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사회주의
科學的 社會主義 / Scientific socialism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엥겔스가 마르크스의 이론을 유물변증법에 의거하여 역사와 사회를 과학적으로 분석했다고 평가한 데서 유래한 용어.
[내용] 마르크스는 헤겔의 관념론적 변증법을 유물론의 입장에서 해석하여 유물변증법으로 재탄생시켰다. 엥겔스는 마르크스의 유물변증법을 ‘자연, 인간, 사회 그리고 사고의 일반적인 운동·발전법칙에 관한 과학’으로 평가하면서 과학적 사회주의(scientific socialism)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특히 모순의 법칙, 즉 ‘대립물의 통일과 투쟁의 법칙’과 ‘부정의 부정 법칙’을 중심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파악하고 무장혁명이라는 프롤레타리아의 역사적 사명을 필연적으로 도출했다는 점에서 엥겔스는 마르크스의 이론을 과학적 사회주의로 평가하였다. 또한 엥겔스는 마르크스의 과학적 사회주의와는 반대로 오웬(Robert Owen, 1771-1858)과 생시몽(Le comte de Saint-Simon, 1760-1825) 등이 주창한 사회주의에는 ‘공상적 사회주의’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이는 자본주의 모순을 사랑과 협동으로 타파하여 자유롭고 평등한 사회를 실현할 수 있다고 주장한 생시몽 등의 관점이 비과학적이고 유토피아적이라는 마르크스의 평가에 기인한 것이다.
마르크스 본인과 엥겔스가 그들의 유물변증법에 의거한 이론을 과학적 사회주의로 평가했다고 하더라도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관점에서 볼 때, 마르크스의 이론은 현실과 전혀 맞지 않는 ‘거짓된 과학(pseudo science)’일 뿐이다. 자연현상을 보더라도 그 내용을 잘 검토해 보면 모순의 법칙으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주체와 대상 간의 원만한 주고받음의 원리, 즉 ‘수수법’에 의거하여 생존, 번식,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역사 발전에 있어서도 마르크스 이론이 예측한 자본주의의 급속한 붕괴는 결코 일어나지 않았으며, 프롤레타리아의 평등한 사회는 한 번도 실현된 적이 없다. 자연계의 발전이나 인간 사회의 발전은 모두 공통의 목적을 중심하고 여러 요소들 혹은 개체들 간에 원만한 협조 및 협력관계가 성립돼야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마르크스의 이론은 이를 대립, 모순, 투쟁의 관계로 규정하고 그렇게 왜곡된 관점을 현실에 억지로 투영하여 법칙으로 정초(定礎)하려다 보니 현실과 맞지 않은 거짓된 이론, 거짓된 과학이 되고 만 것이다.
☞ ‘유물변증법’, ‘수수법’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