중앙선도원과 인연이 되어 서울 내자동에서 새예수교회를 운영하고 있었다. 어머니와 함께 신앙생활을 하며 새예수교회를 통해 참아버님을 만났다. 참아버님이 경성상공실무학교에 재학하는 동안 동생 이기봉의 하숙집에서 기거하여 어머니, 동생과 함께 참아버님을 존경하며 따랐다. 이때 이미 서른 중반의 부인이었지만 참아버님의 대표기도에 감동을 받아 존경하였다고 한다. 이런 인연으로 한국동란 중이던 1952년 부산에서 피난생활을 하다가 참아버님을 재회하고 입교하였다. 참아버님은 북한 감옥에서 나와 옥세현, 지승도, 이기완 등 3명의 여성을 복귀하였다고 말씀하였다. 1981년 3월 4일 성화하였다.
-
이기용
이기용 李基容 항목체계 인물 출신지 경상북도 경산군 성별 남 [정의] 1954년 대구 경산 노변장로교회에서 입교한 원로 장로. [내용] 3대째 기독교 신앙을 하던 가문에서 태어나 독실한 기독교 신도로서 생활하였다. 사재를 투입해 대구시 수성구 노변동에 장로교회를 세우고 돌보던 중 1954년 입교하였다. 성경에 나오는 여러 비유와 상징들로 고민하던 중 ‘원리’ 말씀을 듣고 감동을 받아 입교를 결심하였다. 1955년 1월 노변장로교회의 신도들을 설득하여 목사 이요한을 초빙해 부흥집회를 가졌으나 노회와 갈등하였다. 이후 뜻을 따르는 신도들을 이끌고 장로교회와 결별하고 이요한을 노변동 303번지 집으로 초청하여 ‘원리’ 강의를 계속하였다. 장로교회에서 나온 신도들을 중심으로 이웃에서 전도된 사람까지 더하여 경산군 노변교회를 창립하였다. 1957년 대구로 이주하여 대구교회의 장로로서 신앙생활을 하였다.
-
이기주의
이기주의 利己主義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자신의 이익만을 올바름의 유일한 기준으로 삼는 입장. [내용] 보통 자신의 이익만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입장을 일컫는다.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행동만을 하며 타인이나 공동체에 대한 그 어떤 의무나 도덕적 책임도 지지 않는다. 윤리학의 관점에서 이기주의는 이타주의나 공리주의와 달리 행위의 옳음을 판단하는 기준을 자신의 이익의 극대화에 두는 사상을 가리킨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인간이 이기주의적 성향을 갖게 된 근본원인이 타락에 있다고 본다. 원래 인간은 사랑의 본체이신 하나님을 닮아 타인과 공동체에 무한히 사랑을 베푸는 애적(愛的) 존재로 창조되었으나 완성을 향해 나아가는 성장 기간에서 타락하여 사탄의 악성을 갖게 되었다. 이로 인해 인간은 상대를 위해 존재하다는 창조의 원칙을 망각하고 자신의 욕망과 이익을 일차적으로 추구하는 이기적인 존재가 되어 버렸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참사랑을 중심삼고 마음과 몸을 통일하고, 상대를 보다 위하는 이타적 삶을 지속적으로 실천해 나감으로써 창조본연의 인격을 회복해야 한다. ☞ ‘위타주의’ 참조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