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봉건사회
基督敎 封建社會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기독교의 교구장을 중심한 영적인 봉건사회.
[내용] 기독교 세력이 커지면서 교구장이 자신의 지역에서 왕과 같은 역할을 하는 사회이다. 『원리강론』에 따르면, 예수님 이후의 기독교 세계는 예수님을 영적인 만왕의 왕으로 모시는 하나의 국토 없는 영적인 왕국과 같다. 점차 기독교의 세력이 커지면서 교구장(敎區長)이 자신이 맡은 교구의 예언자나 제사장 혹은 왕과 같은 사명을 해야 했는데, 『원리강론』은 이때의 기독교계 사회 환경을 가리켜 기독교 봉건사회라고 부른다. 『원리강론』은 로마가 멸망한 후 서구로 이동한 게르만 민족을 중심으로 기독교 봉건사회의 기틀이 마련되었다고 설명한다. 또한 기독교 봉건사회는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선민을 인도하여 가나안에 들어간 후 펼쳐진 사사시대(士師時代) 4백 년을 실체적인 동시성으로 탕감복귀하는 의미를 지닌다. 기독교 봉건사회는 점차 교황의 권위가 강화되면서 기독교 군주사회의 형태로 확대되었다.
☞ ‘교구장’, ‘교구장제 기독교회의 시대’, ‘기독교 군주사회’, ‘사사시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