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CHEONWONSA

검색 서비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

dictionary_pt2-366

원리강론 아담 가정을 중심한 복귀섭리

原理講論 아담 家庭을 中心한 復歸攝理 / Providence of restoration in Adam’s family

항목체계 사상교리

[정의] 원리강론 후편 제1장 제1절의 내용으로 아담 가정을 중심한 복귀섭리의 내용.

[내용] 타락은 비록 인간 자신의 잘못으로 된 것이지만, 하나님은 타락한 인간을 구원하지 않을 수 없다. 메시아를 위한 기대를 세워 타락한 인간을 복귀하려는 섭리는 일찍이 아담 가정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아담은 사탄과 혈연관계를 맺었기 때문에 하나님뿐만 아니라 사탄도 대할 수 있는 중간 위치에 처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중간 위치에 처하게 된 타락한 인간이 하늘 편으로 분립돼 메시아를 위한 기대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그 자신이 탕감조건을 세워야 한다. 그러므로 아담 가정이 믿음의 기대와 실체기대를 복귀하는 탕감조건을 세우고, 그로써 이루어지는 메시아를 위한 기대 위에서 메시아를 맞는 데까지 나아가야 복귀섭리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믿음의 기대

첫째, 믿음의 기대를 복귀하기 위해서는 조건물이 있어야 한다. 아담 가정에서 세워야 했던 조건물은 제물이었다. 둘째, 믿음의 기대를 복귀하기 위해서는 중심인물도 있어야 한다. 아담이 제물을 바치지 못하고 가인과 아벨로부터 제물을 바쳤던 이유는 어디에 있었던가? 창조원리에 의하면, 인간은 본래 한 주인을 대하도록 창조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두 주인을 대하는 처지에 있는 존재를 상대로 하여 창조원리적인 섭리를 할 수는 없다. 하나님은 이와 같은 비원리적인 섭리를 할 수 없으므로 선과 악의 모체가 된 아담 선성품적(善性稟的)인 존재와 악성품적(惡性稟的)인 존재로 갈라 세우는 섭리를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하나님은 아담의 두 아들을 선과 악의 표시체로서 분립시킨 후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과 사탄을 각각 대할 수 있는, 즉 한 주인을 상대하는 원리적인 입장에 세워 놓고 제물을 바치게 한 것이다.

가인과 아벨은 다 함께 타락한 해와의 열매였다. 따라서 해와가 타락한 경로에 의하여 그것이 결정되어야 했던 것이다. 첫 번째의 타락은 천사장과 사랑으로 인한 영적인 타락이었으며, 두 번째의 타락은 아담과 사랑으로 인한 육적인 타락이었다. 그 둘 가운데 어느 것이 보다 원리적이며 보다 용서받을 수 있는 행위였던가를 가려 본다면 첫째 번의 사랑에 의한 타락행위보다는 둘째 번의 사랑에 의한 타락행위라고 보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첫 번째의 타락행위가 하나님과 같이 눈이 밝아지려고 한 욕망, 즉 때 아닌 때의 것을 바랐던 과분한 욕망이 동기가 돼 비원리적인 상대인 천사장과 관계를 맺은 것임에 비하여 둘째 번의 타락행위는 첫째 번의 행위가 불륜한 것이었음을 깨닫고 다시 하나님 편으로 돌아가고자 한 심정이 동기가 돼 하나님이 허락한 때가 아니었다고 할지라도 원리적 상대인 아담과 관계를 맺은 것이기 때문이다.

