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운동
再生運動 / Revitalization movement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새로운 환경에 대한 인간이 문화적 반응으로 나타나는 문화 변동.
[내용] 새로운 환경에 대한 인간의 문화적 반응 및 기존의 체계가 적응하는 과정의 결과로 나타나는 문화 변동을 의미한다. 1956년 윌리스(Wallace F. C)는 어떻게 문화가 스스로를 변화시키는가를 설명하기 위하여 「재생운동」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재생운동이란 더 만족스러운 문화를 건설하기 위한 사회 구성원의 의도적이고 조직화된 의식적인 노력”으로 규정했다. 윌리스의 1956년 모델은 재생운동의 과정을 설명한다. 그것은 ‘롱하우스(Longhouse)’교의 형성으로 이어진 것일 수 있는 아메리카 원주민 종교운동인 ‘핸섬 레이크(The Handsome Lake)’에 관한 연구에서 비롯되었다. 재생운동의 과정은 첫째로 집단의 사회적, 자연적 환경에 대체로 만족스럽게 적응하는 시기와 둘째로 개인적인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시기, 즉 한편으로는 집단 전체가 그 자체의 익숙한 문화적 행위를 통하여 살아가는 반면에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적 또는 자연적 환경에서의 변화들이 정상적인 만족을 얻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의 노력을 좌절시키는 시기 그리고 셋째로 문화적 왜곡의 시기, 즉 집단의 사회적 또는 자연적 환경의 변화는 대부분의 사람들의 신체적, 정서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익숙한 문화적 행동의 역량을 크게 약화시키는 시기로 나눠진다. 그리고 재생의 시기는 ① 문화적 패턴의 재구성, ② 재구성된 문화적 패턴의 조직, ③ 집단의 필요와 선호도를 보다 잘 충족시키기 위해 재구성된 패턴의 적응, ④ 문화적 변형, ⑤ 적응되고 재구성된 문화적 패턴이 집단의 표준 문화적 행동이 될 때의 일상화로 구성된다. 끝으로, 그룹의 변화된 사회 및 자연환경에 대한 일반적으로 만족스러운 적응의 새로운 시기가 있다. 윌리스는 ‘핸섬 레이크(Handsome Lake)’의 종교 지도자 세네카(Seneca, 1735-1815)가 이끄는 Iroquois 재생운동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 소위 원시 부족들에 대한 연구에서 이론을 도출했다. 그는 자신의 재생 모델이 기독교, 이슬람, 불교, 또는 웨슬리안 감리교의 등장처럼 광범위하고 복잡한 운동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믿었다. 비토리오 랜터나리(Vittorio Lanternari)와 피터 워슬리(Peter Worsley) 등의 학자들이 윌리스의 통찰을 발전시키고 변용했다. 재생운동은 새로운 환경에 대한 인간의 문화적 반응이며, 기존의 체계가 적응하는 과정의 결과로서 문화 변동의 중요한 사례가 된다.
-
PREV 재봉학교 프로젝트
-
NEXT 재일 코리안 통일원리 특별세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