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CHEONWONSA

검색 서비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

dictionary_pt2-337

우치무라 간조

内村鑑三 / Uchimura Kanzo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일본 개신교 사상가.

[내용] 일본 메이지-다이쇼(明治-大正)시대의 대표적인 개신교 사상가였다. 서구적인 기독교가 아닌 일본인들에게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가르침, 즉 일본적인 기독교를 찾고자 한 사상가 또는 무교회주의자로 알려져 있다. 에도(江戶)에서 태어났으며, 미국의 농학자 W.S. 클라크가 세운 북해도의 삿포로농과대학 재학 중에 친구의 전도로 기독교인이 되었다. 그의 자서전 『나는 어떻게 기독교 신도가 되었나(How I Became A Christian)』는 출생부터 회심까지의 기록이다. 대학 졸업 후 1882년 우치무라와 친구들은 삿포로 독립교회를 통해 서구의 교회가 아닌 일본적인 교회를 세우고자 했다. 교회는 5명의 위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운영됐는데 일상적인 교회의 일은 그들이 함께 처리했고, 그 외의 것은 언제나 투표로 처리했다. 또 교회의 회원은 의무적으로 교회를 위해서 일하도록 했다. 결혼에 실패하고 1884년에 도미하여 앰허스트(Amherst)대학 유학으로 신앙에 대한 생각을 굳혔고, 하트포드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지만 성직을 특권으로 보아서 성직자가 되지는 않았다. 1888년 귀국 후 도쿄 제1고등학교 교사로 있을 때 일본 천황의 절대 권력의 상징인 〈교육칙어(敎育勅語)〉 봉독식에서 정성 들여 예를 다하지 않은 ‘불경사건’으로 해직당한 뒤 생활고에 허덕이다가 저술가 생활로 전환하게 되었다. 『나는 어떻게 기독교 신도가 되었나』, 『구안록』 등을 저술했으며 ‘만조보’지의 기자와 월간지 「성서지 연구」의 간행인 등 바쁘게 활동했다. 1921년에는 도쿄의 한복판에서 일요일마다 로마서를 강의하여 수많은 청중들에게 큰 감동을 주기도 했다. 한국교회에서 우치무라의 신학은 무교회주의라고 해서 불온시되기도 했지만, 여기에는 무교회주의에 대한 오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우치무라의 무교회주의는 기존교회에 대한 반발이 아니라 성서의 권위를 존중한 복음주의였다. ‘교회’가 아닌 ‘성서’가 기독교 신앙의 원천이라는 ‘오직 성서(Sola Scriptura)’주의였던 것이다. 한국의 무교회주의 개신교 운동가인 김교신, 함석헌, 송두용, 최태용 등은 우치무라로부터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