가인은 사랑의 첫 열매였으므로 천사장과의 사랑으로 인한 타락행동을 표징(表徵)한 것으로서 사탄을 대할 수 있었던 입장에 세워졌고, 아벨은 사랑의 둘째 열매였으므로 아담과의 사랑으로 인한 표시체로서 하나님을 대할 수 있었던 입장에 세워졌다. 하나님이 창조한 원리의 세계를 사탄이 먼저 차지하였기 때문에 하나님에 앞서 사탄이 먼저 비원리적인 세계를 이루어 나아가게 되었다. 그런데 원래 하나님이 맏이를 세워서 장자의 기업을 계승시키려고 한 원리적인 기준이 있었기 때문에 사탄도 둘째 것보다 맏 것에 대한 미련이 컸었다. 거기에다 사탄은 이미 피조세계를 차지한 입장이었기 때문에 보다 미련이 컸던 장자 가인을 먼저 취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하나님은 사탄이 미련을 갖고 대하던 가인보다도 아벨을 대하였던 것이다.

아벨은 하나님이 취할 수 있는 상대적인 입장에서 믿음으로 하나님의 뜻에 맞도록 제물을 바쳤기 때문에 그것이 받아들여졌다. 그리하여 아담 가정이 세워야 할 믿음의 기대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하나님이 가인의 제물을 받지 않았던 것은 가인이 미워서가 아니었다. 다만 가인은 사탄이 취할 수 있었던 상대적인 입장이었으므로 하나님이 그 제물을 취할 수 있는 어떠한 조건을 가인 자신이 세우지 않는 한 하나님은 그것을 취할 수 없었던 것이다.

실체기대

아담 가정에 실체기대가 세워지기 위해서는 가인이 타락성을 벗기 위한 탕감조건을 세움으로써 하나님이 그의 헌제를 기뻐 받을 수 있어야 했다. 그러면 타락성을 벗기 위한 탕감조건은 어떻게 세워야 했던가? 첫째, 천사장이 하나님의 사랑을 더 많이 받았던 아담을 사랑하지 못하여 타락했기 때문에 ‘하나님과 같은 입장을 취하지 못하는 타락성’이 생겼다. 그 타락성을 벗기 위해서는 천사장의 입장이었던 가인이 아담의 입장이었던 아벨을 사랑하여 하나님과 같은 입장을 취해야 했다.

둘째, 천사장이 하나님에게 더 가까웠던 아담을 중보로 세워 하나님의 사랑을 받으려고 하지 않고 아담의 위치를 취하려다가 타락했기 때문에 ‘자기 위치를 떠난 타락성’이 생겼다. 그 타락성을 벗기 위해서는 천사장의 입장이었던 가인이 아담의 입장이었던 아벨을 중보로 세워 하나님의 사랑을 받는 입장을 취함으로써 가인 자신의 위치를 지켜야 했다.

셋째, 천사장은 자기를 주관해야 할 인간, 즉 해와와 아담을 역주관(逆主管)함으로써 타락했기 때문에 ‘주관성을 전도(顚倒)한 타락성’이 생겼다. 따라서 인간이 그 타락성을 벗기 위해서는 천사장의 입장이었던 가인이 아담의 입장이었던 아벨에게 순종굴복하여 그의 주관을 받는 입장에 섬으로써 주관성의 법도를 바로 세워야 했다.

넷째, 선악과를 따먹지 말라던 선한 뜻을 하나님은 아담에게 전하고, 아담은 또 해와에게 전하고, 해와는 다시 천사장에게 전해야 할 것이었다. 그러나 반대로 천사장이 따먹어도 좋다는 불의(不義)의 뜻을 해와에게 전했고, 또 해와는 그것을 아담에게 전함으로써 타락했기 때문에 ‘죄를 번식한 타락성’이 생겼다. 그 타락성을 벗기 위해서는 천사장의 입장이었던 가인이 하나님과 더욱 가까웠던 아벨의 상대적인 입장을 취하여 아벨로부터 선의 뜻을 전해 받음으로써 선을 번식하는 입장을 조성해야 했다.

