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매
三昧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하나의 대상에 마음을 집중시키는 불교 수행법.
[내용] 산스크리트어 사마디(samādhi)의 음역어이다. 삼마지(三摩地), 삼마제(三摩提), 삼매지(三昧地) 등으로 음역되거나 마음이 한 곳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정(定), 등지(等持), 정수(正受), 정심행처(正心行處) 등으로 의역된다. 일반적으로는 마음의 집중 또는 몰입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산만한 마음을 맑고 고요하게 하는 것을 가리킨다. 심원의마(心猿意馬)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보통 사람에게 마음은 원숭이 같고, 생각은 말과 같아서 단 한 순간도 고요하게 머물러 있기 어렵다. 삼매는 이와 같이 매순간 펄럭거리는 마음 작용 또는 의식 활동이 잠잠해진 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나 심신의 고요함만을 삼매라고 일컫지는 않는다. 고요하면서도 의식이 맑게 깨어 있는 상태이어야 삼매라고 할 수 있다.
『요가수뜨라(Yoga-sūtra)』에서는 삼매를 유상 삼매와 무상 삼매 또는 유종 삼매와 무종 삼매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있다. 유상 삼매는 마음이 한 대상에 전일되어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가리키는 반면에 무상 삼매는 주관과 객관의 구분이 사라지고 대상만 빛나는 마음 상태이다. 유종 삼매와 무종 삼매의 구분은 윤회의 종자를 완전히 여의었느냐의 기준에 따른 것이다. 무종 삼매는 위의 4가지 삼매 중에서 가장 높고 깊은 차원의 삼매이며, 윤회의 씨앗이 완전히 불타 버린 열반의 세계에 해당한다. 초기 불교의 『아함경(阿含經)』에서는 일체의 자아나 사물이 공임을 깨닫는 공 삼매, 공이기 때문에 차별의 특징이 없음을 관찰하는 무상 삼매, 무상이기 때문에 원해서 구할 것이 없음을 관찰하는 무원 삼매가 설해진다. 대승불교에서는 삼매를 지(止)와 관(觀)으로 나누어서 이해하는 전통이 있으며, 마음의 집중을 전제로 올바른 관찰이 있다고 보았다.
불교나 요가의 수행에서 삼매가 강조되는 것은 그것이 업력 또는 잠재 인상(行, samshara)을 여읜 상태 또는 그 상태로 돌입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모든 번뇌와 고통의 원인은 미망이며, 중생의 미망은 좋은 것을 탐하고 궂은 것을 혐오하는 마음의 오래된 습관에서 비롯된다. 명상은 이와 같은 마음의 습관을 고치기 위한 것이다. 우리의 삶에서 좋은 것이 있는가 하면 궂은 일이 있는 것은 전생의 업 때문이다. 선업은 좋은 것을 가져오고, 악업은 궂은 것을 가져온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험은 피할 수 없는 일이다. 문제는 이 둘에 대한 마음의 분별 과정에서 업력이 개입한다는 것이다. 업력은 중생이 대상을 지각할 때 그 경험을 물들이는 업의 형성력과 경향성 일반을 가리키는 말이다. 열반 이외의 경험 세계는 업력이 산출한 것이다. 따라서 업력에 오염되지 않는 상태, 즉 삼매를 얻는 것은 수행의 요체라고 할 수 있다. 삼매를 통해 비로소 업력에 의하여 왜곡되지 않은 사물의 진실한 모습을 볼 수 있고, 그것이 해탈에 이르는 길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