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
公私 / The public and the private
항목체계 종교일반종교학
[정의] 공동체와 관련된 공적인 영역 및 가치와 개인과 관련된 사적인 영역 및 가치.
[내용] 공적인 것이 공동체 전체의 이익 및 공공 선과 관련된 일, 편중되지 않은 공평무사함의 의미와 관련된다면 사적인 것은 개인의 이해관계 및 개인적 편중이 있는 사생활의 영역과 관련된다. 동서양 모두 고대부터 공과 사를 구별하고, 공적인 것을 사적인 것보다 더 우위에 두는 경향이 있었다. 공동체적 가치와 개인의 가치를 대립적으로 본 고대 중국의 법가, 이를 천리와 인욕의 개념으로 표현한 주자학 모두 공적인 것에 가치를 두는 관점을 견지했다. 고대 그리스에서의 공사 개념은 개인과 가족의 생존적인 차원인 오이코스와 가치 있는 삶을 추구하는 폴리스를 구분한 것에 기인한다. 역시 공동체의 영역에 참여하는 공적 삶이 사적인 삶보다 더 가치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해 비해 근대의 사회계약론은 개인의 재산권 등 사적인 권리의 수호라는 개인주의적 이념을 공동체(국가)의 근간으로 삼음으로써 전근대에 비해 사적인 가치를 강조하는 공사관을 발전시켰다. 일반적으로는 공동체의 정치, 경제, 사회제도와 관련된 차원을 공적인 것, 개인의 이해관계와 사생활과 관련된 영역을 사적인 것으로 본다.
통일사상에서는 개체 목적과 전체 목적의 연체적 관계를 통해 공사개념의 구분과 연관성을 표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