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주의 사회
絶對主義 社會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국왕이 국가기관을 장악하여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는 전제군주제 사회.
[내용] 중세 봉건사회에서 근대 시민사회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영국, 프랑스 등 유럽을 중심으로 나타난 전제군주제 사회를 일컫는다. 봉건사회는 영주나 제후, 귀족들이 독립된 자치권을 행사하는 분권사회였기 때문에 군주는 제한적 권력만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중세 후기에 접어들면서 군주들은 대외적인 교역을 통한 새로운 자원의 확보, 전쟁에 의한 영토 확대, 국왕의 직속부대인 상비군 조직, 중상주의 경제정책 등을 추진하며 자신의 세력을 점점 강화해 나갔고, 마침내 국가의 모든 통치권이 군주 1인에게 귀속되는 절대주의 사회를 이루었다. 절대주의 사회에서 군주는 신법이나 자연법에 제한을 받지 않는 무제한적인 권력을 행사했으며, 법률은 군주의 마음대로 만들어졌다. ‘짐이 곧 국가’라는 루이 14세의 말은 국가와 왕권을 동일하게 보는 절대주의 사회의 성격을 잘 드러낸 것이다.
그러나 18세기 인간의 이성을 강조하는 계몽사상의 영향으로 인권 사상, 시민권 사상이 발달하면서 절대주의 사회는 서서히 몰락하기 시작했다. 시민들은 왕권의 정당성을 신에게서 구하는 왕권신수설에 강력히 반대하며 주권재민(主權在民) 사상을 바탕으로 절대왕정을 타도하는 시민혁명을 일으켰다. 이로 인해 절대주의 사회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자유와 평등에 기반 한 근대 시민사회가 형성되었다.
☞ ‘전제군주제 사회’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