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CHEONWONSA

도서

청파랑

심정문화운동론

  • 저자 주우철
  • 출간일 2025년 8월 14일
  • 브랜드 청파랑
  • 책분야 통일사상 / 문화예술론
  • 페이지 334쪽
  • ISBN 979-11-94221-80-7

천일국이 출발한 지 10년이 지났습니다. 이제는 천일국시대에 어울리는 효정·심정문화예술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그 중추적인 책임을 할 수 있는 효정국제문화재단이 준비되었습니다. 예배문화에서 대중문화, 그리고 축복가정의 공동체 생활까지 이론과 실천적 방안을 만들어 심정문화운동과 심정문화혁명을 이끌어가는 주체 세력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제는 지난 40년간 달려왔던 문화운동의 성과와 한계를 냉철하게 성찰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여 미래의 심정문화세계를 준비해야 합니다. 이러한 성찰과 반성, 현실에 대한 문제 제기와 진단이 미래의 신통일한국인 통일코리아의 문화를 창건할 수 있습니다. “믿음이 너희를 자유케 하고 실천이 너희를 완성케 하라”는 문구가 필요한 시대입니다. 어렵지만 다시 한번 신들메를 고쳐 매고 우리의 심정, 우리의 문화가 혼란한 세상을 선도하는 천일국의 문화로 자리매김하기를 고대합니다.

- '책 머리에'에서

주우철(朱尤喆)


저자는 1967년 경남 고성에서 태어났다. 1992년 문선명·한학자 총재의 주례로 3만가정 축복을 받았다. 부경대학교를 졸업한 후 1994년 제21기 대학순회전도단에 입단하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공직을 시작하였다. 인천학군 전도사, 동의대 학사장, 원리연구회 문화기획팀장, 서강대 학사장, 원리연구회 동부학군장, 북부학군장, 서부학군장, 가정당 정책연구소 책임연구원, 유엔평화군성전추모연합회 사무국장, 한국문화재단 대외협력국장을 거쳐 현재 세계평화교수협의회와 한국평화연구학회 사무총장으로 재직 중이다.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언론학 석사,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 선문대 신학전문대학원 목회학 박사, 선문대 일반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단국대학교 법무행정대학원, 선학UP대학원대학교 평화NGO학과, 선문대 행정학과에서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현재는 선문대 행정공기업학과에 출강 중이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한국정책학회, 한국지방자치학회, 한국세계지역학회, 한국동북아학회, 한국갈등학회, 한국이민정책학회, 한국정책과학학회,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한국지방공기업학회 이사를 지냈으며, 한국평화종교학회와 한국평화NGO학회를 공동으로 창립했다.

주요 저서로 『문선명과 리틀엔젤스』(맵시터, 2015), 『문선명과 통일코리아』(학술교육원, 2020), 『문선명과 냉전종식』(학술교육원, 2022) 등이 있다. 학술연구논문 24편이 한국연구재단(www.nrf.re.kr)에 등재되어 있다.


책 머리에 / 미래의 심정문화세계를 준비할 때 • 4

프롤로그 / 심정문화운동에서 심정문화혁명으로 • 10


1장 문화적 지도자

1. 문화운동의 필요성 • 17

2. 지도자와 리더십 • 24

3. 문화적 지도자와 섭리적 지도자 • 31

4. 문화적 지도자의 역량과 자질 • 33

5. 문화적 지도자의 역량, 인문학적 사고 • 35

6. 문화적 지도자의 역량, 문화적 사고 • 39

7. 문화적 지도자의 역량, 변혁적 리더십 • 44

8. 문화적 지도자의 역량, 사회적 자본 • 47

9. 문화적 지도자의 역량, 문화적 자본 • 58

10. 문화적 지도자의 역량, 섭리적 세계관 • 63


2장 문화와 원형

1. 문화의 개념 • 67

2. 동서양의 문화개념 • 71

3. 문화연구자의 문화개념 • 73

4. 가정연합의 문화개념 • 78

5. 원형이란 무엇인가 • 81

6. 원형의 핵심 요소 • 84

7. 민족과 원형 • 87

8. 한국적인 것과 세계적인 것 • 93

9. 문화와 원형 • 95

10. 원형과 문화의 패턴 • 98

11. 원형과 문화예술 • 102


3장 문화운동

1. 운동의 개념과 요소 • 109

2. 문화운동이란 • 115

3. 문화운동과 문화활동 • 117

4. 문화운동과 대중운동 • 121

5. 문화운동과 스토리텔링 • 126

6. 문화운동과 문화운동가의 의식 • 130

7. 가정연합의 문화운동 • 134

8. 원리연구회 문화운동 • 137

9. 가정연합의 문화정책과 문화사업 • 143

10. 문화운동과 공동체 • 147


4장 가나안 정착과 문화

1. 1세시대와 2세시대의 특징 • 155

2. 가나안과 광야의 개념 • 157

3. 이스라엘 민족의 가나안 정착노정 • 163

4. 가나안 정착시대의 동시성 • 166

5. 한반도를 중심한 가나안 정착노정 • 169

6. 천주적 가나안 정착노정 • 172


5장 심정과 효정, 효정·심정문화

1. 심정의 개념 • 177

2. 효정의 개념 • 180

3. 심정과 효정의 관계 • 183

4. 효정·심정문화의 이해 • 185


6장 문화비평이론

1. 문화비평 개념 • 191

2. 문화비평의 필요성 • 195

3. 비평 방법론 • 200

4. 텍스트 이해 • 203

5. 장르이론 • 207

6. 장르비평_페미니즘 • 210

7. 장르비평_작가주의 • 215

8. 구조주의와 탈구조주의 • 218

9. 포스트모더니즘 • 227

10. 구조주의의 계열체와 통합체 • 232

11. 구조주의와 이항대립 • 235


7장 문화비평의 실제

1. 구조주의로 본 언어분석 • 241

2. 롤랑 바르트의 신화분석 • 244

3. 소쉬르의 구조주의 • 247

4. 작가주의 비평_이준익 감독 • 249

5. 장르비평_봉준호 감독 • 253

6. 장르영화_부산행 • 255

7. 구조주의와 영화비평 • 259

8. 구조주의와 광고 • 263


8장 가정연합의 문화예술론

1. 문화예술론의 필요성 • 269

2. 문화예술론의 원리적 근거 • 272

3. 문화예술론의 창작과 감상 • 275

4. 문화예술의 목적 • 278

5. 예술활동의 이중목적 • 283

6. 창작과 감상의 요건 • 286


9장 북한의 문화예술론

1. 김정일 영화예술론과 혁명적 세계관 • 293

2. 문화예술을 통한 북한의 후계자 승계 • 300

3. 〈꽃 파는 처녀〉와 〈피바다〉 분석 • 305


10장 브랜드와 세계관

1. 브랜드와 세계관 • 311

2. 브랜드는 자유의지를 지닌 인격체 • 317

3. 브랜드는 선한 영향력 • 320

4. 진정성이 있는 브랜드가 되기 어려운 이유 • 324


에필로그 / 문화운동은 비판과 성찰에서 출발한다 • 327


참고문헌 • 331

제품목록