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CHEONWONSA

검색 서비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

dictionary_pt2-839

제3차 문예부흥

第3次 文藝復興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마르크스주의의 역사관인 유물사관.

[내용] 『원리강론』에 의하면, 제3차 문예부흥은 유물사관을 의미한다. 가인형인 헬라 사상의 반중세적 복고운동은 인본주의를 낳아 문예부흥을 일으켰고, 이 운동이 사탄 편으로 더욱 발전하여 제2의 문예부흥 사조인 계몽사상이 대두하게 되었다. 계몽사상은 다시 제3차 문예부흥 사조인 유물사관을 낳아 공산주의 사상을 성숙시켰다.

유물사관은 역사발전의 원동력을 인간생활의 물질적 조건, 즉 생산력과 생산관계를 기초로 하여 파악한 마르크스주의의 역사관을 가리킨다. 사회에서 인간은 자신들의 의지와 상관없이 필연적으로 물질적 생산력의 일정한 발전단계에 조응하는 생산관계를 맺는다. 생산력과 그것에 따른 생산관계는 사회의 경제적 구조를 형성하고, 이것이 토대가 되어 그 위에 이데올로기, 정치, 종교, 학문, 법률 등의 상부구조가 성립한다. 그러므로 하부구조가 바뀔 때마다 상부구조도 변하게 된다.

마르크스는 생산력의 발전이 일정한 단계에 도달하면 기존의 조응적 생산관계는 모순과 대립의 관계로 전환되고, 이 모순관계는 계급 간의 투쟁으로 전유된다고 보았다. 즉 낡은 생산관계의 유지에서 이익을 보는 지배계급과 새로운 생산관계를 창출하려는 피지배계급 간의 투쟁이 일어나고, 마침내 피지배계층에 의한 사회혁명이 일어나 새로운 생산관계가 이룩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인간 역사는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력의 발전단계에 대응하는 생산관계의 형태로서 원시 공산제에서 노예제, 봉건제, 자본주의로 각각 발전되어 나왔다. 이후 자본주의는 노동의 착취로 인한 다양한 내적 모순을 품게 되고, 그 결과 프롤레타리아에 의한 공산주의 혁명이 일어나게 된다.

☞ ‘제2차 문예부흥’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