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뇌
煩惱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집착에서 비롯되는 마음의 갈등을 나타내는 불교용어.
[내용] 산스크리트어 Kleśa의 한역인 번뇌는 ‘오염된 마음’ 또는 ‘괴로운 마음’이라는 문자적인 의미를 지니며, 근본적으로 ‘나’ 또는 ‘나의 것’에 대한 집착에서 일어나는 괴로운 마음상태를 나타내는 불교 심리용어이다. 불교에서는 모든 괴로움(苦)의 근본 원인이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에 있다고 보며, 이 셋을 3독(三毒)이라 한다. 이 셋 중에서도 어리석음(無知)은 모든 번뇌의 뿌리에 해당한다. 「요가수뜨라」에서는 무지를 모든 번뇌가 싹을 틔우고 자라는 밭이라고 하였다. 6근(六根, 안이비설신의)이 6경(六境, 색성향미촉법)을 만날 때 6가지 근본번뇌가 일어나며, 이의 확장은 108번뇌로 표현되기도 한다. 여기서 108은 과거와 현재와 미래에 경험하는 모든 번뇌를 가리킨다. 불교는 삶 속에서 마주치는 모든 번뇌의 본질과 실상을 낱낱이 밝히고 그 극복방법을 제시하는 번뇌학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열반이라는 이상이 실현된다. 대승불교에서는 번뇌가 바로 깨달음(번뇌즉보리)이라는 사유방식이 출현하며, 이로써 번뇌는 부정적인 의미를 탈각하게 된다. 즉 번뇌의 본래 성품이 비었음을 깨닫는 것이야말로 번뇌를 극복하는 근본 해결책이라는 것이다. 탄트라 전통에 “땅에 넘어진 사람은 땅을 짚고 일어나야 한다.”는 말이 있는 것처럼, 번뇌의 바다에 빠진 중생은 번뇌의 실상을 깨우침으로써 번뇌를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대승불교의 번뇌즉보리 사상은 삶에 대한 매우 적극적인 사유방식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