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CHEONWONSA

검색 서비스

가정연합 대사전은 천일국학술원에서 제공합니다.
이 사전은 2019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였고 섭리의 변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

dictionary_pt1-1004

사단칠정론

四端七情論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사단칠정에 대한 상이한 해석에서 벌어진 사림파 내부의 논쟁.

[내용] 성리학 심성론의 핵심 개념인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에 대한 해석을 놓고 전개된 조선시대 사림파 내부의 논쟁이다. 사단은 맹자가 실천도덕의 근간으로 삼은 마음의 4가지 단서를 말한다. “측은한 마음(惻隱之心)은 인(仁)의 단서요,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羞惡之心)은 의(義)의 단서요, 사양하는 마음(辭讓之心)은 예(禮)의 단서요,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是非之心)은 지(智)의 단서이다”라고 한 맹자의 말에서 비롯되었다. 사단설은 맹자가 주장한 성선설의 근저를 이룬다. 칠정이란 『예기』와 『중용』)에 나오는 희(喜), 노(怒), 애(哀), 구(懼), 애(愛), 오(惡), 욕(慾)을 말한다.

주자는 사단과 칠정을 마음의 발현되지 않은 상태와 발현된 상태, 곧 미발기발설(未發已發說)과 논리적으로 연계시킨 성정론(性情論)을 확립했다. 그 결과로 사단칠정론은 미발기발설, 이기설(理氣說),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 등과 관련하여 다양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조선의 성리학에서는 사단칠정론에서 성(性)과 정(情)의 개념을 서로 달리하고, 또한 서로 다른 이와 기의 개념에 사단과 칠정을 나누어 배속시킴으로써 많은 논쟁이 일어났다.

이황은 사단과 칠정을 이기호발(理氣互發)을 전제로 설명하였다. 즉 사단은 이가 발현된 마음이며, 칠정은 기가 발현한 마음이다. 앞의 것은 순선(純善)으로서 도심(道心)이며, 뒤의 것은 선악을 겸한 것으로서 인심(人心)이다. 이와 같이 이황은 사람의 마음 작용에서 이와 기를 구분하는 이기이원론, 그러면서도 기보다는 이를 중시하는 주리론적 입장에서 심성론을 확립했다.

그 후 이황의 심성론은 학계에 큰 논란을 야기하였으며, 200여 년에 걸친 사칠변론(四七辯論)의 서막이 되었다. 기대승은 이황의 이기호발을 부정하고 이기공발설(理氣共發說)을 제시했다. 즉 이와 기의 구분은 관념적으로나 가능할 뿐이며 구체적인 마음의 작용에서는 구분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이이는 사단과 칠정을 각각 이와 기에 배대한 이황의 입장을 비판하고, 기발이승일도(氣發理乘一途)의 전제에서 사단과 칠정을 설명했다. 즉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가 발하는 것이며, 칠정이 사단을 포함한다고 본 것이다.

이후 사단칠정론은 이황의 영남학파와 이이의 기호학파가 대립하며 끊임없는 논쟁이 지속되었다. 이러한 논쟁은 마침내 동인과 서인 사이에 벌어진 당쟁의 이론적인 근거가 되기도 했지만, 또한 조선의 성리학이 크게 발전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 ‘성리학’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