만일 아담 가정에서 가인이 아벨에게 순종굴복하여 타락성을 벗기 위한 탕감조건을 세웠더라면, 그들은 이미 조성된 믿음의 기대 위에 실체기대를 세워 이 두 기대로써 이루어지는 메시아를 위한 가정적인 기대 위에서 메시아를 맞음으로써 창조본연의 사위기대를 복귀하였을 것이었다. 그런데 가인이 아벨을 죽임으로써 천사장이 인간을 타락케 하였던 타락성을 반복하게 되어 아담 가정이 세워야 했던 실체기대는 세워지지 않았다. 따라서 아담 가정을 중심한 복귀섭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아담 가정에 있어서의 메시아를 위한 기대와 상실

하나님의 창조목적인 3대 축복은 아담과 해와가 개성을 완성하여 부부를 이루고, 다음으로는 자녀를 번식하여 가정을 이루며, 더 나아가 그들이 만물을 주관함으로써 이뤄지게 돼 있었다. 그러나 타락으로 인하여 3대 축복이 이뤄지지 않았으므로 그것을 복귀하기 위하여 반대의 경로를 따라서 먼저 만물을 복귀하기 위한 탕감조건과 인간을 복귀하기 위한 상징적인 탕감조건을 동시에 세워 주는 상징헌제를 드림으로써 믿음의 기대를 세워야 했다. 다음으로는 자녀를 복귀하고, 그 위에 부모를 복귀하기 위한 탕감조건을 동시에 세워 주는 실체헌제를 드림으로써 실체기대를 세워 가지고 메시아를 위한 기대를 조성해야 되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상징헌제의 의의와 목적을 두 가지로 구분하여 생각할 수 있다. 만물로써 상징헌제를 드리는 첫째의 목적은 하나님의 상징적 실체상인 만물을 복귀하기 위한 탕감조건을 세우려는 데 있다. 상징헌제를 드리는 두 번째의 목적은 실체인간을 하나님 앞에 복귀하기 위한 상징적인 탕감조건을 세우려는 데 있는 것이다.

실체헌제는 실체인간을 복귀하기 위하여 타락성을 벗기 위한 탕감조건을 세우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가인적인 존재가 아벨적인 존재를 실체로 헌제하여 자녀를 복귀하기 위한 탕감조건을 세우게 되면 부모를 복귀하기 위한 탕감조건으로도 세워지게 되기 때문에 실체헌제는 뜻 맞는 헌제가 된다.

하나님은 아담 대신으로 차자 아벨을 세워서 상징헌제를 드리게 하였다. 그래서 만물을 복귀하기 위한 탕감조건과 인간을 복귀하기 위한 상징적인 탕감조건을 동시에 세운 기대 위에서 가인과 아벨이 실체헌제로써 자녀를 복귀하기 위한 탕감조건을 세웠더라면, 아담이 그 실체기대 위에 서게 돼 메시아를 위한 기대가 이뤄졌을 것이다.

아벨의 상징헌제에는 아담의 대신으로 믿음의 기대를 세우기 위한 것과 아벨을 실체헌제의 중심인물로 결정하기 위한 것의 두 가지 목적이 있었다. 가인이 아벨에게 순종굴복하여 타락성을 벗기 위한 탕감조건을 세움으로써 가인과 아벨이 다 함께 자녀로서 타락성을 벗기 위한 탕감조건을 세운 입장에 서게 돼 있었던 것이다. 한편 가인과 아벨은 선과 악의 모체였던 아담을 분립한 존재들이었기 때문에 그들이 타락성을 벗기 위한 탕감조건을 세워 사탄을 분립하였더라면, 아담은 사탄을 분립한 입장에서 실체기대 위에 서게 돼 메시아를 위한 기대를 이루었을 것이다. 그처럼 부모를 복귀하기 위한 탕감조건은 상징헌제와 실체헌제로써 세워지게 될 것이었다.

아벨이 뜻 맞는 헌제를 함으로써 아담을 중심한 믿음의 기대를 탕감복귀한 조건과 실체헌제를 드리기 위한 중심인물로서 아벨의 입장은 갖춰졌다. 그러나 가인이 아벨을 죽임으로 인해서 실체기대가 세워지지 못하여 메시아를 위한 기대도 조성되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아담 가정을 중심한 복귀섭리가 이뤄질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