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
禪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깊이 생각하고 관찰하여 진리를 체득하는 불교의 수행법.
[내용] 본래의 면목을 참구하는 불교 수행법이며 참선(參禪)이라고도 한다. ‘선’이라는 말은 팔리어 ‘자나’(Jhana), 산스크리트어 ‘디야나’(Dhyana)가 한자로 음역된 선나(禪那)의 축약형이다. 디야나는 ‘깊이 생각하다’, ‘내적으로 직관하다’, ‘고요히 관찰하다’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선의 일차적인 의미는 붓다가 깨달은 진리를 깊이 생각하고 관찰하여 체득하는 수행이라고 할 수 있다. 선은 붓다의 가르침을 경험적으로 체득하게 하는 방법이다. 선은 인식론적 알음알이가 존재론적 전환으로 승화되는 과정이다.
『요가수뜨라』에서 디야나는 요가의 8갈래 중 하나이며 집지(執持, dhārana), 삼매(samādhi)와 함께 요가명상의 핵심 부분이다. 선과 거의 동의어로 사용되는 선정(禪定)은 디야나와 사마디를 합한 말이다. 선정에서 선은 디야나의 음역이며, 정은 사마디의 의역에 해당한다. 우리나라에서 선 또는 참선이라는 말은 주로 간화선(看話禪) 전통에 사용하지만 시대와 맥락에 따라서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넓은 의미에서 참선은 궁극적인 진리를 탐구하는 종교적인 실천수행 일반을 의미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