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복
占卜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주술의 원리로 예측할 수 없는 미래의 일을 추리하거나 판단하는 행위.
[내용] 인간의 지능으로 예측할 수 없는 미래의 일을 주술의 힘을 빌려 미리 알고자 하는 행위 또는 그 방법을 의미한다. 점복의 역사는 인류생활과 더불어 찾아볼 수 있고, 점복의 발달과 더불어 인류의 문명도 발달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동양에서는 일찍이 중국의 복서(卜筮), 인도의 점성술 등이 발전했다. 중국의 대표적인 점은 복서로서 복(卜)은 짐승의 뼈나 귀갑(龜甲)을 사용하여 행하는 점을 말하며, 서(筮)는 서죽(筮竹)과 산목(算木)을 사용하는 점을 말한다. 후대로 내려오면서 『역경(易經)』의 원리를 응용하였으며 음양오행설이나 간지설(干支說)이 가미되면서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다. 우리나라도 상고시대부터 중국의 영향을 받아 복서가 행해졌고, 전문적으로 점을 치는 관리를 두어 나라의 장래 일을 점치게 하기도 했다. 현대 과학문명의 발달은 점복을 근본적으로 부인하여 이를 불식시키려 하지만, 인간의 본능 속에 자신의 운명과 길흉을 예지하려는 욕구가 있는 한 점복은 지속된다고 볼 수 있다.
점복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일식 및 월식과 같은 일월성신의 이변, 풍운우로상설 등 자연현상의 변화양상을 보고 앞일을 예언하는 자연현상에 의한 점, 동식물의 생김새나 변화양상에 의거한 점, 신령이 점자의 육신에 강림하게 됨으로써 점자의 입을 통해 미래의 길흉을 예측하는 신탁점(信託占), 쌀이나 돈 또는 막대에 신령이 빙의하도록 하고 점자가 거기에 나타난 신의 뜻을 파악하여 점을 치는 신시점(神示占), 음양오행 및 십이간지 등 수리를 기초로 하여 괘를 만들어 길흉을 점치는 육효점(六爻占) 및 사주점(四柱占), 줄다리기나 차전놀이 등 어떤 인위적인 행위에 의거하여 점을 치는 인위적인 점 등이 있다. 넓게 보면 관상이나 해몽도 점복의 하나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